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개
조직
인도남아시아팀
김경훈 | 직급 | 팀장 | 분야 | 개발도상국 산업화, 인프라, 국가자본주의, 자원민족주의 | 연락처 | 044-414-1263 | 메일 보내기 |
---|---|---|---|---|---|---|---|
노윤재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노동경제학, 개발경제학 | 연락처 | 044-414-1143 | 메일 보내기 |
김도연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경제, 인도 정치 | 연락처 | 044-414-1257 | 메일 보내기 |
윤지현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경제, 개발협력 | 연락처 | 044-414-1327 | 메일 보내기 |
강반디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정치·외교, 과학정책 | 연락처 | 044-414-1076 | 메일 보내기 |
김민희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경제, 국제통상, 개발경제 | 연락처 | 044-414-1522 | 메일 보내기 |
남유진 | 직급 | 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지역, 도시정책, 스마트시티 | 연락처 | 044-414-1330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263
주력분야 개발도상국 산업화, 인프라, 국가자본주의, 자원민족주의
2020년
· King's College London, 개발정치경제학 박사
2009년
· LSE, 개발정치경제학 석사
2005년
· University of Bristol, 경제학·경영학 학사
2022년-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2센터
· (2024년-) 인도남아시아팀 팀장
2009-2015년
·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학술 논문]
· 2023. After authoritarian technocracy: The space for industrial policy-making in democratic developing countries. Third World Quarterly, 44(9): 1938-1959. <공저>
· 2023. Analysing Indonesia’s infrastructure deficits from a developmentalist perspective. Competition & Change, 27(1): 115-142.
· 2023. Towards sustainable and resilient ASEAN-Korea economic integration 2.0. Asia and the Global Economy, 3(2).
· 2022. Locating new ‘state capitalism’ in advanced economie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government ownership in economic entities. Contemporary Politics, 28(3): 285–305.
· 2022. Key features of Indonesia's state capitalism under Jokowi. Journal of ASEAN Studies, 10(2): 207–226.
· 2021. Bringing state-owned entities back into the industrial policy debate: The case of Indonesia.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59, 496–509. <공저>
· 2021. Indonesia’s restrained state capitalism: Development and policy challenges.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51(3), 149–446.
· 2020. The state as a patient capitalist: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Indonesia’s development financiers. The Pacific Review, 33(3–4), 635–668.
· 2019. Using partially state-owned enterprises for development in Indonesia. Asia Pacific Business Review, 25(3), 317–337.
· 2018. Matchmaking: Establishment of state‐owned holding companies in Indonesia. Asia & the Pacific Policy Studies, 5(2), 313–330.
[저서]
· 2016. 2020 유럽의 미래: EU의 글로벌 기업 규제와 디지털 성장전략 해부.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공저>
· 2012. 넥스트차이나: 언제까지 중국만 쳐다보고 있을 것인가.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공저>
[저서 - 챕터]
· 2024.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ROK-India development partnership. "India-ROK partners of strategic trust in the Indo-Pacific". New Delhi: Indian Council of World Affairs.
· 2022. The developer’s dilemma: A survey of structural transformation and inequality dynamics. "The developer’s dilemma: Structural transformation, inequality dynamics, and inclusive grow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공저>
· 2022. Structural transformation and inclusive growth: Kuznets’ ‘developer’s dilemma’ in Indonesia. "The developer’s dilemma: Structural transformation, inequality dynamics, and inclusive grow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공저>
· 2019. Is structural transformation-led economic growth immiserising or inclusive? The case of Indonesia. "Immiserizing Growth: When Growth Fails the Poo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공저>
· 2017. 폴란드의 국제개발협력. "EU와 국제개발협력". 서울: 박영사.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43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노동경제학, 개발경제학
-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경제학 박사 (2020)
-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2014)
- 서강대학교 프랑스문화 학사, 경제학 학사 (2012)
- 부연구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현재
[Publications]
- “On the Efficiency of Racetrack Betting Market: A New Test for the Favorite-Longshot Bias,” with Jinook Jeong and Jeeyoung Kim, Applied Economics, (2019): 5817-5828.
