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개
조직
세계지역연구1센터
이승신 | 직급 | 센터장 | 분야 | 중국경제 | 연락처 | 044-414-1235 | 메일 보내기 |
---|---|---|---|---|---|---|---|
이강희 | 직급 | 선임연구조원 | 분야 | 연구 행정 | 연락처 | 044-414-1063 | 메일 보내기 |
김새날 | 직급 | 선임연구조원 | 분야 | 연구 행정 | 연락처 | 044-414-1289 | 메일 보내기 |
최민정 | 직급 | 선임연구조원 | 분야 | 연구 행정 | 연락처 | 044-414-1059 | 메일 보내기 |

직급 센터장
전화번호 044-414-1235
주력분야 중국경제
[KIEP 발간물]
-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12. (발간 예정)
-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2-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2.
- "중국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해외진출 전략과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8-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19차 당대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3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1.
-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평가와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7-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8.
- “뉴노멀 시대 중소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6-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8.
- “중속성장 중국경제와 한·중 경제협력” (공저), 중국종합연구 15-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The Chinese Economy’s New Normal: The Way Forward”, KIEP Opinions 57, KIEP, 2015.5.
- “The Economic Integration of China, Taiwan, and Hong Kong: Implications for Korea’s Trade Policy”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3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8.
- “중국·대만·홍콩의 경제통합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대중국 경제협력 및 무역투자 활성화 방안: 내수시장 진출과 투자 활성화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1-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세계경제 위험요인 평가와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8.
- “2011년 양회(兩會)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4.
- “중국의 경기순환 및 거시경제정책: 구조적 특징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0-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중국·대만 ECFA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0-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7.
- “중국의 유통서비스업 현황 및 활용방안: 소매유통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9-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최근 중국경제 동향 및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6.
- “한국의 대중국 교역 동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4.
- “한·중 FTA 대비 중국의 FTA 서비스협정 분석과 정책제언” (공저), 연구보고서 08-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중국 소비시장의 특징과 진출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08-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중국 경제 리스크 진단과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4.
[주요 논문]
- “중국의 인구이동이 사회와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展望과 探索, 第1卷, 第9期, 타이페이(台北), 2003.9.
- “중국과 대만 간 산업분업의 현실과 의미: 자동차산업과 컴퓨터 산업을 예로”, 東亞季刊, 第34卷, 타이페이(台北), 2003.4.
- “한국기업의 對 중국 투자현황과 대만기업과의 비교”, 兩岸經貿, 第86期, 타이페이(台北), 1999.2.
- “한국과 대만기업의 對 중국 투자 비교: 산동성과 복건성의 비교”, 共黨問題硏究, 第24卷, 타이페이(台北), 1998.9.
[주요 조사·연구보고서]
- “한국의 대중·대일 무역수지 변동요인 분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07.
- “2006년 한중 무역구조 분석-가공단계별, 기술수준별 무역구조를 중심으로”,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07.
- “중국 4대 경제구 발전계획과 우리의 대응방안”,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6.
- “미·중 무역현안과 시사점”,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6.
- “대만의 외국인투자 유치 동향과 시사점-일본의 투자를 중심으로”,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6.
- “중국의 주요 IT 산업 클러스터 발전현황 및 전망”,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6.
- “중국진출 우리 기업 실태조사-중국의 비즈니스 환경변화와 그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6.
- “화교기업의 중국사업 전략과 시사점”,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5.
직급 선임연구조원
전화번호 044-414-1063
주력분야 연구 행정
직급 선임연구조원
전화번호 044-414-1289
주력분야 연구 행정
직급 선임연구조원
전화번호 044-414-1059
주력분야 연구 행정
북미유럽팀
강구상 | 직급 | 팀장 | 분야 | 북미 경제, 산업조직론, 응용미시경제 | 연락처 | 044-414-1099 | 메일 보내기 |
---|---|---|---|---|---|---|---|
장영욱 | 직급 | 연구위원 | 분야 | 유럽 경제, 국제이주, 경제사 | 연락처 | 044-414-1221 | 메일 보내기 |
김윤정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유럽 경제, 복지정책 | 연락처 | 044-414-1302 | 메일 보내기 |
김혁중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북미 경제 | 연락처 | 044-414-1166 | 메일 보내기 |
이영준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유럽 경제, 계량경제학, 응용미시경제학 | 연락처 | 044-414-1211 | 메일 보내기 |
이철원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EU, 동유럽, 튀르키예, 중-EU 관계 | 연락처 | 044-414-1071 | 메일 보내기 |
김종혁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미국·캐나다 경제 | 연락처 | 044-414-1193 | 메일 보내기 |
오태현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EU, 서유럽, Finance, Industry, Energy, Environment, FTAs, IPE | 연락처 | 044-414-1159 | 메일 보내기 |
이현진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EU, 서유럽(독일/베네룩스/오스트리아/스위스) | 연락처 | 044-414-1226 | 메일 보내기 |
권혁주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북미경제 | 연락처 | 044-414-1086 | 메일 보내기 |
임유진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서유럽 경제(영국·아일랜드), 북유럽 경제, 거시경제 | 연락처 | 044-414-1064 | 메일 보내기 |
박은빈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북미 경제 | 연락처 | 044-414-1046 | 메일 보내기 |
김초롱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동유럽, EU 가입후보국 | 연락처 | 044-414-1124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099
주력분야 북미 경제, 산업조직론, 응용미시경제
- 2018 University at Albany 경제학 박사
- 2016 University at Albany 경제학 석사
- 2008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학사
- 2018.8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부연구위원
[KIEP 발간물]
- “NAFTA 재협상, 미국·멕시코 합의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3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9.
[주요 논문]
- “Essays on Merger and Innovation”, 학위논문(박사), University at Albany, 2018.

직급 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221
주력분야 유럽 경제, 국제이주, 경제사
경제학 학사, 연세대학교 (2009)
경제학 석사, 런던정경대 (2011)
경제사 박사, 런던정경대 (2019)
Jang, Y. (2019), "Jews and Koreans in the USSR: Patterns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디아스포라연구 (Journal of Diaspora Studies) 13(2), 81-114
Jang, Y. (2021), "Road Home: The Role of Ethnicity in the Soviet and Post-Soviet Regional Migration", Migration Studies 9(3), 617-648
장영욱, 이정은, 유광호, 윤형준 (2022),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2021), "주요국의 코로나19 방역체계 전환 양상 및 경제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오태현 (2021),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윤형준 (2021), "주요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 및 접종률 제고 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오태현 (2021), "EU 신(新) 통상전략의 주요 내용과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윤형준 (2021), "유럽 주요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 및 2021년 경제회복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2020), "유럽의 코로나19 재확산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오태현, 이현진, 윤형준 (2020), "유럽 그린딜이 한국 그린뉴딜에 주는 정책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윤형준 (2020), "스웨덴의 코로나19 대응전략과 경제적 영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302
주력분야 유럽 경제, 복지정책
경제학 박사 (2022),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경제학 석사 (2018),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경제학 학사 (2013), 고려대학교
[Publication]
Peer-Reviewed Journal
"Quasi‐Experimental Evidence on the Effects of Expanding Cash Welfare." (joint with Matthew Freedm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022).
[개인 홈페이지]
https://yoonjungkim.io/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66
주력분야 북미 경제
UC Davis 경제학 박사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학사
- 2022.08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미주팀 부연구위원
- 2014.11 ~ 2016.08: 산업연구원 산업통상분석실 초청연구원
[현안대응]
- "미국 반도체 수출통제 확대 조치의 영향과 시사점" (공저), 2023, KIEP 세계경제포커스
-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조시설 수출통제에 따른 중국의 장비 수입 변화 분석" (공저), 2023, KIEP 오늘의 세계경제
- "미국 중간선거의 정치·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공저), 2022, KIEP 오늘의 세계경제
- "미국의 대중국 AI 반도체 수출규제 영향과 시사점", 2022, KIEP 세계경제포커스
- "해외생산 확대가 수출에 미치는 시사점: 일본 제조업 사례를 중심으로" (공저), 2016, KIET 산업경제
- "무역기술장벽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 FTA TBT를 중심으로" (공저), 2016, KIET 산업경제
[보고서]
- "기업결합과 혁신: 미국 디지털플랫폼과 경쟁정책을 중심으로" (공저), 2024, KIEP 연구보고서
-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확대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 방안" (공저), 2024, KIEP 연구보고서
-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공저), 2022, KIEP 연구보고서
- "2012년도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 작성과 분석 연구" (공저), 2015, KIET 연구보고서
- "FTA 체결을 통한 TBT 규제협력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 (공저), 2015, KIET 연구보고서
- "국내 조정 비용을 고려한 무역자유화의 효과 분석과 시사점: 일자리 안정성을 중심으로" (공저), 2015, KIET 연구보고서
- "FTA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통합DB 구축방안 연구" (공저), 2015, KIET 정책자료
- "Demand Structure Analysi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공저), 2015, KIET Occasional Paper No.97
- "국제가치사슬 구조에서 본 산업별 경쟁력 분석 및 정책과제" (공저), 2014, KIET 연구보고서
[수탁과제]
- "한미 경제외교 확대방안" (공저), 2023.8.21~2023.12.31, 외교부
- "미국의 반도체 전략 및 한국의 외교적 대응 방안" (공저), 2023.5.22~2023.11.30, 외교부
- "2023 국가의제 종합연구 대외분과 연구" (공저), 2022.12.29~2023.3.3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정책 추진에 따른 대만의 대응과 정책 시사점" (공저), 2022.12.01~2023.3.11, 국회 산자위
- "한-중 FTA의 고용효과" (공저) 2020.08~2020.12, 고용노동부
- "한-칠레 FTA 고용영향평가" (공저) 2015.4~2015.8, 노동연구원
- "한·중 FTA 영향평가" (공저) 2014.12~2015.04, 산업통상자원부
- "무역기술장벽 대응활동에 대한 경제적 효과 분석" 2014.09~2015.02 (공저) 국가기술표준원
- "한국의 산업구조 분석과 전망" (공저) 2014.10~2014.12 에너지경제연구원
- "광역지역별 지역내 산업별 실질부가가치 전망" (공저) 2014.07~2014.09 고용정보원
- "저탄소차 협력금제도 산업효과 연구" (공저) 2014.05~2014.08 조세연구원
- "경제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2014~2023)" (공저) 2014.03~2014.06 고용정보원
[포상]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211
주력분야 유럽 경제, 계량경제학, 응용미시경제학
2019, University College London, 경제학 박사
2012, London School of Economics, 계량경제학 및 수리경제학 석사
2011,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석사
2009,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학사
2024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부연구위원
2022 - 2024, Bocconi University, 리서치 펠로우
2019 - 2022, University of Copenhagen, 박사후 연구원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71
주력분야 EU, 동유럽, 튀르키예, 중-EU 관계
[KIEP 발간물]
- "유럽으로의 통합과 복합-유럽화" (공저),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총서 8, 인문과교양, 2023. 7
-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22-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12
-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공저), 중장기통상전략연구 22-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12
- "유럽 친환경자동차산업 정책분석과 시사점: e-모빌리티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자료 21-01, 2021. 5
-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 대응" (공저), 연구보고서 전략지역심층연구 20-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12
- “미·중 통상마찰 구도하의 EU의 대중 전략과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19-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7
- “Emerging Countries Strategy for China: Focusing on BRI” (공저), World Economy Brief 19-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3
- “신흥국의 대중국 경제협력 전략: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대응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8-67-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중·EU 통상현안 분석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8-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EU의 여성 노동참여확대 및 차별완화 정책 현황과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18-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1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주요 신흥국의 외환시장 동향과 시사점” (공저), 세계경제 포커스 18-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0
-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현황” (공저), 기초자료 18-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9
- “최근 터키 경제의 변동성 증가 배경 및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18-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5
- “브렉시트 앞둔 영국의 생산성 정체 대응방안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2
- “브렉시트 이후 EU 체제의 전망과 정책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7-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한·루마니아 산업협력 증진방안: ICT와 인프라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7-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The EU's FTA Strategies in its New Trade Policy Initiatives and Policy Implication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7-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9
- “유라시아경제연합의 투자환경과 한국의 진출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7-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8
- “한국의 대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투자 현황과 비즈니스환경 분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5
- “신통상정책에 나타난 EU의 FTA 추진전략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슬로바키아의 주요 산업과 한·슬로바키아 산업협력 증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Employment Policies Amid Low Growth: Case Studies of European Countrie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0.
- “EU의 난민정책 현황과 향후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3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저성장시대의 고용확대 정책: 유럽 주요국 사례 및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5-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한·러 경제협력의 평가와 중장기 비전” (공저), 단행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Policies for Industrial Competitiveness Improvement in Europe and their Implication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6.
- “유럽 주요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정책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4-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 Harmonizing Social Welfare and Economic Growth: Case Studies of European Countries and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5.
- “최근 터키 정세 및 경제 리스크 점검”, 지역경제포커스 14-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유럽의 사례를 통해 본 복지와 성장의 조화 방안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3-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폴란드의 주요 산업_자동차, 인프라”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크로아티아 EU 가입의 의의 및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13-4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7.
- “슬로베니아 은행위기 현황 및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3-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5.
