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개
조직
경제안보팀
한형민 | 직급 | 팀장 | 분야 | 경제 안보, GVC, 국제 무역, 인도-남아시아 | 연락처 | 044-414-1230 | 메일 보내기 |
---|---|---|---|---|---|---|---|
최원석 | 직급 | 연구위원 | 분야 | 중국 산업, 사이버 안보 | 연락처 | 044-414-1048 | 메일 보내기 |
조성훈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경제안보(유럽), 이차전지, 핵심광물 공급망 | 연락처 | 044-414-1437 | 메일 보내기 |
홍진희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경제 | 연락처 | 044-414-1243 | 메일 보내기 |
이대은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한·미경제 안보 | 연락처 | 044-414-1055 | 메일 보내기 |
박보영 | 직급 | 연구원 | 분야 | 기술, 산업 정책분석 | 연락처 | 044-414-1062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230
주력분야 경제 안보, GVC, 국제 무역, 인도-남아시아
- 2018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국제경제학 박사
- 2014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국제경제학 석사
- 2012 연세대학교 경제학 학사
- 2023.08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위원
- 2018.08 ~ 2023.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부연구위원
- 2016.08 ~ 2016.11: 국제노동기구(ILO) 리서치 인턴
- 2014.11 ~ 2015.04: 세계무역기구(WTO) 리서치 인턴
-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 자국 중심의 경제안보 전략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방안 연구,
-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
-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 한·인도 수교 50주년: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
- 인도 신ㆍ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 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및 대외경제 협력 방안, 2021.12
-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對인도 정책 전망과 시사점,
- 미국의 베트남 환율조작국 지정과 영향,
-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 한국의 아세안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
- 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잠정 타결: 의미와 시사점,
- 인도 모디 2기 정부 출범의 의의와 경제정책 방향,
-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와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 발전 현황과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직급 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048
주력분야 중국 산업, 사이버 안보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437
주력분야 경제안보(유럽), 이차전지, 핵심광물 공급망
2022 미국 Stony Brook University, 경제학 박사
201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수료)
2013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2009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 학사
2022-현재, 부연구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2022, Special Sworn Status (SSS) Researcher
2017-2020, 연구자문위원, 노동연구원
2018, Research Assistant,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2-2014, 연구보조, 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2025.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통상협정 활용 연구. (공저, 진행중)
2025. 공급망 분절화의 경제적 영향 분석방법론 연구: 핵심광물에 대한 적용. (공저)
2024. 자국 중심의 경제안보 전략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 방안 연구. (공저)
2024. 무형자산 투자와 경제성장: 글로벌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2024.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공저)
2023.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공저)
2023. 주요국의 산업별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공저)
[현안자료]
2023. 경제안보시대의 공급망 재편 동향과 시사점. (공저)
2023. EU ‘그린딜 산업계획’ 후속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2023.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Working Paper]
2023.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공저)
[기타]
2025. The Global Race for Industrial Policy: Korea's Strategic Pathway to Economic Security. World Economy Brief.
2024. Unintended Consequences of Industrial Policy: The Dilemma of the US Inflation Reduction Act’s FEOC Guidelines. KIEP Opinions.
[수탁연구]
2025. 한국의 대외경제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연구. (공저)
2024. 해외 공급망 충격에 대비한 공급망 위기 대응 역량 강화 방안. (공저)
2024. 2024 미국대선: 전망과 대응방향. (공저)
2024. 2024년 경제안보 유사입장국 트랙2 전문가협의체 운영. (공저)
2024. 주요국 보호무역 정책의 국내 ICT 산업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연구 - 미국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저)
2023. '경제적 강압' 관련 논의 동향 및 경제 안보 관련 함의. (공저)
2023. 2025 APEC 핵심사업 발굴 및 성과 달성을 위한 준비 정책 연구 용역. 외교부. (공저)
2023. 위성정보 기반의 관심국가간 경제적 상호의존성 분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저)
2023. 기술패권(경제·기술·안보 통합) 시대, 과학기술의 국가발전 기여도 제고방안 분석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저)
2021. 데이터 기반 환경변수를 고려한 정책상황 진단예측 기반조성. 기획재정부. (공저)
[학술논문]
2020. R&D 활동 및 지원정책이 기업고용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노동리뷰. (공저)
2019. 도시철도개통이 통근·통학인구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통연구. (공저)
2016. 1873년 금융위기가 독일노동자들에 미친 영향. 경제연구.
2016. 자본주의 다양성 논의의 비판적 검증: 한국형 시장경제의 특질을 중심으로. 응용경제.
2015. Recovery from the Great Depression in the U.S., Britain, Germany and Japan: A Comparative Input-Output Analysis. (공저)
[포상]
2024. 우수보고서상. 최우수 현안분석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업무유공 표창장. 기획재정부.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43
주력분야 중국 경제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55
주력분야 한·미경제 안보
- KDI 국제정책대학원 개발정책학 석사 (2019)
- 한양대학교 국제학 학사 (2018)
- 2024.7~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무역통상안보실 경제안보팀 전문연구원
- 2022.12 ~2024.6: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경제안보전략실 경제안보팀 연구원
- 2020.2 ~ 2022.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신북방경제실 통일국제협력팀 연구원
- 2018.12 ~ 2019.5: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경제과 YP (영프로페셔널)
- 2017.2 ~ 2017.8: 유엔개발계획 캄보디아사무소 대학생봉사단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62
주력분야 기술, 산업 정책분석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동남아시아언어문명전공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국제농업개발협력전공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