[KIEP 발간물]
연구보고서
-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023
- “주요국의 산업별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공저), 연구보고서, 2023
-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023
-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연구책임, 공저), 연구보고서, 2022
-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2022
-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2022
- “중국인의 삶의 질 분석: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객관적 고찰” (공저), 연구보고서, 2021
연구자료
-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연구책임, 공저), 연구자료, 2022
-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연구책임, 공저), 연구자료, 2021
현안자료
- 한·방글라데시 수교 50주년: 개발협력 성과와 과제, 오늘의 세계경제, 2023
- Demographic Dividend and Economic Growth: Exploring the Case of India, World Economic Brief, 2023
- Population Dynamics in India: Navigating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Demographic Transition , KIEP Opinions, 2023
- Recent Marriage and Labor Supply Pattern of Young Chinese Women, World Economic Brief, 2022
- India’s Second COVID-19 Wave: a Hit to the Country’s Economic Recovery, KIEP Opinions, 2021
- 인도의 코로나19 재확산 현황 및 전망, 세계경제 포커스, 2021
- 인도와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외교 동향과 시사점, 세계경제 포커스, 2021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57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경제, 인도 정치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인도·아세안 학과 박사 과정 중(재학)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인도·아세안 학과 석사 졸업
(학위 논문: 인도 중소기업 정책 특성에 관한 연구)
[KIEP 발간물]
- "2024 인도 총선 의의와 시사점",KIEP, 세계경제포커스 24-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4
- "인도의 그린수소 개발 관련 국제협력 현황 및 시사점", KIEP, 세계경제포커스 24-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3
-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KIEP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12
- "인도 농산물 수출 제한 배경 및 영향", KIEP, 세계경제포커스 23-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9
- "인도 주가지수 상승의 주요 배경 및 시사점", KIEP. KIEP 기초자료 23-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5
- "2022년 네팔 총선 결과와 집권당의 과제", KIEP, 세계경제포커스 22-3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2
-"인도 농산물 수출 증가의 대내외 요인과 시사점", KIEP, KIEP 기초자료, 2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0.
- "인도 5개주 주의회 선거 결과와 의의"(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2-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3.
-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2-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2.
-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공저), KIEP 연구보고서 20-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신남방지역 디지털경제 협력방안"(공저), KIEP 세계지역전략연구보고서 19-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인도 모디 2기 정부 출범의 의의와 경제정책 방향”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9-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6.
- “2019 인도 총선 주요 이슈와 전망”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9-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 발전 현황과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공저), KIEP 기초자료 18-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한·인도, 한·싱가포르 정상회담 성과와 신남방정책의 과제”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8-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8.
- "2023년 세계경제 전망"(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2-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1
- "2022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05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327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경제, 개발협력
- 연세대학교 경제학 박사 수료
- 이화여자대학교 개발협력학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 학사
- 중앙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전략과 경협 확대방안 2016.12
- 중앙아시아 개발과제와 한·중앙아 신협력 방향 2017.12
- 한ㆍ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산업협력 증진방안 2017.12
- 한국의 대인도 수출경쟁력과 애로요인 분석 2018.12
- 인도 산업클러스터 경쟁력 분석과 시사점: 마하라슈트라 주를 중심으로 2019.12
- 한국의 아세안 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
-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2019.12
- 인도 한류 분석과 문화협력 확대방안: 음악 및 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2020.12
- 신남방지역 온라인 플랫폼 시장 분석과 시사점, 2020.12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
[KIEP 발간물 - 현안자료]
- "방글라데시 반정부 시위의 경과와 전망"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4-32, 2024.8.
- "인도 원료의약품(API) 자급화 정책 동향과 시사점", KIEP 기초자료 24-08, 2024.7.
-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4-07, 2024.5.
- "2024년 인도 총선 의의와 시서점"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4-14, 2024.4.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22-19, 2022.7.
- “Digital Platform Markets of ASEAN and India: Implications for Cooperation with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 21-33. 2021.6.
- "신남방지역 온라인 플랫폼 시장 분석과 시사점"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20-10, 2021.6.
- "2021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28, 2020.11.
- "Korea's Investment in ASEAN: An Analysis Linking Foreign Subsidiary Activities and Parent Data"(공저). World Economy Brief 20-20. 2020.7.
- "Current GVC Structure and Strategies to Upgrade Korea's Production Network in ASEAN and India"(공저). World Economy Brief 20-13. 2020.5.
- "코로나19 위기 속 주요국의 외국인투자 심사 강화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15, 2020.5.
- "2020년 세계경제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14, 2020.5.
-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20-15, 2020.4.
- "잠무·카슈미르 특별자치권 박탈의 주요 내용과 전망"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9-26, 2019.8.
- "2019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09, 2019.5.
- "2019 인도 총선 주요 이슈와 전망"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9-09, 2019.4.
- "And Analyisis on the Competitiveness and Difficulties in Korea's Export to India"(공저). World Economy Brief 19-04. 2019.3.
- "한국의 대인도 수출경쟁력과 애로요인 분석"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18-15, 2019.3.