- “Financial Supervisory and Regulatory Reform of the EU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4.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EU 금융감독 및 규제변화” (공저), 연구보고서 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최근 보호무역주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 “불가리아의 주요 산업: IT,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한·EU FTA 이후 대EU 통상정책의 방향과 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1-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주요국의 리비아 사태에 대한 대응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9.
- “체코의 주요 산업”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0-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한·러 극동지역 경제협력 20년: 새로운 비전과 실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0-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유로존 10년의 평가와 향후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10-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헝가리 재정위기의 파급효과와 향후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0-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6.
- “한ㆍ터키 FTA 협상 개시와 의의”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0-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4.
- “한·터키 FTA와 경제협력 증진방안” (공저), 연구자료 10-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4.
- “터키의 주요 산업: 자동차산업, 정보통신산업, 에너지·인프라 산업 ”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09-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해외자원개발의 전략적 추진방안: 4대 신흥지역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9-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1.
- “기후변화협상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8.
- “한ㆍ폴란드 경제협력, 양국 경제회복 촉진계기”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7.
- “동유럽 금융위기 이후 EU의 대책과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4.
- “헝가리의 주요 산업: 자동차,IT,금융,제약 ”, (공저), 단행본 08-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카자흐스탄의 주요 산업: 석유,IT,건축자재,의약” (공저), 단행본 08-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헝가리 금융위기와 파급 가능성”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8-3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1.
- “슬로바키아의 유로화 도입과 유로존의 확대”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8-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7.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EU” (공저), 연구자료 07-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중ㆍ동구 신규회원국의 EU 가입 3주년 평가”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7-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5.
- “러시아의 동부지역 개발전략과 한국의 참여 확대방안: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6-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 “터키의 국가 현황 및 경제협력 증진 방안”, 지역연구시리즈 05-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4.
- “韓-헝가리 정상회담: 양국간 IT산업 협력증진의 계기”, 오늘의 세계경제 05-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3.
- “중·동구 주요 EU신규회원국의 적정환율 분석과 EMU 가입에 대한 시사점” (공저), Policy Analysis 0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2.
- “폴란드의 정치·경제현황과 한·폴란드 경제협력 증진 방안”, 연구자료 04-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1.
- “EU확대 이후 중·동구 지역의 교역·투자전망과 한국 경제에 대한 시사점”, 지역연구시리즈 0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8.
- “2004년 EU확대와 유럽경제의 변화” (공저), Policy Analysis 03-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 “헝가리 경제개혁의 추진현황과 평가”, 지역연구시리즈 03-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7.
- “아일랜드의 니스조약 비준에 따른 2004년 EU 확대 현실화”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2-3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10.
- “중-동구 주요국의 금융구조조정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Policy Analysis 01-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12.
- “유로화 출범 이후 유럽경제의 환경변화와 향후 전” (공저), 연구자료 0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5.
- “체제전환국의 경제개발비용 조달” (공저), 연구보고서 00-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12.
- “국가경쟁력; 유럽에서 배운다” (공저), 단행본 00-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12.
- “개혁추진 외국사례와 시사점” (공저), Working paper 9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2.
- “유로화 출범의 파급효과 및 對EU 통상환경의 변화” (공저), Policy Analysis 98-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12.
- “러시아 금융위기의 원인과 파급효과” (공저), 연구보고서 98-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12.
- “서방의 중앙아시아 석유 가스부분 진출현황”, Policy Analysis 97-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7.12.
- “한국기업의 對CIS 투자실태 및 과제”, (센)조사보고 96-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12.
-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조세제도”, (센)조사보고 95-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5.12.
-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외국인투자제도”, (센)조사보고 94-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12.
- “1994 러시아연방 편람” (공저), (센)편람 94-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5.
- “우즈베키스탄 편람” (공저), (센)편람 9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5.
- “카자흐스탄 편람” (공저), (센)편람 93-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3.8.
- “1993 러시아연방 편람” (공저), (센)편람 93-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3.6.
[주요 논문]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 (공저), 중소연구 제39권 제2호, 2015.8.
- “중부 및 남유럽 국가들의 유로존 핵심국가들에 대한 경기 동조화 분석”, EU연구, 2014.2.
- “러시아의 산업경쟁력 분석과 한-러 산업협력 전략”, 비교경제연구, 2011.3.
- “동유럽 국가와 유로존간의 경기 상호의존구조 분석”, 동유럽연구, 2009.10.
- “중동구 국가들의 EU 가입 추진현황과 전망”, 동유럽발칸학, 2003.6.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93
주력분야 미국·캐나다 경제
- 1999~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경제학 박사 과정
- 1999 University of Houston at College Park 경제학 석사
- 2012.2 ~ 현 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미주팀 전문연구원
- 2009.12 ~ 2012.2 :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연구관
- 2009.4 ~ 2009.10 : 미국 East-West Center 연구원(Professonal Associate)
- 2007.3 ~ 2008.12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금융실 국제거시팀 겸직
- 2007.1 ~ 2009.11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미주팀 전문연구원
- 2003.3 ~ 2006.12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북아경제협력센터 (전문)연구원
- 2003.3 ~ 2003.6 : 숭실대학교 경제ㆍ국제통상학부 통계학 강사
- 2001.3 ~ 2002.9 : 미국 East-West Center 연구원(Project Assistant)
- 1997.9 ~ 1999.2 : University of Houston (teaching assistant)
[KIEP 발간물]
- “MERCOSUR와 태평양동맹(PA)의 향후 전개방향 및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20-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주요국의 혁신성장 정책과 제도: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9-15-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소득주도 성장 관련 유럽 및 미국의 정책사례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8-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미국의 신정부 통상정책 방향 및 시사점: 미ㆍ중 관계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7-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성장전략: 미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7-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미국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 지속가능성 점검 및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6-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정책과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4-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한·캐나다 수교 50주년: 경제협력 성과와 과제” (공저), 연구자료 13-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0.
- “In Search of a New U.S. Economic Path in the Aftermath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3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7.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경제의 진로 모색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최근 보호무역주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 “최근 미국 주택시장 동향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4.
- “미국 서비스산업의 성장요인 분석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8-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2009년 세계경제전망: 세계지역경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4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미국 신행정부의 주요 정책과 한국의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4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1.
- “세계 각 지역, 국가별 경제성장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4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1.
- “2008 하반기 주요국 경제동향 및 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4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8.
- “2008 하반기 세계경제 전망: 국제금융시장과 경제성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8
- “최근 세계경제 동향 및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5.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북미” (공저), 연구자료 07-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미국경제 동향 및 2008년 전망 총괄”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7-5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2007년 국제금융시장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7-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3.
- “전문직 및 비금융업의 자금세탁방지의무: 주요국 운영사례와 제도 도입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05-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 “외국인투자유치 전략 로드맵”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3-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9.
[주요 논문]
- “Have Internet Changed the Wage Structure too?”, Labour Economics Vol.11 Issue1, 2004.2
[연구용역보고서]
- “OECD 캐나다 경제검토회의 보고서 검토 및 후속 대응”, 기획재정부, 2021.6.
-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사업”, 국민경제자문회의, 2020.12.
- “미국 통상정책 전망과 우리의 대응방안”, KOTRA, 2020.10.
- “2024년 제26회 세계마스터스육상경기대회 타당성조사 연구용역”, 대구광역시청, 2020.8.
- “2019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사업”, 국민경제자문회의, 2019.12.
- “한·미 경제외교 확대 방안 연구”, 외교부, 2019.12.
- “고인쇄박물관 확대를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청주시청, 2019.12.
- “주요국 경제자문기구 현황조사 및 협력방안”, 국민경제자문회의, 2018.12.
- “중남미지역기구 및 싱크탱크와의 협력방안”, 외교부, 2018.2.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한·중남미 협력 방안”, 외교부, 2017.8.
- “제4차 산업혁명과 한·미 협력방안”, 국민경제자문회의, 2017.5.
- “수출확대를 위한 국가별 경제협력방안 수립: 미국”, KOTRA, 2016.10.
- “2017금산세계인삼엑스포 국제행사 타당성조사”, 금산세계인삼엑스포조직위원회, 2016.8.
- “한.중남미 태평양 경제협력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 한.중남미협회, 2014.12.
- “2015 서울 세계시각장애인챔피언십대회 기본계획 타당성조사”, 2015 서울 세계시각장애인챔피언십대회 조직위원회, 2014.9.
- “2016 장흥국제통합의학박람회 기본계획 타당성조사”, 장흥군청, 2014.8.
- “기업 부담완화를 위한 해외국가들의 원산지 사후검증 사례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3.12.
- “대내외 수출환경 변화대응 이슈분석 조사용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3.12.
- “미국의 기업살리기 정책 현황 및 시사점“, 전국경제인연합회, 2013.5.
- “수출인큐베이터 입주업체 성과분석 및 코트라 현지 서비스 만족도 조사”, 중소기업진흥공단, 2012.11.
- “주요 생물자원 이용국의 DB구축 현황파악 및 시스템 분석”, 국립생물자원관, 2012.10.
- “대외경제정책 중장기 추진전략”, 기획재정부, 2012.12.
- “한국경제60년사(대외경제분과)”, KDI, 2009.12.
- “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기본자료 연구용역”, 대통령실, 2009.04.
- “CMI 다자화 3단계 논의에 대한 아국의 대응방안”, 기획재정부, 2008.11.
- “역외금융기관 역외기업을 이용한 자금세탁 유형 및 대응방안”, 금융정보분석원, 2007.12.
- “주요국의 FTA체결에 따른 국내산업 지원대책 수립사례 연구”, 기획예산처, 2007.10.
- “비영리단체를 통한 자금세탁 가능성 분석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 재정경제부, 2006.12.
- “서비스형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 연구”, 재정경제부, 2006.06.
- “해외진출지원 인프라 전략적 육성을 위한 연구용역”, 중소기업진흥공단, 2006.5.
- “대체송금에 대한 규제방안 연구”, 재정경제부, 2005.12.
- “송도국제도시 개발전략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포스코 경영연구소, 2005.7.
- “전문직종사자/비금융업에 대한 자금세탁방지의무 부과방안 연구”, 재정경제부, 2004.12.
- “FTA 원산지규정의 결정요인 분석연구”, 재정경제부, 2004.8.
- “남북경제통합에 대비한 북한 주요도시의 산업발전방향과 남북협력방안”, 국토연구원, 2004.5.
- “FATF 40개 권고사항 개정에 따른 국내제도 개선방안 연구”, 재정경제부, 2003.11.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59
주력분야 EU, 서유럽, Finance, Industry, Energy, Environment, FTAs, IPE
[주요경력]
- 2021.8 ~ 2022.5 :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 2016.3 ~ 2016.8 : 유럽중앙은행(Frankfurt) DGMF/MAF
- 2011.3 ~ 2012.2 : 기획재정부 예산실
- 2005.11 ~ 2006.4 : 세종연구소 Research Assistant
- 2004.1 ~ 2004.7 :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수업조교
[주요활동]
-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 유럽중앙은행 Visiting Fellow
- 기획재정부 예산실 전문위원
- OECD EDRC: France 경제검토회의 한국 대표단
- 한-EU FTA 엔지니어링 서비스 연구자문
- 동유럽경제사절단
- 환경부 용역 평가위원
[수상경력]
- 2011 기획재정부장관 표창
[KIEP 발간물]
- “유럽 인플레이션 리스크 확대 및 전망”, 세계경제포커스 22-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7.
- “프랑스 총선 결과 및 시사점”(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2-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6.
-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4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7.
- “EU 반도체 전략의 주요 내용과 평가”, 세계경제포커스 21-4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7.
- “최근 디지털세 논의 동향과 시사점”(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1-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7.
- “2021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1-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5
- “EU 지속가능금융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전망”, 세계경제포커스 21-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5.
- “미 바이든 행정부의 대유럽 정책과 전망”(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5.
- “EU 신통상전략의 주요 내용과 전망”(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3.
- “미얀마 쿠테다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 동향과 시사점”(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3.
- “EU-중국 포괄적투자협정(CAI) 합의 및 평가”(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1.
- “EU․영국 간 무역협력협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0-3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유럽 그린딜이 한국 그린뉴딜에 주는 정책 시사점”(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9.
- “주요국 수소전략의 추진 방향과 시사점”(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8.
- “EU 2021~27년 지출예산(MFF) 및 경제회복기금(NGEU)의 주요 내용과 평가”, 세계경제포커스 20-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8.
- “코로나19 위기 속 주요국의 외국인투자 심사 강화와 시사점”(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5.
- “코로나19 대응 주요국의 재정 및 통화금융 정책”(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0-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4.
- “유럽 그린딜 관련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 및 시사점”(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3.
- “OECD 디지털세 기본합의안의 주요 내용과 전망”, 세계경제포커스 20-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2.
- “주요국의 혁신성장 정책과 제도: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ECB 완화적 통화정책의 주요 내용과 전망”, 세계경제포커스 19-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0.
- “영국 존슨 내각 출범 이후 브렉시트 전망”, 세계경제포커스 19-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8.
- “프랑스 디지털세 도입의 의미와 전망”, 세계경제포커스 19-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8.
- “미국-EU 무역협정 협상의 주요 쟁점 분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6.
- “북유럽 경제의 특징과 협력 확대 방안: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를 중심으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6.
