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최신연구자료

주요국의 산업별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산업별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ㆍ개발ㆍ주문, 고객 관리, 경영 전략 등 기업 경영의 전 방식에 변화를 불러오는 패러다임 시프트이며, 기업 생존과 산업의 경쟁력 제고,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 되었다. 디지털 전환이 하나의 어젠다로 주목받은 것은 비교적 최근으로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산업에 적용되면서 지만, 이는 로봇 및 기계를 통한 공정 자동화와 정보통신기술(ICT)의 등장 등 아주 오랫동안 지속된 일련의 과정과 관계가 깊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별ㆍ산업별 디지털 전환 추세를 제시하고, 미국, 독일, 한국에서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장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며,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관련 노동시장 정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박지원, 노윤재, 조성훈, 나승권
중앙아 3개국 경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향
세계경제 포커스 중앙아 3개국 경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향

▶ 2024년 6월 10~15일 윤석열 대통령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중앙아 3개국을 2019년 이후 5년 만에 순방함. - 중앙아 3개국은 풍부한 에너지·광물 부국이자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고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전략적 가치와 중요성이 더욱 증대됨.

김경민, 정동연, 강부균
제3차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동료검토 수검 결과와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제3차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동료검토 수검 결과와 시사점

▶ OECD DAC에서는 주기적으로 동료검토를 실시하여 회원국의 개발협력 시스템을 검토하고 권고사항을 제시하고 있음. - 동료검토의 목적은 회원국의 개발협력 정책 및 체계를 전반적으로 점검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개발협력의 품질과 효과성을 제고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회원국의 책무성과 학습을 촉진함. ▶ 한국은 OECD DAC 가입(2010) 이후 세 차례의 동료검토(2012, 2017, 2023)를 수검했으며, 2024년 5월 제3차 동료검토 결과보고서가 발간됨. - 이번 동료검토를 위해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기획재정부·외교부·한국수출입은행(EDCF)·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관계기관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대응함.

윤혜민, 박소정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서비스 산업은 인도 내 생산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이다. 인도를 이끌고 있는 모디 정부는 최근 적극적인 제조업 육성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인도 경제는 서비스업 중심의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 인도의 초기 서비스업은 낮은 생산성을 가진 IT 아웃소싱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최근 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의 서비스업이 인도의 주요 산업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인도 서비스 산업에는 전반적인 생산성 개선과 구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주요국은 인도 서비스 산업의 여러 구조적 변화에 발맞추어 인도와의 서비스 산업 협력을 이어가고 있지만, 한-인도 협력은 제조업 중심의 협력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인도의 산업 구조 변화와 이와 관련한 정책을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인도 서비스 산업 내 수요 변화를 분석하고, 제조업 중심의 한-인도 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형민, 노윤재, 김도연, 백종훈, 김소은
국제사회의 중국 담론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중국 담론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담론이 각국에서 분절적으로 생산, 유통, 활용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거대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됐다. 그리고 국제사회에서 형성되고 있는 △ 중국 담론의 내용이 무엇이고, △ 누구에 의해 생산되고 있으며, △ 어떻게 유통 및 활용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Foucault(2000)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진리를 부정하고 권력에 의해 생산되는 진리 주장(truth claim) 또는 진리 효과(truth effect)를 강조했듯, 국제사회의 중국 담론이 어떠한 정치적 역학관계 속에서 생산되는지 고찰해보고자 했다.

허재철, 김주혜, 최재희, 최지원, 김성해, 김승수

KIEP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