연구원소개
조직
개발성과분석팀
오지영 | 직급 | 팀장 | 분야 | 응용미시, 노동경제학, 개발경제학, ODA 정책평가 | 연락처 | 044-414-1270 | 메일 보내기 |
---|---|---|---|---|---|---|---|
이은석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국제개발, ODA 정책, 평가방법론, 개발평가 | 연락처 | 044-414-1198 | 메일 보내기 |
강문수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아프리카·중동, 개발경제학, 농업경제학 | 연락처 | 044-414-1204 | 메일 보내기 |
노윤재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노동경제학, 개발경제학 | 연락처 | 044-414-1143 | 메일 보내기 |
한선이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아프리카 지역, 개발경제학 | 연락처 | 044-414-1345 | 메일 보내기 |
김윤정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유럽 경제, 복지정책 | 연락처 | 044-414-1302 | 메일 보내기 |
정지선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ODA 정책, 성과관리·평가, 메타평가, 다자원조, 보건분야 평가 | 연락처 | 044-414-1078 | 메일 보내기 |
유애라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ODA 정책, ODA 평가, Aid for Trade, 취약국 | 연락처 | 044-414-1239 | 메일 보내기 |
이예림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기후변화·환경 ODA, 국제개발협력 | 연락처 | 044-414-1068 | 메일 보내기 |
박소정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ODA 거버넌스, 분쟁취약국, 개발금융 | 연락처 | 044-414-1241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270
주력분야 응용미시, 노동경제학, 개발경제학, ODA 정책평가
- 2021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경제학 박사
- 2013 연세대학교 경제학 학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개발미시연구팀 팀장, 2024.4 ~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개발평가팀, 2024.1 ~ 2024.3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전략평가팀, 2021 ~ 2023
[KIEP 발간물]
2023.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팬데믹 이후 국제사회의 불평등 현황과 한국의 개발 협력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국제사회의 분쟁취약국 지원동향과 시사점. (공저) KIEP 기초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국제사회의 주요 젠더 이슈와 개발협력 정책과제. 오늘의 세계경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ODA 사업의 유형별 평가방법 연구: 기술협력 사업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공저) ODA 정책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98
주력분야 국제개발, ODA 정책, 평가방법론, 개발평가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204
주력분야 아프리카·중동, 개발경제학, 농업경제학
- Kansas State University 농업경제학 박사
-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 한동대학교 건설공학, 도시환경공학 학사
- 2020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아프리카중동팀 부연구위원
- 2009 ~ 2016: 가나안세계지도자교육원 기획평가팀장
- 에너지 안보 위협에 따른 중동의 부상과 시사점,
-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
-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아프리카·중동 식량안보 리스크와 전망,
-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
- 아프리카 코로나19 백신 공급 현황과 시사점,
-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2021.05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아프리카 주요 정책과 시사점,
- 아프리카 디지털 산업의 성장과 한국과의 협력 과제,
-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43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노동경제학, 개발경제학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345
주력분야 아프리카 지역, 개발경제학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개발경제학 박사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국제경제학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협력 석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 학사
2021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2024 ~ 현재 한-아프리카 경제협력위원회 한국위원
LG CNS 금융사업부 사업개발
Mobile Money Cameroon 프로젝트 총괄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302
주력분야 유럽 경제, 복지정책
경제학 박사 (2022),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경제학 석사 (2018),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경제학 학사 (2013), 고려대학교
[Publication]
Peer-Reviewed Journal
"Quasi‐Experimental Evidence on the Effects of Expanding Cash Welfare." (joint with Matthew Freedm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022).
[개인 홈페이지]
https://yoonjungkim.io/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78
주력분야 ODA 정책, 성과관리·평가, 메타평가, 다자원조, 보건분야 평가
- 2007.4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개발연구센터 개발평가팀
- 2018 ~ 현재 :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개발협력학과 겸임교수
- 2024.1~ 현재: 문화재청 국제개발협력 운영위원회 자문위원
- 2023.1~ 현재: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국제협력선도대학 사업관리위원회 외부위원
- 2021.12~24.3: KOICA 분야별 전문위원회 거버넌스 분과위원
- 2019.6~2020.2: 기재부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외교통일 ODA예산 자문위원
- 2015.6 2015.12 : King's College London, Inter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방문학자
- 2013.1 ~ 2014.1 : 국제개발협력학회 편집위원회 부위원장
[KIEP 발간물]
- “Private Sector Development in Africa and Korea-Africa Development Cooper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2.