- “2019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로 본 향후 주요 쟁점과 EU체제 변화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6.
- “EU의 순환경제 전략과 플라스틱 사용 규제”, 세계경제 포커스 18-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9
- “EU 개인정보보호법(GDPR) 발효: 평가 및 대응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5
- “EU의 디지털세(Digital Tax)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4
- “유럽은행 리스크 평가 및 향후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18-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4
- “브렉시트 이후 EU 체제의 전망과 정책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7-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일·EU 경제동반자협정(EPA) 기본합의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7
- “프랑스 대선 분석 및 향후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17-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 “Employment Policies Amid Low Growth: Case Studies of European Countrie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0.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26
주력분야 EU, 서유럽(독일/베네룩스/오스트리아/스위스)
[KIEP 발간물]
- “Employment Policies Amid Low Growth: Case Studies of European Countrie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0.
- “저성장시대의 고용확대 정책: 유럽 주요국 사례 및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5-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EU의 난민정책 현황과 향후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3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유럽 주요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정책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4-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EU의 대러시아 경제제재와 경제적 손실가능성 점검”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4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9.
- “Harmonizing Social Welfare and Economic Growth: Case Studies of European Countries and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5.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폴란드의 주요 산업_자동차, 인프라”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유럽의 사례를 통해 본 복지와 성장의 조화 방안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3-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국제행사타당성조사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공저), 연구자료 13-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최근 네덜란드 경제의 리스크요인 분석 및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3-5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9
- “2013년 독일 총선 결과 및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3-4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9.
- “독일 주택가격 상승의 배경과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3-3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6.
- “Financial Supervisory and Regulatory Reform of the EU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4.
- “Reforms in Economic Governance of Eurozone after the Debt Crisis and Lessons for Korean Economy”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3.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EU 금융감독 및 규제변화” (공저), 연구보고서 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유럽 재정위기의 원인과 유로존의 개혁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12-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불가리아의 주요 산업: IT,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한·EU FTA 이후 대EU 통상정책의 방향과 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1-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최근 유로본드(Eurobond) 발행 논의와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9.
- “유럽 은행에 대한 재무건전성 평가 발표와 향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3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8.
- “그리스의 채무재조정 가능성과 향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6.
- “최근 독일 경제 활성화의 주요 요인과 향후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1-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4.
- “일본의 원전사고 발생 이후 주요국의 원전 정책 방향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4.
- “체코의 주요 산업”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주요국의 저출산ㆍ고령화 대비 성장전략 연구와 정책 시사점” (공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Renewable Energy Policy in Germany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지역연구시리즈 10-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유로존 10년의 평가와 향후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10-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EU 신에너지정책의 수립과정과 정책내용의 검토” (공저), 지역연구시리즈 10-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4.
-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해외 주요국의 경제동향과 출구전략 전망” (공저), 지역연구시리즈 09-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2010년 세계경제전망: 세계지역경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9-4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유럽 주요국의 재정적자와 재정건전화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4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1.
- “독일 총선의 평가 및 향후 정책방향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4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0.
- “독일 제조업부문의 해외직접투자와 수출의 관계 연구” (공저), 지역연구시리즈 0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8.
- “동유럽 금융위기 이후 EU의 대책과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4.
- “동유럽 금융위기의 파급전망과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09-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3.
- “아일랜드의 EU 리스본조약 부결과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8-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7.
- “유럽의회 50년의 평가와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08-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5.
[저서]
- 「대전망 2010」 중 “유럽연합, 성장률 반등…유로화 강세 ‘변수’”, 한국경제신문, 2009.11.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86
주력분야 북미경제
- 2013 KDI국제정책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
- 2006 Cornell University Asian Studies 학사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64
주력분야 서유럽 경제(영국·아일랜드), 북유럽 경제, 거시경제
[KIEP 발간물]
-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영국의 정치·경제적 상황 점검”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브렉시트의 경제적 영향과 정책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5.
- “Recent Development of Labor Mobility in the EU: Comparative study on the British and German Case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른 핀란드 경제의 장기침체와 구조개혁”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EU 역내 노동이동의 변화: 영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3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용역보고서]
- “수출확대를 위한 국가별 경제협력방안 수립-EU(프랑스 중심)-” (공저), KOTRA, 2016.10.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46
주력분야 북미 경제
- 2021.11~ 현재 : KIEP 북미유럽팀 전문연구원
- 2017.2 ~ 2021.10 : KIEP APEC연구컨소시엄사무국 연구원
- 2016.7 ~ 2016.12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원
- 2014.3 ~ 2015.1 : KDI 산업·서비스경제연구부 인턴
[KIEP 발간물]
- "APEC CBPR 운영 및 논의 동향과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21-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9.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화와 한국의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0-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2020년도 APEC의 코로나19 대응 협력과 정상회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0-3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2019년 APEC 고위관리회의 결과 및 향후 전망",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9-4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APEC 서비스무역제한지수 개발 논의 현황 및 향후 과제", 기초자료 19-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1.
- "APEC 사업 추진체계와 활용방안", 기초자료 19-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06.
- "2018 APEC 정상회의 결과와 향후 전망",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8-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2018 파푸아뉴기니 APEC 정상회의의 주요의제 준비 현황과 과제" (공저), 기초자료 18-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1.
- "APEC 내 디지털 경제 논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 방향" (공저), 기초자료 18-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05.
- "2017 APEC 정상회의 결과와 포용적 성장의 향후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APEC 보고르 목표 이행 현황 점검과 향후 전망" (공저), 기초자료 1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9.
[연구용역보고서]
- "전자상거래 분야 APEC 회원국의 협상역량강화사업(CBNI) 심화과정 워크숍 기획 연구" (공저), 외교부, 2021.10.
- “디지털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APEC 협력방안 검토” (공저), 산업통상자원부, 2018.12.
- “NTM·전자상거래 등 주요통상이슈 다자 논의 주도” (공저), 산업통상자원부, 2018.12.
- “APEC 역내 서비스 규제환경 측정지수 개발” (공저), 외교부, 2018.12.
- "Post 2020을 대비한 다자통상이슈 연구" (공저), 산업통상자원부, 2018.4.
- "통상 선진국가 클럽 추진 전략 및 의제 연구" (공저), 산업통상자원부, 2017.12.
- "무역구제분야 협상관련 APEC지역경제통합 역량강화사업(CBNI) 기획 및 연구" (공저), 외교부, 2017.11.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24
주력분야 동유럽, EU 가입후보국
-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 법학 석사
- 2022.05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유럽팀 연구원
- 2017.11-2022.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신북방경제실 러시아유라시아팀 연구원
[KIEP 발간물]
- "2020년도 푸틴 대통령의 연두교서 주요 내용과 시사점", 세계경제 포커스 20-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
- "키르기즈공화국과 타지키스탄 '국가발전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세계경제 포커스 19-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7
- "카자흐·우즈벡의 경제 현황 평가와 한·중앙아 신경제협력 방향" (공저), 세계경제 포커스 19-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사임과 카자흐스탄 정국 전망" (공저), 세계경제 포커스 19-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3
- "러시아 2019년도 연두교서 주요 내용과 시사점", 세계경제 포커스 19-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2
- "우즈베키스탄 미르지요예프 정부 경제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18-3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푸틴 집권 4기 사회·경제 정책 방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5
중국팀
정지현 | 직급 | 팀장 | 분야 | 중국 경제 | 연락처 | 044-414-1280 | 메일 보내기 |
---|---|---|---|---|---|---|---|
이상훈 | 직급 | 연구위원 | 분야 | 중국 지역연구 | 연락처 | 044-414-1282 | 메일 보내기 |
양평섭 | 직급 | 초청연구위원 | 분야 | 중국 경제, 한중관계 | 연락처 | 044-414-1121 | 메일 보내기 |
문지영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중국 경제, 중국금융 | 연락처 | 044-414-1189 | 메일 보내기 |
나수엽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중·미 및 중·EU 통상관계, 중국 WTO분쟁 | 연락처 | 044-414-1072 | 메일 보내기 |
박민숙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경제 | 연락처 | 044-414-1511 | 메일 보내기 |
오종혁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디지털경제, 반도체, 인공지능(AI) 산업, 탄소중립 정책 등 | 연락처 | 044-414-1286 | 메일 보내기 |
김홍원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화남지역 | 연락처 | 044-414-1278 | 메일 보내기 |
이효진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경제 | 연락처 | 044-414-1057 | 메일 보내기 |
김영선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경제 | 연락처 | 044-414-1272 | 메일 보내기 |
이한나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경제, 중국 화동지역 | 연락처 | 044-414-1288 | 메일 보내기 |
최지원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동북지역 | 연락처 | 044-414-1290 | 메일 보내기 |
조고운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경제 | 연락처 | 044-414-1145 | 메일 보내기 |
김주혜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환발해지역 | 연락처 | 044-414-1283 | 메일 보내기 |
최재희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 중국 서부 지역 | 연락처 | 044-414-1098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280
주력분야 중국 경제
[KIEP 발간물]
- “중국 13차 5개년 규획기간의 지역별 정책방향 : 화남지역” (공저), 지역 기초자료 16-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5.
- “중국 13차 5개년 규획기간의 지역별 정책방향: 중부지역” (공저), 지역 기초자료 16-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중국의 환경시장 분야별 특징 및 지역별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속성장 중국경제와 한·중 경제협력” (공저), 중국종합연구 15-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의 내수용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의 대응” (공저), 연구자료 15-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Development and Cooperation of China’s Cultural Sectors: A Regional Approach”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1.
- “중국의 문화콘텐츠 발전현황과 지역별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China’s Green Growth Strategy and Implications for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0.
- “중국 지역경제 변화와 새로운 한ㆍ중 협력방안” (공저), 세미나자료모음 1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6.
- “중국 주요 지역의 2014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랴오닝성”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중국 주요 지역의 2014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후베이성”, 지역경제포커스 14-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중국 주요 지역의 2014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종합편”, 지역경제포커스 14-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중국의 녹색성장 전략과 한·중 무역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3-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중국 권역별성별 내수시장 특성과 진출 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3-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The Economic Integration of China, Taiwan, and Hong Kong: Implications for Korea’s Trade Policy”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3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8.
- “다국적 유통업체의 중국 중부지역 진출현황 및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2-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국·대만·홍콩의 경제통합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국 도시개발 분야의 해외기업 진출 사례 및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2-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한·중 수교 20주년 지역별 회고와 전망: 지역 총괄”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2-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9.
- “광둥(廣東)성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계획 및 추진 동향”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2-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 “선전(深川)시 소비특징 및 주요 상권” (공저), 지역 기초자료 12-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
- “중국 중부지역의 생산기지 활용가능성 연구”, 연구자료 11-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중국 광둥(廣東)성 수출가공기업의 내수시장 진출 현황 및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1-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범주장삼각주(泛珠江三角洲) 지역협력 추진 현황과 전망”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광둥성 산업지도 : 주장(珠江)삼각주 지역을 중심으로” (공저), 지역기초자료 1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0.
- “산시(山西)성 석탄기업 구조조정 추진현황 및 전망”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9.
- “광둥성의 호구(戶口)제도 개혁 실험: ‘점수적립제(積分制)’의 도입과 향후 전망” (공저), 연구자료 11-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중국 중앙국유기업의 대(對)광둥성 투자현황 및 전망”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6.
- “허난(河南)성 산업클러스터 추진 현황 및 시사점”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6.
- “주요 성(省)별 12차 5개년 규획의 주요 내용과 평가(8): 광둥(廣東)성”,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4.
- “주요 성(省)별 12차 5개년 규획의 주요 내용과 평가(7): 중부 6개 성”,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4.
- “「중부지역 외국인투자 촉진계획」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0-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8.
- “중부 안후이(安徽)성으로의 산업이전 현황 및 시사점”,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0-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7.
- “2010년 중국 성(省)별 양회의 주요 내용과 평가: 허난(河南)성”,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0-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5.
- “2010년 중국 성(省)별 양회의 주요 내용과 평가: 후베이(湖北)성”,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0-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3.
[주요 논문]
- “중국의 경제성장과 지역격차: 소득격차 및 생산성격차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중국 사회과학원, 2009.

직급 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282
주력분야 중국 지역연구
- 2009 중국사회과학원 경제학 박사
[KIEP 발간물]
- “중국의 주요 지역별 2018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 2018 지방양회 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KIEP 기초자료 18-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4.
- “대중국 서비스무역 활성화 방안: 주요 업종별ㆍ지역별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17-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뉴노멀 시대 중국의 지역별 혁신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7-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한ㆍ중 FTA를 활용한 중국 산둥성과의 경제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7-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13·5 규획 시기 한국의 중국 동북지역 경제협력 과제와 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7-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1.
- “베이징의 빅데이터 산업 현황과 시사점” (공저), KIEP 기초자료 17-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1.
- “SOE Reform in China: Performance and Prospects”, KIEP Opinions no.1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7.
- “중국 주요 지역의 2017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공저), 지역 기초자료 1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3.
- “중국의 지역별 산업고도화 추진 현황 및 시사점: 베이징시” (공저), 지역 기초자료 16-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중국의 지역별 산업고도화 추진 현황 및 시사점: 랴오닝성” (공저), 지역 기초자료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0.