-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와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03, 2019.2.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주요 신흥국의 외환시장 동향과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8-02, 2018.10.
- “India’s Modinomics and Korea’s New Southern Policy”(공저). World Economy Brief 18-25. 2018.9.
- "신남방시대, 인도 모디노믹스 성과와 한·인도 협력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25, 2018.7.
- "2018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22, 2018.6.
-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of Major Central Asian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공저). World Economy Brief 17-25. 2017.12.
- "2018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30, 2017.11.
- "2017년 세계경제전망 (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12, 2017.4.
- "중앙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전략과 경협 확대방안"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16-19, 2017.1.
- “The Russian Economic Crisis and Falling Remittances in Central Asia.” World Economic Brief 16-28. 2016.11.
- “러시아 경기침체가 중앙아시아 해외송금유입에 미치는 영향”, 오늘의 세계경제 16-24, 2016.7.
- “투르크메니스탄 천연가스 수출의 대외적 변수와 해결 과제”, 오늘의 세계경제 16-08, 2016.3.
- “수교 25주년, 한·몽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09, 2015.3.
[기타]
- 「코로나19와 인도 경제 전망」(공저), 남아시아 이슈페이퍼 4-4, 인도연구소, 2020.12. pp.4-13.
- 『주변국 국경안보: 사례와 검증』(공저), 연구총서 17-22-02, 통일연구원, 2017.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76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정치·외교, 과학정책
-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서울대학교 정치학 석사
-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수료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EMERiCs·CSF·AIF 운영)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도남아시아팀
[주요 발간물]
"인도의 우주 산업 육성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포커스, 2025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
"2024 인도 총선 의의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포커스, 2024
"글로벌 기업과 주요국의 디지털 화폐 발행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미래변화 대응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 및 포럼 운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과학기술기반 사회혁신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한·중 ICT 벤처·스타트업 및 공동연구 협력방향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7
"창조경제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 및 기본전략 수립",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7
"한국·싱가포르의 미국과의 FTA 체결요인분석: 동아시아 국가의 신중상주의적 정책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2 (2014): 301-27.
"동아시아 지역중심 FTA의 한계와 한미 FTA로의 통상정책 전환 :노무현 행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8.1 (2012): 129-58.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522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경제, 국제통상, 개발경제
- 개발정치경제학 석사, SOAS, 런던대학교 (2020)
- 글로벌통상학(부전공: 국제개발협력) 학사, 숭실대학교 (2018)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2센터 인도남아시아팀 (2024.12~)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델리사무소 (2022.12~2024.11)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신남방경제실 인도남아시아팀 (2021.2~2022.11)
- 미얀마 쿠데타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 동향과 시사점,
- 인도의 코로나19 재확산 현황 및 전망,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對인도 정책 전망과 시사점,
-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에 대한 인접국의 대응 및 전망,
-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
-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
-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
- 한·방글라데시 수교 50주년: 개발협력 성과와 과제,
- 인도의 그린수소 개발 관련 국제협력 현황 및 시사점,
-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도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시사점,
- 인도 바이오경제(Bioeconomy) 육성 전략과 시사점,
2024년 KIEP 델리브리핑 Vol. 1 No. 3 (2024.11)
2024년 KIEP 델리브리핑 Vol. 1 No. 2 (2024.9)
2024년 KIEP 델리브리핑 Vol. 1 No. 1 (2024.7)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330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지역, 도시정책, 스마트시티
- KDI 국제정책대학원 개발정책학 석사
-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 학사
- 2022.04~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인도·남아시아팀
- 2021.04~2021.12 : 한국 조세재정연구원(KIPF) 정부투자분석센터 인프라사업조사팀
[KIEP 현안자료]
- 인도 항만 인프라 개발전략 ‘사가르말라(Sagarmala)’의 성과 및 시사점, 2025.02
- 인도 스마트시티 미션(Smart Cities Mission)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023.08
- 2024년 인도 총선 의의와 시사점 2024.04 (공저)
- 한·인도 수교 50주년: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2023.12 (공저)
-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다각화 정책과 한국의 기회 2023.10 (공저)
- 인도 모디 총리의 방미(訪美) 성과와 시사점, 2023.07 (공저)
- 최저개발국(LDCs) 현황과 지역별 협력 방안: GNI, HAI, EVI 지수를 중심으로, 2023.05 (공저)
- 2022년 네팔 총선 결과와 집권당의 과제, 2022.12 (공저)
- 파키스탄 경제 불안 현황과 전망, 2022.08 (공저)
-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2022.05 (공저)
[KIEP 보고서]
-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 (공저)
-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 (공저)
-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3.07 (공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