- “아프리카 민간부문개발(PSD) 현황 및 한국의 지원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Post-2015 개발재원 확대 논의와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무역원조(Aid for Trade) 현황과 향후 과제”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5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9.
- “국제사회의 ODA 평가 활용 현황과 과제”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4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9.
- “ODA 국별 성과관리체제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공저), ODA정책연구 13-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다자원조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통합추진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3-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Analysis on Africa's Development Needs and Korea’s Sectorial Plan for OD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4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0.
-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Key Challenges and the Way Forward for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6.
- “아프리카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 ODA 추진방안” (공저), ODA지역연구 12-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최빈개도국 개발과제와 한국의 ODA 정책방향” (공저), 연구보고서 12-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OECD DAC의 ODA 평가체제와 한국의 개선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6.
- “국제사회의 개발재원 논의동향과 한국의 정책과제” (공저), ODA정책연구 11-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국제사회의 남남협력 현황과 우리의 추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1-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국제사회의 민간부문개발 지원 현황과 한국의 추진과제” (공저), ODA정책연구 11-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UN 최빈개도국 회의 개최배경과 대응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5.
- “한국의 대아프리카 환경개발협력 추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0-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우리나라 다자원조 추진 전략과 정책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10-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국제사회의 아이티 지진 피해 지원 현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0-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2.
- “한국의 대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 방향” (공저), 연구보고서 09-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글로벌 경제위기와 MDG이행현황”, 지역경제포커스 09-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8.
- “북유럽 주요국의 언타이드 원조 정책과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0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6.
- “우리나라 대외원조 역량의 현황과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08-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도하 개발재원회의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4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국제사회의 파리선언 이행 현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8.
- “최근 국제사회 공적개발원조(ODA) 동향과 향후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2.
- “아프리카 개발은행 신탁기금 현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7-5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주요 논문]
- “Aid Evaluation Quality and Affecting Factors: A case-study and meta-evaluation of South Korea”, 학위논문(박사). 경희대 국제대학원. 2016.8
-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사막화방지 원조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국제개발협력학회지, 2010.12.
- “아프리카 개발은행의 신탁기금 현황과 원조효과성제고”, KOICA 국제개발협력, 2008.11.
- “The Role of the Internet for Fair Trade”, 학위논문(석사), University of Manchester, 2004.9.
[용역보고서]
1. ODA 평가 및 성과관리
- “국제개발협력 CSO 실무자를 위한 평가 안내서”, KOICA/지구촌나눔운동, 2015.
- “ODA 시행기관의 자체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용역”, 국무조정실, 2014.
- “ODA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연구 및 제2차 시범사업 연구용역”, 국무조정실, 2014.
- “베트남 틴농 교량건설사업예비타당성조사”, 국무조정실, 2013.
- “EDCF 방글라데시 국별평가 및 방글라데시 통신망 현대화사업 및 인터넷정보망 확충사업 사후평가”, 한국수출입은행, 2012.
- “EDCF 베트남 국별평가 및 백신생산공장 건설사업 사후평가”, 한국수출입은행, 2011.
- “KOICA 보건의료분야 프로젝트 사업 종료평가(베트남, 캄보디아, 네팔)”, KOICA, 2010.
- “KOICA 인도네시아 쓰나미 긴급재건복구 지원사업 종합평가”, KOICA, 2009.
- “KOICA 탄자니아 국별평가”, KOICA, 2008.
- “EDCF 베트남 띠엔탄 상수도건설사업 사후평가”, 한국수출입은행, 2007.
2. 다자원조, MDB
- “국제금융기구 지원 평가체제 연구”, 기획재정부, 2012.