- “중국의 지역별 산업고도화 추진 현황 및 시사점: 장쑤성” (공저), 지역 기초자료 16-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중국 13차 5개년 규획기간의 지역별 정책방향 : 환발해지역” (공저), 지역 기초자료1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4.
- “중국 13차 5개년 규획기간의 지역별 정책방향: 동북지역” (공저), 지역 기초자료16-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Structural Changes in China's Import a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conomy”, KIEP opinions no7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2.
- “중국 주식·외환시장 급등락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중국 지역별 내수용 수입시장 분석:랴오닝(??)성” (공저), 지역 기초자료 15-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 지역별 내수용 수입시장 분석:쓰촨(四川)성” (공저), 지역 기초자료 15-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 지역별 내수용 수입시장 분석:광둥(??) 성” (공저), 지역 기초자료 15-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 지역별 내수용 수입시장 분석:베이징(北京)시” (공저), 지역 기초자료 15-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0.
- “중국 지역별 내수용 수입시장 분석:안후이(安徽)성” (공저), 지역 기초자료 15-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1.
- “중국 지역별 내수용 수입시장 분석:장쑤(江?)성” (공저), 지역 기초자료 15-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1.
- “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과제와 전망” (공저), 연구보고서 13-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China’s Urbanization: Consumption, Construction and Risk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7.
- “중국 도시화의 시장 창출 효과와 리스크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12-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국의 지역별 비관세장벽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국의 노무환경 변화와 우리기업의 대응방안: 환발해지역을 중심으로”, 연구자료 12-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한·중 경제협력 20년 회고와 전망: 산둥성”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2-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글로벌 IT 기업의 중국 충칭시(重慶市) 및 쓰촨성(四川省) 진출 현황과 향후 전망”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 “중국 산둥성 투자환경 분석: 르자오, 웨이팡, 둥잉, 빈저우를중심으로”, 연구자료 11-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2010년 중국 성(省)별 양회의 주요 내용과 평가(9): 산둥(山東)성”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4.
- “2010년 중국 성(省)별 양회의 주요 내용과 평가(1): 쓰촨(四川)성”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2.
- “중국의 미래 내수시장 형성전략과 시사점: 중부지역의 4대 도시군 형성전략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최근 산둥(山東)성 노동시장의 특징과 전망”,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0-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8.
- “2010년 중국 성(省)별 양회의 주요 내용과 평가: 산둥(山東)성”,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0-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3.
[기타]
- “중국의 수입농식품시장 조사 연구”(공저), 해외농업시리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8.
- “중소기업 중국 내수시장 진출”(공저), KOCHI자료 15-001, KOTRA, 2015.1.
- “중국 농식품시장 권역별 진출전략”(공저), KOCHI자료 14-004, KOTRA, 2014.3.
직급 초청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21
주력분야 중국 경제, 한중관계
-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2~2006)
- 대우경제연구소 (1995~2001)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1992~1994)
- 국제민간경제협의회(1989~1991)
[KIEP 발간물]
- “한국의 대중국 무역수지 변화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8.
- “미·중 정상회담 결과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4.
- “중국경제의 구조변화와 한국경제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6-4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미국 신(新)행정부의 대중국 통상정책과 한·중 경협에의 영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1.
- “무역특화지수로 본 중국의 산업발전단계 변화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6.
- “중국의 2016년 경제운용 방향 평가와 한국의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중국 주식·외환시장 급등락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중속성장 중국경제와 한·중 경제협력” (공저), 연구보고서 15-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 13차 5개년 규획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1.
-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4-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중국 권역별ㆍ성별 내수시장 특성과 진출 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3-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과제와 전망” (공저), 연구보고서 13-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The Economic Integration of China, Taiwan, and Hong Kong: Implications for Korea’s Trade Policy”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3-3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8.
- “Prospects for the New Chinese Leadership’s Economic Policy”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3-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
- “중국·대만·홍콩의 경제통합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국 신(新)지도부의 경제정책 전망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국경제 60년 평가와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9-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9.
- “한국의 대중국 교역 동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4.
- “중국 경기부양 조치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
- “미국발 금융위기가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8-3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0.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중화권” (공저), 연구보고서 07-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한·중 교역 특성과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7-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중국·인도 산업 및 교역구조 비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7-4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9.
- “중국의 WTO 가입 5주년 결산: 중국의 대외경제정책과 한·중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7-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7.
- “무역특화지수로 본 중국의 산업발전단계 변화와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07-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6.
- “외환보유 1조 달러 시대의 중국 외환관리정책 전망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7-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3.
- “중국의 WTO 가입 5주년 결산”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6-4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 “중국의 수출 관련 정책 변화와 한ㆍ중 교역에 미치는 영향”, 오늘의 세계경제 06-3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1.
-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산업별 개방 계획과 그 영향”, 연구보고서 00-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12.
- “아세안자유무역지대의 형성과 우리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94-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12.
- “중국편람 1993” (공저), 연구보고서 93-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3.10.
- “중국의 외환관리제도” (공저), 연구보고서 93-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3.7.
- “중국 외국인직접투자유치정책의 변화와 한국의 대중투자” (공저), 연구보고서 92-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12.
- “중국의 경제실적과 전망(1991~1992)” (공저), 연구보고서 92-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5.
[학위논문]
- 중국의 대한국 공산품 수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타]
- 차이나 쇼크, 공저, 매일경제신문사, 2000.
- 중국 진출전략 대특강, 공저, 중앙M&B, 2004.
- 한국의 미래 BRICs, 공저, 월간조선사, 2005.
- 차이나 리스크 평가와 영향, 공저, 전국경제인연합회, 2006)
- WTO 가입 후 중국의 무역장벽 변화 : WTO 합의·이행상황·잔존 무역장벽을 중심으로, 무역연구소 (2002)
- 한중무역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한중 수교후 10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무역연구소 (2002)
- 우리기업의 중국진출 전략 변화와 사례분석, 무역연구소(2004)
- 중국의 수입둔화 요인과 한국의 대중 수출, 무역연구소(2005)
- 가공단계별 한중간 무역구조 변화 분석, 무역연구소(2005)
- 한중일 3국의 역내교역 및 투자 패턴 변화, 무역연구소(2006)
- “대(對)중국 투자와 무역의 상호 연계성 분석”, 『아시아연구』, Vol.7, No.2
- “The Growing Importance of China and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 & China in Machinery-Related Industry,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The Growing Importance of China and Asian Machinery-related Industries, Japan External Trade Organization(2003)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89
주력분야 중국 경제, 중국금융
- 2020 Tsinghua University 금융학 박사
- 2013 Fudan University 국제금융학 석사
- 2009 Tsinghua University 금융학 학사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72
주력분야 중·미 및 중·EU 통상관계, 중국 WTO분쟁
- 1995. 2. 서강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연구보고서]
- 중국 국유기업의 개혁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14.12.30)
- 중국의 녹색성장 전략과 한·중 무역에 대한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13.12.30)
- 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과제와 전망 (연구보고서 , 2013.12.30)
- 중국 도시화의 시장 창출 효과와 리스크 분석 (연구보고서 , 2012.12.31)
- 중국의 보조금 현황과 주요국의 대응사례 연구 (연구보고서 , 2011.12.30)
- 전 세계적 양극화 추세와 해외 주요국의 대응 (연구보고서 , 2005.12.30)
- 미주자유무역지대(FTAA)의 협상동향과 경제적 효과분석 (연구보고서 , 2003.12.26)
- 미국 경상수지적자 확대가능성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고서 , 2002.12.30)
- 미국 부시행정부의 대외통상정책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02.10.20)
- 미국 부시행정부의 경제정책과 2001년 경제동향 (연구보고서 , 2001.12.30)
- NAFTA의 경제적 효과분석: 출범전 전망과 실행효과 비교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 2000.12.30)
- 투명성 제고를 위한 국제기준 및 규범의 개발과 준수현황 (연구보고서 , 2000.10.30)
- 韓.美 통상마찰의 추이와 대응방안 (연구보고서 , 1998.04.07)
- 韓.美 통상마찰의 추이와 대응방안, 1997(공저)
- 루마니아 편람, 1996
- 중.동구 주요 4개국 농업부문의 개혁과 현황, 1997
- 국가경쟁력 강화 - 유럽에서 배운다, 2000
- 투명성 제고를 위한 국제기준 및 규범의 개발과 준수현황, 2000
- NAFTA의 경제적 효과분석: 출범전 전망과 실행효과 비교를 중심으로, 2000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511
주력분야 중국 경제
-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수료
- 성신여자대학교 경제학 석사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86
주력분야 중국 디지털경제, 반도체, 인공지능(AI) 산업, 탄소중립 정책 등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78
주력분야 중국 화남지역
- 2009.9 ~ 2010.5 : KOTRA 베이징무역관 인턴
[KIEP 발간물]
- “중국 선전시 지역혁신 분석과 시사점”, 지역기초자료 16-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중국 13차 5개년 규획기간의 지역별 정책방향 : 화남지역” (공저), 지역기초자료 16-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5.
- “중국 환경시장 분야별 특징 및 지역별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 주요지역의 ICT 창업환경 분석” (공저), 지역기초자료 15-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7.
- “Consumer Market Characteristics of Emerging Cities in China and Its Implication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7.
- “뉴노멀 시대 대응을 위한 2015년 중국 지역별 경제정책과 시사점” (공저), 지역기초자료 15-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3.
- “중국 신흥도시의 소비시장 특성과 기업의 진출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4-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중국의 문화콘텐츠 발전현황과 지역별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중국 도시 정보 시리즈-광둥성 포산시(省 佛山市)”, 지역기초자료 1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중국 지역경제 변화와 새로운 한ㆍ중 협력방안” (공저), 세미나자료모음 1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6.
- “중국 주요 지역의 2014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광둥성”, 지역경제포커스 14-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중국 권역별성별 내수시장 특성과 진출 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3-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중국 금융개혁 시범추진 현황과 평가: 저장, 광둥, 푸젠성”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3-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6.
- “광둥성 에너지발전 12·5규획의 주요 내용 및 평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3-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2.
- “중국 도시 정보 시리즈-푸젠성 샤먼시(福建省 廈門市)”, 지역기초자료 13-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
- “중국 도시개발 분야의 해외기업 진출 사례 및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2-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한·중 수교 20주년 지역별 회고와 전망: 지역 총괄”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2-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9.
- “싱가포르와 중국 지방정부 간 경제협력 현황 및 시사점”,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2-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광저우(廣州)시 주요 소비특징 및 상권”, 지역 기초자료 12-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6.
- “광둥(廣東)성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계획 및 추진 동향”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2-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 “선전(深川)시 소비특징 및 주요 상권” (공저), 지역 기초자료 12-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
- “범주장삼각주(泛珠江三角洲) 지역협력 추진 현황과 전망”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광둥성 산업지도 : 주장(珠江)삼각주 지역을 중심으로” (공저), 지역 기초자료 1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0.
- “중국의 전력난 원인과 전망: 광둥성 사례를 중심으로”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0.
- “중국의 3대 해양경제 육성지역(산둥성, 저장성, 광둥성)의 비교 및 평가”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9.
- “광둥성의 호구(戶口)제도 개혁 실험: ‘점수적립제(積分制)’의 도입과 향후 전망”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7.
- “중국 중앙국유기업의 대(對)광둥성 투자현황 및 전망”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1-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6.
[수탁용역보고서]
- “AIIB 가입 계기 아시아 인프라금융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 (공저), 금융위원회, 2015.
- “DGFEZ 한중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공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2015.
- “중국 지역(省)별 중소기업 맞춤형 진출전략 ” (공저), 중소기업진흥공단, 2014.
- “한국기업의 홍콩 경유 중국시장 진출방안 ” (공저), 한국무역협회, 2013.
- “한중 FTA 관련 중국시장 내 서비스업의 비관세장벽 분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공저), 기획재정부, 2012.
- “중국 동북 지역과의 경제 협력분야 및 우리기업 진출 지원 방안 연구” (공저), 외교통상부, 2011.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57
주력분야 중국 경제
- 2013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통상학 석사
- 2010 인도 네루대학교 중국학 학사
[KIEP 발간물]
- “중국의 소비 주도형 성장전략 평가” (공저), ODA정책연구 15-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2015 중국 전인대에 나타난 경제 운용 방향” (공저), 오늘의세계경제 15-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3.
- “중국 국유기업의 개혁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4-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중국의 지식산업화 분석과 시사점: 대학과 중국과학원의 특허 라이선싱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자료 14-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경제권’ 추진 동향과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4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9.
- “China's advance into Emerging Markets - A Focus on ASEAN, Latin America and Afric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2014년 중국 양회 주요 내용과 향후 경제정책방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중국의 녹색성장 전략과 한·중 무역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3-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중국의 신흥시장 진출과 한국의 대응방안: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3-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제5차 미·중 전략 및 경제대화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3-4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7.
- “Prospects for the New Chinese Leadership’s Economic Policy”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
- “중국 신(新)지도부의 경제정책 전망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국 사회보장기금 운용 실태와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12-3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72
주력분야 중국 경제
- 2013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국제학(중국학) 석사
[KIEP 발간물]
- "중국의 온라인 플랫폼 업계 규제 동향과 시사점", 세계경제포커스 21-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6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통상정책 주요 내용과 전망: USTR 보고서를 중심으로"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4
- "2021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1-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3
- "EU·중국 포괄적투자협정(CAI) 합의 및 평가"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1
-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공저), 전략지역심층연구 20-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12
- "중국의 금융개방 환경 변화와 대응방향" (공저), 연구보고서 20-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12
-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20-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8
- "첨단기술을 둘러싼 미·중 간 패권 경쟁 분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6
- "2020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6
- "미국의「외국인투자위험심사현대화법(FIRRMA)」발효와 미국의 대중 투자규제"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4
- "중국「반독점법」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평가"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0-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3
- “중국의 2016년 경제운용 방향 평가와 한국의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주요국의 위안화 허브전략 분석 및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의 소비 주도형 성장전략 평가” (공저), 연구보고서 15-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 주식·외환시장 급등락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중국 리스크와 한국의 대응방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9.
- “2015 중국 전인대에 나타난 경제 운용 방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3.
- “제6차 미·중 전략 및 경제대화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4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9.
-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경제권’ 추진 동향과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4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9.
- “최근 대중 수출 감소의 원인: 석유화학 품목을 중심으로”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4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7.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88
주력분야 중국 경제, 중국 화동지역
- 2022.1 ~ 현 재 : KIEP 중국지역전략팀 전문연구원
- 2019.7 ~ 2021.12 : KEIP 북경사무소
- 2014.4 ~ 2019.7 : KIEP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 전문연구원
- 2013.4 ~ 2014.2 : KIEP 중국팀 연구원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90
주력분야 중국 동북지역
- 2012 서울대학교 동양사학 학사
- 2014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 한국의 대중 투자 둔화 배경 및 시사점,
- 2024년 중국 지방양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중국의 지방정부 부채 리스크와 주요 대응정책,
-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
-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
-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제조업 분야 산업정책과 산업구조 변화 연구, 2020.12
- 미ㆍ중 마찰의 주요 쟁점과 한ㆍ중 경제협력 방향, 2021.05
- 중국 동북지역의 14·5 규획기간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 중국 주요 지역의 핵심 정책과제 및 전망,
- 중국 지방정부의 대외경제협력 사례와 시사점,
-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의 생산·소비 충격분석 및 전망,
- 2020년 타이완 선거 이후 양안관계 전망 및 시사점,
- 대중국 서비스무역 활성화 방안: 주요 업종별ㆍ지역별 분석, 2017.12
- 중국의 주요 지역별 2018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 2018 지방양회 분석을 중심으로,
- 중국 고령친화산업의 특징 및 시사점: 상하이, 산둥을 중심으로,
- 중국 환경시장 분야별 특징 및 지역별 협력방안, 2015.12
-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대(對)산둥성 수출 및 투자 변화와 시사점,
- 중국 신흥도시의 소비시장 특성과 기업의 진출전략, 2014.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45
주력분야 중국 경제
[KIEP 발간물]
- “뉴노멀 시대 중소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6-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8.
- “중국의 2016년 경제운용 방향 평가와 한국의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중국 주식·외환시장 급등락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중속성장 중국경제와 한·중 경제협력” (공저), 중국종합연구 15-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국의 소비 주도형 성장전략 평가” (공저), ODA정책연구 15-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중국 리스크와 한국의 대응방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9.
- “2015 중국 전인대에 나타난 경제 운용 방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3.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83
주력분야 중국 환발해지역
- 2013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통상학 석사
- 2008 중국 대외경제무역대학교 국제경제무역학 학사
- 2016.2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중국경제실 중국지역전략팀 전문연구원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98
주력분야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 중국 서부 지역
- “중국 전기차의 동남아 시장 선점 요인 및 시사점”, 세계경제포커스 24-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05.
-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연구자료 23-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03.
-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의 중국기업 점유율 확대 요인 및 시사점”, 세계경제포커스 23-3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10.
- “중국 LFP 배터리 공급망 분석 및 시사점”, 세계경제포커스 22-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04.
- “중국 서부지역의 14·5 규획기간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KIEP기초자료 21-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05.
- “미얀마 쿠데타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 동향과 시사점”(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03.
- “중국 '신시대 서부대개발 정책'의 주요 내용과 전망”, 세계경제포커스 20-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07.
- “중국 주요 지역의 핵심 정책과제 및 전망” (공저), KIEP기초자료 20-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07.
- “미국 「타이베이 법안(TAIPEI Act)」의 주요 특징과 전망”(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0-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03.
-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의 생산·소비 충격분석 및 전망”(공저), 오늘의세계경제 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03.
- “현대 중국외교의 네트워킹 전략 연구: 집합, 위치, 설계 권력을 중심으로” (공저), 중국종합연구 19-68-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중국 지방정부의 대외경제협력 사례와 시사점” (공저), 기본연구 19-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남ㆍ북ㆍ중 경제협력 방안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9-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05.
- “중국 인터넷융합 전략의 특징과 지역 사례 연구” (공저), 기본연구 18-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랴오닝성 일대일로 종합시험구’ 조성 계획의 주요 내용 및 평가”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18-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1.
- “중국의 외국인투자 개방정책 동향 및 평가: 네거티브 리스트(2018년)를 중심으로” (공저), KIEP기초자료 18-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09.
- “중국의 주요 지역별 2018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 2018 지방양회 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KIEP기초자료 18-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04.
- “대중국 서비스무역 활성화 방안: 주요 업종별ㆍ지역별 분석” (공저), 기본연구 17-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뉴노멀 시대 중국의 지역별 혁신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기본연구 17-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중국 주요 지역 바이오의약산업 육성정책 및 시사점” (공저), 지역기초자료 17-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0.
- “중국 ICT 제조업 육성전략 추진 동향과 시사점: 광둥(广东)성, 쓰촨(四川)성을 중심으로” (공저), 지역기초자료 17-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07.
일본동아시아팀
허재철 | 직급 | 팀장 | 분야 | 동아시아 지역연구, 국제정치, 경제안보 | 연락처 | 044-414-1042 | 메일 보내기 |
---|---|---|---|---|---|---|---|
정성춘 | 직급 | 선임연구위원 | 분야 | 일본 경제, 국제거시 | 연락처 | 044-414-1202 | 메일 보내기 |
정형곤 | 직급 | 선임연구위원 | 분야 | 투자환경/FDI/경제특구, 동북아 경제(무역, 투자, 소부장산업), 북한 경제, 체제전환 | 연락처 | 044-414-1127 | 메일 보내기 |
김규판 | 직급 | 선임연구위원 | 분야 | 일본 경제, 산업 | 연락처 | 044-414-1017 | 메일 보내기 |
이형근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일본 경제, 국가경쟁력, 타당성조사 | 연락처 | 044-414-1069 | 메일 보내기 |
이보람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동아시아 경제협력, 일본 경제, 국제무역 | 연락처 | 044-414-1045 | 메일 보내기 |
이정은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일본 경제 | 연락처 | 044-414-1236 | 메일 보내기 |
김승현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일본 경제(금융/노동) | 연락처 | 044-414-1035 | 메일 보내기 |
손원주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육아휴직 | 연락처 | 044-414-1287 | 메일 보내기 |
윤아경 | 직급 | 연구원 | 분야 | 일본 경제 | 연락처 | 044-414-1287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042
주력분야 동아시아 지역연구, 국제정치, 경제안보
- 2013 중국인민대학 정치학 박사
- 2008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 미디어학 석사
- 2001 세종대학교 경제학 학사
- 2022.9∼현재 : 한양대 국제학부 겸임교수
- 2019.1∼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2018.9∼2018.12 : 한신대 중국학과 강사
- 2016.5∼2018.4 : JSPS Post-doctoral Researcher (리츠메이칸대학)
- 2014.3∼2016.4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 2013.9∼2014.2 : 국회의원 비서관
[KIEP 발간물]
- "일본 중의원 선거 이후 이시바 내각의 경제정책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 경제 24-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11
-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논의 결과와 향후 협력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 경제 24-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6
- "미·일 정상회담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4-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6
- "2024년 대만 총통 선거 결과 및 시사점"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4-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1
- 『국제사회의 중국 담론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공저)
- 『시진핑 시기 중국의 글로벌 영향력 강화 전략 평가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공저)
- 『미중 전략경쟁 시기의 대만 문제와 한국의 경제안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단저)
- "중국 20차 당대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 경제 22-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0
-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공저)
- "최근 중국의 코로나19 재확산 현황 및 시사점"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2-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5
-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공저), 오늘의 세계 경제 22-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3
- 『외교적 마찰에 대한 중국의 대응 유형 및 영향 요인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공저)
-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에 대한 인접국의 대응 및 전망"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1-4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8
-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분야별 변화와 전망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공저)
- 『중국의 일국양제 20년 평가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공저)
- "「홍콩 국가안전법」 제정 추진에 따른 영향 및 전망"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0-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6
- "미국 「타이베이 법안(TAIPEI Act)」의 주요 특징과 전망" (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3
- “2020년 타이완 선거 이후 양안관계 전망 및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 경제 20-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2
- 『현대 중국외교의 네트워킹 전략 연구: 집합, 위치, 설계 권력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 (공저)
- “홍콩 시위 사태의 영향 및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19-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8
- “중국 주요 지역의 2019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19-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5
[연구용역보고서]
-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대응: 역사적 사례와 시사점』, 통일연구원, 2021 (공저)
- 『무역안보 발전방향 및 종합계획 수립』, 산업통상자원부, 2021 (공저)
- 『랴오닝성 투자환경 및 유망 진출분야 연구』, SK, 2021 (공저)
- 『중국의 국가전략과 지역발전전략 및 한중관계 발전 방안 연구』, 외교부, 2019 (공저)
- 『한반도 접경국가의 초국경 관광·교통 협력』, 통일연구원, 2019 (공저)
- 『한국의 새로운 국가모델 탐색: 포용국가 이론과 쟁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9 (공저)
- 『중국의 대한국 관련 조직 및 인물 분석』, 산업연구원, 2018 (공저)
- 『한중 공공외교 활동 증진방안 연구』, 외교부, 2017 (공저)
[저서]
-『엘리트로 보는 유라시아의 변화Ⅰ』, 한신대 유라시아연구소, 2023 (공저)
-『중국과 아세안Ⅰ』, 한울 아카데미, 2022 (공저)
-『北朝鮮研究の新地平 : 理論的地域研究の模索』, 晃洋書房, 2022 (공저)
-『北朝鮮の対外関係』, 晃洋書房, 2022 (공저)
-『국제질서의 대분화와 한중관계의 재구성』, 선인, 2022 (공저)
-『코로나19의 거버넌스와 중견국 외교』,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공저)
-『미중 ICT 경쟁과 남북 ICT 협력 : 국제정치경제학의 시각』,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공저)
- 『중국 지역연구와 지식네트워크』, 학고방, 2019 (공저)
- 『동아시아 공영번영과 한반도 평화』, 한울아카데미, 2019 (공저)
- 『차이나 핸드북』, 김영사, 2018 (공저)
- 『신시대로 향하는 전환기 한중관계』, 송산출판사, 2018 (공저)
- 『(이슈로 본) 한중관계의 오늘과 내일』, 한울아카데미, 2017 (공저)
- 『시진핑시대, 중국의 성정전략과 혁신』, 인천연구원, 2016 (공저)
- 『중국의 NEW NORMAL』, 인천연구원, 2015 (공저)
- 『중미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선택』, 참글출판사, 2015 (공저)
- 『한중관계의 신창타이』, 참글출판사, 2015 (공저)
- 『미디어 보도와 동북아 지역 안보』, 경인문화사, 2013 (단저)
- 『2012 중국의 재발견』, 차이나하우스, 2012 (공저) 등
[학술논문]
- “남중국해를 통해 본 중-아세안 관계와 한국의 대외전략”, 中蘇硏究, 46(2), 2022.8
- "중국의 언론환경 변화와 미중갈등", 현대중국연구, 22(1), 2020.7
- “중국 글로벌 미디어의 특성 및 외교적 역할에 관한 분석”, 中蘇硏究, 42(2), 2018.8
- “Analysis of Modern China’s Summit Network”, 中蘇硏究, 41(3), 2007.11
- “언론 네트워크를 통해 본 한중관계: 텍스트 및 매체 차원의 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18(4), 2017.3
- “Networks Between Korean News Media and Korea Specialists Abroad: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Korea Specialists in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아세아연구, 59(1), 2016.3
- “동북아 평화 협력과 공적 사과의 문제: 한·중·일 3국의 사례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1(1), 2016.3
- “试论明代外交的特点: 以出使朝鲜明使为主”, 역사문화연구, 55, 2015.8
- “새만금-일대일로 연계의 정치적 의의와 과제”, 韓中關係硏究, 1(2), 2015.8
- “중국의 한반도 전문가와 한국 언론 사이의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 SNA를 통한 정치·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한중사회과학연구, 13(3), 2015.7
- “韓國의 江陵端午祭와 中國의 反韓 情緖”, 건지인문학, 13, 2015.6
- “시진핑 체제 중국외교의 의리관(義利觀)에 관한 시론적 연구: 의리관의 내용과 외교영역에서 제기된 배경 및 그 특징을 중심”, 한국동북아논총, 20(1), 2015.3