- “국제금융기구 신탁기금운용 효율화방안”, 기획재정부, 2011.
- “국제금융기구의 전략적 활용방안”, 기획재정부, 2009.
3. ODA 정책 및 제도
- “G20 개발의제와 한국의 정책과제 연구”, 외교부, 2014.
- “베트남 틴농 교량건설사업예비타당성조사”, 국무조정실, 2013.
- “ODA 분야 국가재정운용계획”, 기획재정부, 2011.
- “국제개발컨설팅 산업기반 조성방안”, 기획재정부, 2011.
- “양자간 개발기구의 이론, 체계, 활동”, 통일연구원, 2008.
- “국제사회의 언타이드 원조동향과 우리나라 무상원조의 언타이드 추진방안”, 외교부, 2007.
4. 기후변화
- “GCF 관련 개도국 능력배양 지원 추진방안 연구”, 기획재정부, 2013.
- “Cambodia's Green Growth Master Plan and Economic Analysis”, GGGI, 2012.
- “사막화방지 이니셔티브 이행을 위한 메커니즘 개발”, 산림청, 2011.
- “국제사회의 개도국 녹색성장 지원현황 연구”, KOICA, 2010.
- “UNCCD 총회의 성공적 개최 및 사막화방지 국제협력사업 확대 방안”, 산림청, 2010.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39
주력분야 ODA 정책, ODA 평가, Aid for Trade, 취약국
- 2019 KDI국제정책대학원 개발정책학 석사
- 2011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 석사 수료
- 2009 서강대학교 영미문화/경제학 학사
2013~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개발협력센터 정책분석팀 전문연구원
2022: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본부 평가기획과 전문위원
[KIEP 발간물]
-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방안"(공저), 연구보고서 21-18, 2021. 12.
-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 10주년 성과와 과제"(공저), 연구보고서 20-06, 2020. 12.
- "국제사회의 취약국 개발협력의 성과와 과제"(공저), 연구보고서 19-05, 2019. 12.
- "무역을 위한 원조(AfT) 실행방안: 개도국 GVC 참여 지원을 중심으로"(공저), ODA 정책연구 18-03, 2018. 12.
- "개도국 SDGs 이행 지원을 위한 개발재원 확대 방안"(공저), 연구보고서 18-09, 2018. 12.
- "ODA 성과평가 개선방안과 정책과제: 영향력평가를 중심으로"(공저), 연구보고서 17-16, 2017. 12.
- "ODA 효과성 제고를 위한 개도국 협력과제: 베트남 국민인식조사 및 수혜자조사를 중심으로" (공저), 경제·이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 협동연구총서 17-06-01, 2017. 4.
- “Korea's ODA Policy for Fragile States in Asi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8.
- “아시아 취약국 ODA 지원전략과 CPS 개선방향” (공저), ODA정책연구 15-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12.
- “Post-2015 개발어젠다의 주요 특징과 이행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10.
- “Post-2015 개발재원 확대 논의와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12.
- “Aid for Trade: 현황과 주요 이슈” (공저), ODA정책연구 14-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12.
- “무역원조(Aid for Trade) 현황과 향후 과제”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5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9.
- “다자원조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통합추진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3-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APEC Region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5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11.