- “한중 해양경계획정 보도의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SNA 분석을 통한 세 가지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62, 2014.11
-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신설과 중국 국가안보관의 변화”, 한국동북아논총, 19(3), 2014.9
- “시진핑으로의 권력집중 현상 분석: 신설 기구와 언론 보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8(2), 2014.8
- “동북아 해양 귀속권 분쟁 보도와 지역안보: 한‧중‧일 신문의 독도, 이어도, 조어도에 대한 보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3(2), 2012.1
직급 선임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202
주력분야 일본 경제, 국제거시
- 2020.06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부원장
- 2003.10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
[연구보고서]
- 한·일 FTA 체결이 국내 부품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시사점 - 전기전자 ·기계 부품산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 2004.12.30)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본경제의 진로모색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12.12.31)
- 일본과 EU의 환경 분야 대외협력 전략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10.12.30)
- 일본의 저탄소사회전략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 2009.12.30)
- 기후변화협상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09.08.30)
- 일본의 기체결 EPA의 분석과 한·일 FTA에의 정책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08.12.30)
- 일본 농업의 경쟁력과 한ㆍ일 FTA에의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08.12.30)
- 한일 양국의 에너지 분야 대응실태와 협력방안 (연구보고서 , 2008.12.30)
- 한·일 기업의 동아시아 생산네트워크 비교연구: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 2007.12.30)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일본 (연구보고서 , 2007.12.30)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총괄보고서 (연구보고서 , 2007.12.30)
- 일본경제의 구조변화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06.12.29)
- 일본의 적대적 M&A 방어지침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06.09.05)
- 일본정부 및 기업의 지식재산전략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05.12.30)
- 일본 M&A 시장의 최근 동향과 과제 (연구보고서 , 2005.11.20)
- 한·일 FTA 체결이 국내 부품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시사점 - 전기전자 ·기계 부품산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 2004.12.30)
(1) "일본 "지적재산전략"의 최근 동향", KIEP 세계경제, 2004년 7월호
(2) "일본의 지적재산전략의 변화와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제 04-13호, 2004년 7월
(3)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FTA 정책과 한국의 대응", KIEP 세계경제, 2004년 5월호
(4) "일본정부 외환시장개입정책의 효과와 문제점", KIEP 세계경제, 2004년 2월호
(5) "일본 금융개혁의 특징과 과제", KIEP 세계경제, 2004년 1월호
(6) "일본 중의원 선거결과의 의미와 전망", KIEP 오늘의 세계경제, 제 03-45호, 2003년 11월
(7) "한일 FTA 지적재산권 조항: 일본측 초안에 대한 분석과 한국의 대응", 외교부 수시용역보고서, 2004년 7월
(8) "수입선 다변화 해제품목의 대일수입증가요인과 경쟁력 변화분석 및 시사점", 외교부 수시용역보고서, 2004년 2월

직급 선임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27
주력분야 투자환경/FDI/경제특구, 동북아 경제(무역, 투자, 소부장산업), 북한 경제, 체제전환
- 1998. 02. 독일 쾰른(Koln)대학교 경제학 박사 (Dr. rer. pol)
- 1994. 04. 독일 본(Bonn)대학교 경제학 석사 (Diplom Volkswirt)
- 1991. 04. 독일 본(Bonn)대학교 경제학 학사 (Vordiplom)
[주요 경력]
- 2006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부원장 (제1본부장, 연구본부장), 동북아경제본부장, 협력정책실장, 동아시아팀장, 통일국제협력팀장 등 역임)
- 2018 ~ 2019 : 아시아개발은행 (Asian Development Bank) 컨설턴트
- 2017 ~ 2020 : 중국 사회과학원 특임선임연구위원 (Special Senior Research Fellow) 겸직
- 2020 ~ 현재: 기획재정부 중장기 조세정책 심의위원회 위원
- 2020 ~ 현재 :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위원
- 2018 ~ 현재 : 통일부 한독통일자문위원회 위원
- 2018 ~ 현재: 전라북도 새만금위원회 위원
- 2015 ~ 현재 : 대한상공회의소 정책자문단 자문위원
- 2015 ~ 2016 : 통일준비위원회 경제분과 위원
- 2014 ~ 현재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부회장
- 2014 ~ 2015 : 공정거래위원회 정책자문위원
- 2014 ~ 2015 : 관세청 관세행정발전심의위원회 위원
- 2012 ~ 현재 : 기획재정부 예산집행심의위원회 심의위원 / 자체평가위원
- 2010 ~ 2018 :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 자문위원
- 2007 ~ 2010, 2016 :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위원
- 2012 ~ 2013 : Johns Hopkins 대학교 국제대학원 (SAIS) 풀브라이트 방문학자
- 2011 ~ 2013 :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 경제과학환경분과 상임위원
- 2011 ~ 2012 : 인천경제자유구역 발전자문위원회 자문위원
- 2007/2011/2019 : 경제자유구역 후보지 평가단 평가위원(간사)
- 2010 ~ 2011 : 한중일FTA 산관학 공동연구단, 공동연구자
- 2006 ~ 2011 : 한중일공동연구단(KIEP/IDE-JETRO/DRC) 공동연구자
- 2009 ~ 2010 : 통일부 남북경협기금 평가위원
- 2008 ~ 2010 : 경제특구 컨설턴트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지식공유사업)
- 2008 : EAFTA Study Phase II 연구단 공동연구자
- 2003 ~ 2005 :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선임행정관
- 1998 ~ 2003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 1998 ~ 2003 : 건국대학교, 성신여대, 연세대학교 강사 (겸직)
- 1998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 1997 : 독일 본(Bonn)대학교 Staatswissenschaftliches Seminar 연구조교 (Wissenschaftliche Hilfskraft)
[KIEP 발간물]
- 한중일 소재‧부품‧장비산업의 GVC 연계성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공저)
- State-Owned Enterprises in the Republic of Korea, Reform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State-owned Enterprises, (Ed. by Edimon Ginting and Kaukab Naqvi), Asian Development Bank, July 2020.
- 독일통일 30년: 경제통합의 평가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 Economic Development after German Unification and Implications for Korea, KIEP, 2018 (Co-authored with Gerhard Heimpold)
- Momentum for Building a Northeast Asian Community: Emerg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IEP 2018 (Co-authored with Lee-Jay Cho)
- “비핵화에 따른 대북경제제재 해제: 분석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8-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Economic Transition in Unified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연구보고서 17-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 “Sustaining the Momentum for Building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공저), 연구보고서 17-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 “대ASEAN FDI 결정요인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7-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 “Promoting dynamic and innovative Growth in Asia: Special Economic Zones and Business Hubs” (공저), Policy Analysis 16-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 “Are Special Economic Zones a Panacea for Developing Countries? Lessons for Developing Countries”, KIEP Opinions 8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7.
- “Determinants of Economic Growth in Transition Economies: Implications for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9.
-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 요인 분석: 북한 경제개혁에 대한 함의”, 연구보고서 14-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1.
- “The Current Situation of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and Prospects for Change of Its Economic System”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3.
- “북한의 시장화 현황과 경제체제의 변화 전망”, 연구보고서 12-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2011년도 북한의 대외경제 실적분석과 2012년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 “한·중·일 서비스산업 직접투자현황과 역내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11-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북한의 투자유치정책 변화와 남북경협 방향” (공저), 연구보고서 11-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한중일 사무국의 역할과 과제” (공저), 연구자료 11-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1.
- “제4차 한·중·일 정상회의 결과와 향후 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5.
- “한국경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의 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
- “한중일 역내 직접투자 동향과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10-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한중일 공기업 개혁정책의 변천과 성과”, 연구자료 10-6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한중일 3국의 비교우위 패턴 변화 특징 및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0-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8.
- “무역원활화를 위한 한중일 3국의 관세행정 협력방안: AEO 제도의 상호인정 추진방안을 중심으로” (공저), 동북아연구시리즈 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8.
- “제3차 한·일·중 정상회의의 주요 논의내용과 평가”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0-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6.
- “FDI 결정요인 분석에 따른 한중일 비즈니스서비스 산업 경쟁력 비교” (공저), 연구보고서 09-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 효과 분석” (공저), 동북아연구시리즈 09-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0.
- “What can North Korea Learn from Transition Economies Reform Process?”, Working Paper 09-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9.
- “외자유치 촉진을 위한 경제자유구역 제도 개선 과제”, 연구자료 08-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한중일 3국의 FTA 비교 분석과 동북아 역내 국가간 FTA 추진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08-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후쿠오카 한ㆍ중ㆍ일 정상회담 의의와 경제협력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4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무역원활화를 위한 한·중·일 전자무역 구축현황 및 협력방안”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8-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0.
- “한국의 대중국 및 대일본 산업별 무역수지 동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8.
- “경제자유구역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신정부의 정책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5.
-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FDI)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
- “한중 금융·물류 허브경쟁과 한국의 선택” (공저), 연구보고서 07-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남북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북한의 SOC 개발 및 기대효과”, 오늘의 세계경제 07-4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9.
- “우크라이나 및 리비아 WMD(대량살상무기) 해체 사례와 북핵문제 해결에의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7-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3.
- “From East Asian FTAs to an EAFTA: Typology of East Asian FTAs and Implications for an EAFTA” (공저), Policy Analysis 06-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 “北 미사일 발사 관련 국제사회의 추가적 대북제재 예상조치와 효과”, 오늘의 세계경제 06-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7.
- “동북아 에너지 협력: 대외 에너지 환경 변화와 우리의 대응”, KIEP 세계경제 제9권 제6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6.
- “북·중 경제협력 강화의 파급 영향”, KIEP 세계경제 제9권 제2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2.
- “김정일 위원장의 방중과 북한경제의 개혁·개방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6-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
- “북핵 해결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지원 활성화 방안: 양자간 지원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05-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 “체제전환 사례로 본 북한의 금융개혁 시나리오” (공저), 연구보고서 02-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12.
- “북한의 대외경제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공저), 연구자료 01-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12.
[주요 논문]
- “UN Sanctions on North Korea’s Luxury Goods Imports: impact and implications”, AEPR (Asian Economic Policy Review), 2019.
- “Deepening of Northeast Asia Economic Integration throug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 Korean Pespective”,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the Global Context,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NIGS), 2017
- “China, Japan, Korea FTA, Rationale, Prospects and Challenges”, Trade Regionalism in the Asia-Pacific: Developments and Future Challenges, ISEAS, Singapore, 2016.
-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Business Services Industry”,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2014.
- “Initial Conditions, Economic Performance, and Reform Prospects in North Korea”,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26, No.4, 2013.
- “Korea-China-Japan Free Trade Agreement: Prospects and Issues”, Korea Focus, 2012.
- “South Korea: Which Way Will It go on Asian Integration?”, Joint U.S.-Korea Academic Studies, Ko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2012.
- "Reevaluation for Special Economic Zone Development in Vietnam",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Vietnam's 2011-20 Socio-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KDI, 2011.
- An Analysis of North Korea's Main Trading Relations, IFRI (Institut francais des relations internationales), 2009.
- “Economics of the Kaesung Industrial Complex”, Korea's Economy Vol. 23, Ko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2007.
- “The Impact of Strengthened North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Korea Focus Vol.14 No.1, 2006.
-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Growth of Transition Economies: Economic Reform vs. Initial Conditions”,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Vol.20, No.2, pp.241-252, 2006.
- “체제전환국의 경제개혁과 초기조건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비교경제연구, 2003.
- “동유럽의 경제개혁과 북한”, 현대북한연구, 2003.
- “서독의 대동독 경제지원의 효과 분석”, 아세아 연구, 2003.
- “국내적 통일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경제분야” (이상만, 신동천외 공저), 통일연구원, 2003
- “사회주의 경제개혁과 초기조건”, 통일부, 2003.
- “심천경제특구의 개발 및 운영정책: 성공요인과 시사점”, KDI 북한경제리뷰, 2002.
- “직접투자 기지로서의 북한 내 산업단지 개발전략: 입지선정, 업종선별 및 운영전략”, 한국학술진흥재단, 2002.
- “신의주 특별행정구와 개성공업지구의 비교”, 통일과 국토, 2002.
- “북한경제개혁 연구” (박순성, 김연철외 공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2.
- “신의주 특별행정구와 개성공업지구의 비교”, 통일과 국토, 2002.
- “남북한 동시발전을 위한 경제협력 모델”,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002.
- “제도개혁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 중국과 동유럽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전환을 중심으로”, 제도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02.
- “경제특구를 통한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과 시사점”, 북한조사연구 제5권 제2호, 2001.
- “남북경협 활성화 수단으로써의 개성산업단지”, 질서경제저널 제4집 2호, 한국질서경제학회, 2001.
- “경제특구를 통한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과 시사점”, 북한조사연구 제5권2호, 2001.
- “남북경협 활성화 수단으로써의 개성산업단지”, 질서경제저널 제4집 제2호, 한국질서경제학회, 2001.
- “북한의 무역구조와 대외개방”, KDI 북한경제리뷰, 2001.
- “개성산업단지의 공적역할 수행과 추진전략”, 통일과 국토, 2001.
- “동서독간 경협 활성화 지원정책과 시사점”, 통일경제, 2001.
- “남북한 교역확대 및 공업단지 개발방안”, 2000년도 교수통일문제 세미나, 2000.
- “남북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정책과제”, 북한조사연구, 2000.
- “북한 경제 회생을 위한 경제특구의 성공 조건”, 통일경제, 2000.
- “구동독 토지가격 산정과 통일한국에 대한 시사점”, 한국감정원 감정평가연구소, 2000.
- “동독국유재산 사유화정책의 남북통일에의 적용 가능성 검토”, 북한조사연구, 1999.
- “북한경제의 체제전환과 사유화”, 경상논총, 1998.
- “Privatisierungs politik im Transformations prozeß (Privatization Policies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학위논문(박사), 쾰른대학교, 1998.
- “Privatization Policies in the Unified Korea”, The Economics of Korean Reunification, 1997.
[저서]
- 『한반도 경제공동체 그 비전과 전략』,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 『20 years of Reform in the Transition Economies: Implications for the North Korean Economy, in Driving Forces of Socialist Transformation』, Praesens Verlag, Wien, 2009.
- 『Korea Yearbook 2008』 중 “Trends and Prospect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rill, Netherlands, 2008.
- 『대북투자 어디에 어떻게』 (이영선, 이태정과 공저), 도서출판 해남, 2003.
- 『체제전환의 경제학』, 청암미디어, 2001.
- 『베를린시대의 독일공화국』 (유임수외 공저), 엠 애드, 2000.
[연구용역보고서]
- "IFEZ 투자유치 전략수립 연구", 인천경제자유구역청, 2020
- "WTO 투자원활화 협상 대응 방안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20
- “신북방정책 구현을 위한 경제협력 전략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8.
- “한중 산업협력단지 경제협력방안 공동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8.
- “중장기 경제자유구역 발전전략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8.
- “외국인투자유치 지원제도 개편 방안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8.
- “외국인 투자 진입장벽 영향 평가”, 산업통상자원부, 2017.
- “우리나라의 대중 중장기 통상전략”, 산업통상자원부, 2017.
- “한국의 경제특구정책과 개도국에 대한 시사점”, KDI, 2016.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차별화 전략 수립”
- “과학벨트-특구 유사제도 간 종합비교를 통한 기능 거점화 개선방안 연구”,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정책연구용역, 2016.
- “국내특구제도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기획재정부외 4개부처 정책연구용역과제, 2015.
- “동북아 경제중심지 도약을 위한 경제자유구역별 발전전략 수립 연구”, 지식경제부 정책연구과제, 2012.
- “강화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 추진방안 연구”, 인천시 정책연구과제, 2012.
-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사업군”, 기획재정부 정책연구과제, 2012.
- “한-EU FTA 역외가공지역 지정기준에 관한 연구”, 지식경제부 정책연구과제, 2011.
- “독일의 서비스분야 자격제도 및 자격종목 조사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정책연구, 2011.
- “Development of Navoi Free Industrial Economic Zone in Uzbekistan”, KDI, 2010.
- “우즈베키스탄 CNG 충전소 건설/운영 및 실린더 공장 설립 사업에 대한 예비사업타당성 검토 용역“, 한국가스공사, 2010.
- “황해경제자유구역 지식기반제조업 투자유치 전략”, 황해경제자유구역 정책연구과제, 2010.
- “인천경제자유구역 투자유치 전략”, 인천경제자유구역 정책연구과제, 2009.
- “EAFTA Study Phase II”, 외교통상부 정책연구과제, 2009.
- “경제자유구역 중장기 발전 방향”, 지식경제부 정책연구과제, 2009.
- “The Project for Export Promotion and Special Economic Zones Improvement in Kazakhstan”, KOICA 정책연구과제 2009.
-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경제자유구역 등 지정타당성 검토”,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주식회사 프로젝트, 2009.
-“ Feasibility Study on Establishing Special Economic Zones in Uzbekistan”, 재정경제부 정책연구과제 2008.
- “상생·공영의 남북교류협력 추진 방안:「비핵·개방·3000」구상 실행방안을 중심으로”, 통일부정책 연구과제, 2008.
- “경제자유구역 추진체계 개선 과제”, 재정경제부 정책연구과제, 2007.
- “한·일 및 한·중·일 투자협정 체결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 외교통상부 정책연구과제, 2007.
- “국내특구제도의 경제적 효과분석 및 향후 추진방향”, 건교부 정책연구과제, 2007.
- “경제자유구역사업 추진 평가 및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 재경부 정책연구과제, 2007.
- “중국 발해만권 개발관련 보완관계 설정 방안 연구”, 재경부 정책연구과제, 2007.
- “한중일 FTA의 주요이슈: 서비스, 원산지 규정 및 기 체결 FTA의 특징”, 재경부 정책연구과제, 2006.
- “한반도 경제개발 계획과 남북경협”, 재정경제부 정책연구과제, 2006.
- “남북경협 분야별 활성화 방안”, 통일부 정책연구과제, 2006.
- “체제전환을 위한 개혁사례 및 적용 방안”, 재경부 정책연구과제, 2006.

직급 선임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017
주력분야 일본 경제, 산업
- 2005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교(慶應義塾大學) 경제학 박사
- 1992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 1990 연세대학교 경제학 학사
[KIEP 발간물]
- “일본의 제조업 혁신 정책 추진 현황과 시사점: ‘Connected Industries’를 중심으로”, 오늘의 세계경제 18-34, KIEP, 2018.9.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Major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of Korea: U.S., Germany and Japan Cases”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8-20, KIEP, 2018.7.
- “Japan's TPP Strategy”, World Economy Brief(WEB) 18-07, KIEP, 2018.2.
-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성장전략: 미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7-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1.
-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일본의 통상정책” (공저), 연구보고서 17-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일본의 4차 산업혁명 추진 현황과 시사점: Smart Manufacturing을 중심으로”, 오늘의 세계경제 17-25, KIEP, 2017.8.
- “아베노믹스 성장전략의 이행 성과와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Regulatory Reform in Japan”, World Economy Brief(WEB) 16-13, KIEP, 2016.6.
- “Japan's Growth Strategy and Structural Reforms in its Labor Market”, KIEP Opinions 82, KIEP, 2016.4.
- “저성장시대 일본 정부의 규제개혁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5-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아베노믹스의 국가전략특구 추진 현황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15-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5.
- “Japan’s FTA Strategy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5-06, KIEP, 2015.3.
- “일본의 FTA 추진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4-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A Study on Japanese Fiscal Sustainability and Fiscal Discipline”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4-06, KIEP, 2014.1.
- “일본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재정규율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3-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일본의 TPP 협상 참여 선언: 전망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13-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4.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본경제의 진로모색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G2 시대 일본의 대중(對中) 경제협력 현황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분석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1-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한국· 인도네시아 중장기 경제협력 방안 연구: 지역개발과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1-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일본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전략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5.
- “일본 대지진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3.
- “일본과 EU의 환경 분야 대외협력 전략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0-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일본, 센카쿠 분쟁을 계기로 희토류 확보에 고심”, 지역경제포커스 10-3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0.
- “일본의 재정건전화 계획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10-3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7.
- “최근 일본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에 대한 평가”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0-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5.
- “일본의 리튬이온 2차전지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 지역경제포커스 10-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3.
- “일본의 저탄소사회전략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09-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일본 민주당 신정권의 경제정책에 대한 평가와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9-3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9.
- “불가리아 편람 1996 증보판” (공저), (센)편람 96-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5.
- “동구의 경제여건변화와 한동구 경협증진 방안”, (센)편람 95-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5.12.
- “폴란드편람 1994 증보판” (공저), (센)편람 94-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12.
- “동구 주요국의 국유기업 사유화 정책 및 제도”, (센)편람 94-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9.
- “동구 주요국의 고용ㆍ임금제도 분석 : 폴란드, 헝가리, 체코를 중심으로”, (센)조사보고 93-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3.12.
- “폴란드 무역제도 분석”, (센)조사보고 92-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12.
[주요 논문]
- “일본의 제조업 경쟁력: 갈라파고스화, 어떻게 볼 것인가?”, 한일경상논집 제70권, 2016.3.
[기타 연구보고서]
- “후분양제도 전환에 따른 주택건설금융구조 개편방안 연구” (공저), 주택산업연구원, 2005.12.
- “고이즈미 내각의 주요 행정개혁 내용” (공저),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6.1.
- “공공부문 평가제도 실태조사, 공동연구”,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6.9.
- “정부산하기관 경영평가 제도의 운용실태 - 계량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을 중심으로”,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6.12.
- “지방자치단체 책임성 제고를 위한 종합평가모형 연구” (공저),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7.12
- “일본의 지방재정개혁 및 재정분석·평가에 관한 연구”,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7.12.
- “공공기관 기능분석에 관한 연구”, (공저), 감사원 감사연구원, 2008.9.
- “감사환경분석”, (공저), 감사원 감사연구원, 2008.11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69
주력분야 일본 경제, 국가경쟁력, 타당성조사
[주요 경력]
- 1996.2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9.8 ~ 2020.2 : 중국 베이징대 경제학원 방문학자
- 2017.9 ~ 2019.9 : 기획재정부 국가경쟁력정책협의회 민간위원
- 2007.6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행사타당성연구단원
- 2006.7 ~ 8 : 일본 아시아경제연구소 방문연구원
- 2006.3 : 한국조세연구원 성과관리전문과정(사업평가 예비타당성조사) 수료
- 2001.10 ~ 2002.6 : 일본 외무성(Japan Foundation) 초청 칸사이국제교류센터 연수
[수상 경력]
- 2019 KIEP 우수보고서 선정(『한ㆍ중ㆍ일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비교 연구』, 책임)
- 2015 KIEP 우수보고서 선정(『저성장시대 일본 정부의 규제개혁에 관한 연구』, 공저)
- 2012 KIEP 업적평가 우수직원 선정
- 2011 KIEP 우수보고서 선정(『동아시아 발전모델의 평가와 향후 과제: 영미모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공저)
- 2010 KIEP 우수보고서 선정(『일본과 EU의 환경 분야 대외협력 전략과 시사점』, 공저)
- 2008 환경부장관상 수상
- 2007 KIEP 업적평가 우수직원 선정
- 2005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보고서 선정(『2004 중국경제연보』, 공저)
[KIEP 발간물]
- - "한ㆍ중ㆍ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의 GVC 연계성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20-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6.
- -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 "한·중·일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비교 연구" (책임), 연구자료 19-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전망" (공저), KIEP기초자료 1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8.
- - "한국의 대(對)동남아 소비재수출 활성화 방안: 한ㆍ중ㆍ일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8-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 "최근 한반도 정세 변화와 북일 경제협력 과제" (공저), KIEP기초자료 18-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9.
- -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일본의 통상정책" (공저), 연구보고서 17-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성장전략: 미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7-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1.
- - "일·EU 경제동반자협정(EPA) 기본합의와 시사점"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7-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7.
- - "미국 트럼프 정부 100일의 통상정책과 시사점"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7-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5.
- - "아베노믹스 성장전략의 이행 성과와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일본 전자상거래 시장 현황 분석 및 정책 시사점”, 연구자료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저성장시대 일본 정부의 규제개혁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5-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일본의 FTA 추진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4-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중국 신흥도시의 소비시장 특성과 기업의 진출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4-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일본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재정규율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3-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국제행사타당성조사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공저), 연구자료 13-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일본 아베노믹스의 추진 현황과 정책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2.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본경제의 진로모색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G2 시대 일본의 대중(對中) 경제협력 현황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일본 신(新)자민당 정권의 경제정책과 향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4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동아시아 발전모델의 평가와 향후 과제: 영·미 모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1-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분석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1-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의 피해복구 현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7.
- “일본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전략과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5.
- “일본 대지진이 동아시아 생산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4.
- “일본 대지진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3.
- “일본과 EU의 환경 분야 대외협력 전략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0-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일본의 양자간 온실가스 감축 메커니즘: 내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0-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9.
- “중국 동북지역과 일본 간 경제협력채널의 현황 및 시사점” (공저), 중국성별동향 브리핑 10-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8.
- “일본 신성장전략의 주요 내용과 평가”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0-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0
- “최근 일본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에 대한 평가”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0-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5.
- “일본 신성장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10-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2.
- “일본의 저탄소사회전략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09-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일본 민주당 신정권의 경제정책에 대한 평가와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9-3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9.
- “기후변화협상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8.
-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일본정부의 경제대책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9-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6.
- “일본 농업의 경쟁력과 한ㆍ일 FTA에의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08-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한일 양국의 에너지 분야 대응실태와 협력방안” (공저), 연구자료 08-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일본의 기체결 EPA의 분석과 한·일 FTA에의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8-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2008 하반기 주요국 경제동향 및 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8-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8.
- “일본의 고령자 취업 현황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08-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7.
- “2007년 일본기업의 해외진출 동향과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08-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2.
- “한·일 기업의 동아시아 생산네트워크 비교연구: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7-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일본” (공저), 연구자료 07-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일본기업의 해외사업 전개 동향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7-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6.
- “일본경제의 구조변화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6-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 “일본 아베 정부의 경제정책과 향후 과제”, 오늘의 세계경제 06-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9.
- “일본의 적대적 M&A 방어지침과 시사점”, 연구자료 0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9.
- “대외경제 점검: 미·일·중의 경제 현황 및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6-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8.
- “한·중·일 FTA: 제조업 부문의 대응전략 - 민감품목 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5-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 “동북아 경제협력: 동북아개발은행 논의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연구보고서 04-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2.