- “APEC 역내 인프라 개발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10.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68
주력분야 기후변화·환경 ODA, 국제개발협력
- 2021 KAIST 경영대학 경영공학부 경제학 석사, 녹색정책대학 녹색경영 복수이수
- 2016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국제학부(UIC) 국제학 학사
- 2021.2~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개발평가팀 연구원
- 2019.7~8/2019.1/2017.11~12: 세계보건기구 동티모르사무소 열대소외질환팀 단기 컨설턴트
- 2017.8~1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부연구원
- 2017.1~7: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사무소 보건환경팀 인턴
- 2016.9~12: 사단법인 한국물포럼 국제협력파트 주임
- 2015.9~2016.1: 한국월드비전 지역개발팀 인턴
- 다자 차원의 감염병 지원과 시사점,
- 우주 탐사 및 개발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 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및 대외경제 협력 방안, 2021.12
- 국내외 ESG 평가사별 점수 비교: 국내 기업을 중심으로, 2022.12
- 2022년 녹색기후기금(GCF) 운영현황과 시사점,
- 녹색기후기금(GCF) 2기(2024~27년) 운영방향과 시사점,
- ODA 평가의 활용 현황과 유용성 제고 방안,
- 인도적 지원이 개발도상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5년 네팔 지진을 중심으로, 2024.12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해외원조 중단이 국제개발협력에 미칠 영향과 시사점,
- 팬데믹 이후 국제사회의 불평등 현황과 한국의 개발 협력 과제, 2023.12
[용역보고서]
- 유엔기후변화협약 제29차 당사국총회 대비 신규 기후재원 조성 목표(NCQG) 논의 분석 및 대응전략 연구, 2024.12.
- 국제감축 기반 조성을 위한 ODA 중장기 운영전략 수립 연구, 한국에너지공단, 2024.12.
-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활성화를 위한 한국수출입은행의 역할, 한국수출입은행, 2024.3.
- 유엔기후변화협약 제28차 당사국총회 대비 기후재원 논의동향 분석 및 대응전략 연구, 기획재정부, 2023.12.
- 캄보디아·인도네시아 ODA 종합진단, 국무조정실, 2023.11.
- 기후변화 대응 ODA 사업 평가, 국무조정실, 2023.11.
- 국제사회의 기후재원 조성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기획재정부, 2023.2.
- GCF·AF 이사회 논의동향 분석 및 대응 전략 수립, 기획재정부, 2022.12.
- 포스트 코로나 대응 보건분야 ODA 유무상 연계사업 발전방안 연구,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2022.11.
- EU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 이행을 위한 여건 분석 및 대응방안 자문, 산업통상자원부, 2022.6.
-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장기전략 분석, 한국환경연구원, 2022.2.
- 우주경제와 시장제도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12.
- ODA 전문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국무조정실, 2021.12.
- 2022년 ODA 사업 심사·조정 및 패키지사업 발굴, 국무조정실, 2021.12.
[석사학위 논문]
- The Disbursement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cusing on vulnerability, adaptive capacity, and readiness, 한국과학기술원, 2020.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41
주력분야 ODA 거버넌스, 분쟁취약국, 개발금융
- KDI 국제정책대학원 개발정책학 석사
-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해외원조 중단이 국제개발협력에 미칠 영향과 시사점,
- 가자지구 및 서안지구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동향과 시사점,
- 대외정책과 연계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ODA 추진방식 개선방안 연구, 2023.12
- 개발협력 분야에서의 성평등 논의동향과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성평등 전략,
- 제3차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동료검토 수검 결과와 시사점,
- 2024 국제개발협력 정책 방향과 국민인식조사의 함의,
- 국제사회의 분쟁취약국 지원동향과 시사점,
- 공여국의 ODA정책 결정 과정 비교연구: 국민 인식과 정책 동기 중심으로, 2022.12
- 국외감축을 활용한 NDC 이행방안과 주요 정책과제, 2022.12
-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
[용역보고서]
- KSP 총괄기관별 수행평가 및 성과측정 지표 개발, 기획재정부, 2024.12.
- 팬데믹 이후 유상원조 성과와 중기 발전전략, 한국 수출입은행, 2024.12.
- 캄보디아·인도네시아 ODA 종합진단, 국무조정실, 2023.11.
- COVID-19 Response and Recovery Programme 지원 타당성조사, 2022.11.
- 포스트 코로나 대응 보건분야 ODA 유무상 연계사업 발전방안 연구, KOFIH, 2022.11.
- 22년 5개 중점협력국 국가협력전략(CPS) 개선방안, 국무조정실, 2022.10.
- 새 정부 ODA 추진방향 연구, 국무조정실, 2022.7.
- 개도국 민간협력사업 확대 방안, 기획재정부, 2021.12.
- 5개 신규 중점협력국 수원국 분석 및 중점협력분야 선정 연구, 국무조정실, 2021.11.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