- “동북아 에너지 개발 현황과 협력과제” (공저), KIEP 세계경제 제7권 제11호 통권74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1.
- “유럽투자은행의 운영현황과 동북아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제7권 제8호 통권71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8.
- “EU의 공동지역정책과 동북아시아에 대한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제7권 제7호 통권70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7.
- “최근 일본의 기업지배구조 개혁과 시사점”, 대외경제전문가풀 토의자료 2004-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7.
- “중국 채권시장의 현황과 향후 과제” (공저), KIEP 세계경제 제7권 제5호 통권68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4.
- “ADB의 기업지배구조 논의와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제7권 제2호 통권65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
- “한·중·일 FTA금융서비스 협상을 대비한 전략과 과제: 금융서비스 경쟁력 추정과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3-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 “일본의 자산버블 경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3-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 “일본의 기업지배구조 개선 현황과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제6권 제10호 통권61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0.
- “일본의 금융·자본시장 국제화 전략과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제6권 제9호 통권60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9.
- “OECD의 아시아 기업지배구조 백서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제6권 제7호 통권58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9.
- “북미개발은행의 현황과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제6권 제6호 통권57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6.
- “IMD의 2003 국가경쟁력 평가방식의 문제점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03-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5.
- “일본경제의 장기침체와 한국경제” (공저), 연구보고서 02-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12.
- “동북아개발은행의 창설에 대한 일본의 입장과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제6권 제3호 통권54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2.
- “2003년도 일본정부의 경제운영방침과 평가” (공저), KIEP 세계경제 제6권 제1호 통권52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
- “Korea‘s Road to a Sound and Advanced Economy” (공저), 세미나자료모음 02-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11.
- “일본 은행부문의 효율성 평가와 경영과제” (공저), KIEP 세계경제 제5권 제8호 통권47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8.
- “북한의 물가 인상 및 배급제 폐지의 의미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2-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7.
- “최근 유럽에서의 Tobin tax 도입 논의에 대한 평가:당분간 논의 지속, 그러나 도입에는 난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1-3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9.
- “금융정보기구(FIU)제도 도입방안” (공저), Policy Analysis 00-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12.
- “OECD의 권고이행평가 및 향후과제: 금융·자본시장” (공저), 연구자료 00-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12.
- “동북아 경제협력: 금융협력” (공저), 연구보고서 99-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5.
- “엔 국제화와 일본 국채시장의 정비” (공저), KIEP 세계경제 제3권 제4호 통권19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4.
- “국가경쟁력 강화 - 유럽에서 배운다” (공저), 단행본 00-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12.
- “IMD의 국가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99-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12.
- “WEF 국가경쟁력 보고서 분석” (공저), Working paper 99-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11.
- “OECD기업지배구조 원칙의 제정과 한국경제에 대한 시사점” (공저), Policy Analysis 9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7.
- “외국인투자유치정책: 국제적 성공사례와 시사점 - 투자인센티브” (공저), 연구보고서 98-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12.
- “외국인투자유치정책: 국제적 성공사례와 시사점 - 투자자유지역” (공저), 연구보고서 98-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12.
- “경제난 극복의 지름길 - 외국인투자” (공저), Working paper 98-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11.
- “우크라이나의 경제개혁과 외국인투자제도”, Policy Analysis 97-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7.12.
- “카자흐스탄 편람”, (센)편람 96-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12.
- “러시아 편람” (공저), (센)편람 96-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45
주력분야 동아시아 경제협력, 일본 경제, 국제무역
- 2023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 2011 이화여자대학교 국제학(국제무역) 석사
- 2008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동아시아학 학사
- 2011 ~ 현재: KIEP 연구원
[KIEP 발간물]
-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공저), 연구보고서 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일본의 재난관리대책 및 시사점: BCP를 중심으로"(공저), 세계경제포커스 20-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2
- "주요국 수소전략의 추진 방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8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잠정 타결: 의미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1
-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와 전망" (공저), 기초자료 1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8
- "상품공간모형을 활용한한·중·일산업구조 분석 및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9-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5
- "한국의 대동남아 소비재수출 활성화 방안: 한중일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8-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제7차 한·중·일 정상회의 주요 논의결과와 향후 협력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5
- "한·중·일의 서비스무역규제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7-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대ASEAN FDI 결정요인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7-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6
- "한·중·일의 비관세장벽 완화를 위한 3국 협력방안: 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5-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주요국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전략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4-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GTI 회원국의 무역원활화 현황 및 역내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한·중·일 3국 IT 서비스산업의 비교우위 검토: 생산성 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자료 13-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한·중·일 3국 환경상품 교역의 특성: 경쟁력 패턴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자료 1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8
- "미국의 중소기업 수출확대정책 및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1-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미국·캐나다의 녹색성장 전략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36
주력분야 일본 경제
- 2015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국제협력 석사
- 2013 연세대학교 국제학 학사
[KIEP 발간물]
- "주요국의 혁신성장 정책과 제도: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9-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주요국별 코로나19 대응 및 조치"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0-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3
- "일본의 재난관리대책 및 시사점: BCP를 중심으로"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0-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2
- "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2
-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전망" (공저), KIEP 기초자료 1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8
- "EU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에 대한 일본정부의 대응 및 평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9-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 "Revitalization of Korea's Exports of Consumption Goods to Southeast Asia" (공저), KIEP World Economy Brief 19-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 "세계경제 리스크에 대한 주요국의 반응과 대응: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9-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방안: 4차 산업혁명, 전자상거래,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8-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한국의 대(對)동남아 소비재수출 활성화 방안: 한중일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8-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현황" (공저), KIEP 기초자료 18-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9
-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 현황과 시사점"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8-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2
-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일본의 통상정책"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7-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일·EU 경제동반자협정(EPA) 기본합의와 시사점"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7-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7
- "아베노믹스 성장전략의 이행 성과와 과제"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The China Risk and Korea's Response" (공저), KIEP World Economy Brief 15-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Revitalization of Korea's Exports of Consumption Goods to Southeast Asia" (공저), KIEP World Economy Brief 19-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35
주력분야 일본 경제(금융/노동)
- 2013 서강대학교 경영학 석사
- 2011 성신여자대학교 경제학 학사
- 2016.7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일본팀 전문연구원
- 2013.9 ~ 2016.6 : 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 연구원
[KIEP 발간물]
- "주요국별 코로나19 대응 및 조치" (공저), 세계경제 포커스 20-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3
- "일본 수출규제 100일의 경과, 영향 및 향후 대응" (공저), 세계경제 포커스 19-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0
- "미·일 무역협정(USJTA)의 경제적 영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9
-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전망" (공저), 기초자료 1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8
- "세계경제 리스크에 대한 주요국의 반응과 대응: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방안: 4차 산업혁명, 전자상거래,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공저), 18-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일본의 노동시간 단축 추진 현황 및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18-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8
- "일본 노동개혁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노동시간 단축, 차별 금지, 생산성 향상을 중심으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7
- "아베노믹스 성장전략의 이행 성과와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87
주력분야 육아휴직
- 2017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 2014 일본 와세다대학 국제교양학 학사
- 2017.11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원
[KIEP 발간물]
- "일본의 재난관리대책 및 시사점: BCP를 중심으로" (공저), 세계경제 포커스 20-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2
-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전망" (공저), 기초자료 1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8
- "상품공간모형을 활용한 한・중・일 산업구조 분석 및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9-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5
- "세계경제 리스크에 대한 주요국의 반응과 대응: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 "미국과 한·중·일 간의 환율 관련 현안과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18-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5
- "제7차 한·중·일 정상회의 주요 논의결과와 향후 협력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5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87
주력분야 일본 경제
- 2025.03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원
통일국제협력팀
최장호 | 직급 | 팀장 | 분야 | 북한 무역, GTI | 연락처 | 044-414-1152 | 메일 보내기 |
---|---|---|---|---|---|---|---|
김다울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육아휴직 | 연락처 | 044-414-1070 | 메일 보내기 |
최유정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북한 경제, 무역, WTO, 대외채무, 남북CEPA, 대북지원사업 | 연락처 | 044-414-1187 | 메일 보내기 |
이정균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북한 대외경제협력, 접경지역, 중국네트워크 | 연락처 | 044-414-1084 | 메일 보내기 |
김범환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북한 외화수급, 남북경협 | 연락처 | 044-414-1041 | 메일 보내기 |
이희선 | 직급 | 연구원 | 분야 | GTI, 위성지표를통한 북한경제분석 | 연락처 | 044-414-1544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152
주력분야 북한 무역, GTI
- 2014 미국 Oregon State University 경제학 박사 (Dept. Applied Economics)
- 2007 서울대학교 농경제학 경제학 석사
- 2005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경제학 학사
2018.06 - 2022.11 통일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2020.05 - 2020.12 기획재정부 재정성과평가관리단 위원
2019.11 - 2021.11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2019.05 - 2021.05 통일부 예산정책심의회 위원
2019.06 - 2021.06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전문위원
2000.08 - 2002.10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 제대
[KIEP 발간물]
- “체제전환국의 WTO 가입경험과 북한 경제” (공저), 연구보고서 18-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7.
- “China’s Manufacturing Development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8-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7.
- “Economic Opportunities Amid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and Denuclearization Talks”, KIEP Opinions no.1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6.
- “2017년 북·중 무역 평가와 향후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18-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2.
- “남북한 경제통합 분석모형 구축과 성장효과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17-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중국의 제조업 발전 현황과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7-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북한의 무역과 산업정책의 연관성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17-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1.
- “2016년 북‧중 무역통계의 공개 시기별 격차 비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0.
- “Sanctions and Consequent Effects on North Korea's Trade”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7-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6.
- “미국 트럼프 정부 100일의 통상정책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5.
- “통일 후 남북한경제 한시분리운영방안: 경제적 필요성과 법적 타당성” (공저), 연구보고서 16-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남북한 CEPA 체결의 중장기 효과분석 및 추진방안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6-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북한 주변국의 대북제재와 무역대체 효과” (공저), 연구보고서 16-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동북아 초국경 인프라 개발과 재원조달: 중국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6-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1.
- “North Korea's Trade with China in 2015: Analysis and Forecast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7.
- “The Changing Structure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6-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6.
- “2015년 북한의 대중 무역 분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5.
- “북·중 분업체계 분석과 대북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5-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Strengthening Complementary Textile Production System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KIEP Opinions 6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7.
- “북한무역의 변동요인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공저), 연구보고서 15-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7.
- “북·러 경제협력 강화 배경과 향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5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070
주력분야 육아휴직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87
주력분야 북한 경제, 무역, WTO, 대외채무, 남북CEPA, 대북지원사업
- 2018 9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전문연구원
- 2020. 11 ~ 2022. 12 :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84
주력분야 북한 대외경제협력, 접경지역, 중국네트워크
- 2024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경제.IT 전공) 박사
- 2004 중국 베이징 대외경제무역대학원(UIBE) 경제학(국제무역 전공) 석사
[주요 경력]
- 2024.05 ~ 2026.04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위원
- 2003.08 ~ 2016.02 주선양대한민국총영사관 경제연구원
[KIEP 발간물]
-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공저), KIEP 연구보고서 23-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12
- "2022년 북한의 대외동향 평가 및 시사점"(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02
-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공저), KIEP 연구보고서 22-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2
-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 활성화 방안"(공저), KIEP 연구보고서 21-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12
- "중국의 대북관광 동향과 시사점", KIEP 기초자료 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북한의 대외관계 평가와 2020년 전망: 북중, 북러 중심으로"(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02
- "비핵화에 다른 대북경제제재 해제: 분석과 시사점"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8-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03
- "북-러 관계 70주년 평가와 전망", KIEP 기초자료 18-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0
- "북한 외화획득사업 운영메커니즘 분석: 광물부문(무연탄ㆍ철광석)을 중심으로" (공저), KIEP 정책연구브리핑 17-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01
- "북한 외화획득사업 운영 메커니즘 분석: 광물부문(무연탄ㆍ철광석)을 중심으로"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7-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2016년 북‧중 무역통계의 공개 시기별 격차 비교"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7-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0
- "북한 주변국의 대북제재와 무역대체 효과" (공저), KIEP 정책연구브리핑 16-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01
- "북한 주변국의 대북제재와 무역대체 효과"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6-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대북제재로 인한 북·중 접경지역에서의 무역 거래관행 변화 분석" (공저) KIEP 연구보고서 16-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41
주력분야 북한 외화수급, 남북경협
[KIEP 발간물]
- "미얀마의 대외관계 정상화 경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9-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9
- "비핵화에 따른 대북경제제재 해제: 분석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8-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남북한 경제통합 분석모형 구축과 성장효과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17-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544
주력분야 GTI, 위성지표를통한 북한경제분석
북경사무소
현상백 | 직급 | 소장 | 분야 | 중국 경제 | 연락처 | +86-10-8497-2870/1/2 | 메일 보내기 |
---|---|---|---|---|---|---|---|
박진희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국중부지역 | 연락처 | +86-10-8497-2870/1/2 | 메일 보내기 |
직급 소장
전화번호 +86-10-8497-2870/1/2
주력분야 중국 경제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86-10-8497-2870/1/2
주력분야 중국중부지역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