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03건 페이지 15/121
-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 (나이지리아 Afe Babalola University 소속 S. A. Igbatayo 박사)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8월 9일(화) 본원 201호 회의실에서 나이지리아 Afe Babalola University 소속 S. A. Igbatayo 방문학자를 모시고 방문학자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약 1개월 간 ‘KIEP 방문학자 프로그램’에 참여한 S. A. Igbatayo 학자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원내 전문가들과 공유하고자 마련된 자리였다. S. A. Igbatayo 학자는 “The Emergence of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greement (AfCFTA) and Lessons from the Asia-Pacific Trade Agreement (APTA)”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으며, 무역특혜협정,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와 아태무역협정(APTA)의 등장 배경 및 목적, APTA의 의의 등에 대해 발표했다. 해당 학자는 아태무역협정의 접근방법, 다양한 참여국 등의 특징을 분석하여 AfCFTA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아프리카중동팀 한선이 부연구위원, 정민지 전문연구원, 무역통상실 엄준현 전문연구원 등 원내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발표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 - 주 제: The Emergence of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greement and Lessons from the Asia-Pacific Trade Agreement - 일 시: 2022년 8월 9일(화) 10:30-11:30 - 장 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호 - 발표자: S. A. Igbatayo, Professor, Department of Economics, Afe Babalola University, Nigeria - 문 의: 세계지역연구센터 유인지 연구원 (ijyoo@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8/09 조회수 1,731
-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 (중국 China Institute for Reform and Development 소속 Wei Wenfeng 박사)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8월 3일(수) 본원 333호에서 중국 China Institute for Reform and Development 소속 Wei Wenfeng 방문학자를 모시고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약 1개월간 ‘KIEP 방문학자 프로그램’에 참여한 Wei Wenfeng 학자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원내 전문가들과 공유하고자 마련된 자리였다. Wei Wenfeng 학자는 “Understanding Hainan Free Trade Port (HNFTP): China’s Efforts to Explore High-level Opening-up”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해당 학자는 중국의 하이난 자유무역항의 특징, 중국의 경제특구의 현황, 중국 정부의 정책 방향 등에 대해 발표하였다. 중국 정부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개혁과 개방을 추구하고 있으며,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을 통해 다른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건설적인 참여와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세미나에는 세계지역연구센터 중국경제통상팀 문지영 부연구위원, 중국지역전략팀 김홍원 전문연구원, 무역통상실 서진교 선임연구위원 등 원내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발표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를 이어갔다. - 주 제: Understanding Hainan Free Trade Port: China’s Efforts to Explore High-level Opening-up - 일 시: 2022년 8월 3일(수) 10:30-11:30 - 장 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33호 - 발표자: Wei Wenfeng, Director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China Institute for Reform and Development, China - 문 의: 세계지역연구센터 유인지 연구원 (ijyoo@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8/03 조회수 2,318
-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 (이탈리아 University for Foreigners of Perugia 소속 Angela Sagnella 박사)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8월 3일(수) 본원 333호 회의실에서 이탈리아 University for Foreigners of Perugia 소속 Angela Sagnella 방문학자를 모시고 방문학자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약 1개월 간 ‘KIEP 방문학자 프로그램’에 참여한 Angela Sagnella 학자가 그간의 연구성과를 원내 전문가들과 공유하고자 마련된 자리였다. Angela Sagnella 학자는 ‘Digital Divide in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and the Opportunities for the South Korea-Spain Cooperation’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 국가 내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디지털 격차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스페인과 한국 간 협력을 통해 디지털 격차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격차 감소를 통해 해당 국가의 고용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는 세계지역연구센터 미주팀 이승호 부연구위원, 무역통상실 서진교 선임연구위원, 경제안보전략실 박지원 부연구위원 등 원내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발표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를 이어갔다. - 주 제: Digital Divide in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and the Opportunities for the South Korea-Spain Cooperation - 일 시: 2022년 8월 3일(수) 15:00-16:00 - 장 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33호 - 발표자: Angela Sagnella, International Relations Researcher, University for Foreigners of Perugia, Italy - 문 의: 세계지역연구센터 유인지 연구원(ijyoo@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8/03 조회수 1,222
-
2022 KIEP 북방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022년 7월 29일(금) 오전 10시 광화문 버텍스코리아 22층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질서의 주요 이슈와 전망”을 주제로 ‘2022 KIEP 북방 세미나’를 개최했다.올해 2월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세계경제 및 안보 환경 전반에 위기감을 불러왔으며, 이번 전쟁으로 △미국 주도의 대서양 동맹 강화 △러시아와 미국·유럽과의 관계 악화 △유럽 역내 안보 위기와 군비 증강 △유럽의 대러 에너지 의존도 축소에 따른 에너지 국제관계의 변화 △식량 위기와 인플레 심화 등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이번 세미나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질서의 주요 이슈와 전망에 대한 미국, 중국, 러시아,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의 시각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한국의 대외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과 장기화에 따른 안보 위기가 세계 질서 전반에 중대한 파급 효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우크라이나 전쟁과 그 이후 펼쳐질 세계 질서 전망은 다음의 2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 모색이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료되는 경우 세계는 다시 이전과 유사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을 것인가? 둘째,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기존의 국제관계와 세계 질서가 원 상태로 복원되기 어려운 임계점을 지났다고 볼 수 있는데, 새로운 국제 질서는 이전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을 것인가?이어 기조 세션인 1세션에서는 백준기 한신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김재관 전남대 교수, 박상남 한신대 교수, 박성훈 고려대 교수, 안병진 경희대 교수, 한홍열 KCI 이사장 겸 한양대 교수,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중러 관계의 동학과 세계경제’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2세션에서는 박정호 KIEP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공민석 제주대 교수, 조형진 인천대 교수, 제성훈 한국외대 교수, 윤성욱 충북대 교수, 현승수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이 ‘주요국이 보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질서의 주요 이슈와 전망’을 주제로 패널 발제를 진행했다.3세션에서는 이권형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주요국이 보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경제의 주요 이슈와 전망’을 주제로 패널 발제를 진행했다. 윤여준 부산대 교수, 이현태 인천대 교수, 조영관 한국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 강유덕 한국외대 교수, 염동호 한신대 교수가 미국, 중국, 러시아, 유럽, 일본 측 시각을 각각 발표했다.김흥종 KIEP 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주요국(미국, 중국, 러시아, 유럽, 일본)의 시각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질서와 세계경제를 진단해 봄으로써 우리의 대외정책 방향 수립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강조했다.- 행사명: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질서의 주요 이슈와 전망- 일 시: 2022. 7. 29(금) 10:00~18:00- 장 소: 광화문 버텍스코리아, Conference Room Ⅱ(22F)-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문 의: 러시아유라시아팀 강부균 전문연구원(bgkang@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7/29 조회수 2,459
-
한미 에너지 안보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2년 7월 27일(수) 9시에 서울 조선호텔에서 미국 워싱턴 DC 소재 글로벌전략경영원(GABI, Global America Business Institute)과 공동으로 '한미 에너지 안보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급변하는 국제정세 변화에 따라 에너지 안보 분야 협력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한미 양국이 에너지 관련 분야에 대해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동 회의는 2022년 KIEP 경제안보 세미나 시리즈의 제5차 세미나에 해당한다.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지정학적 불안이 높아지면서 국가경제를 뒷받침하는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중시하는 에너지 안보의 개념이 부상하고 있다. 최근의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불안정 상황은 국제사회가 기후변화 극복을 위해 협력 중인 화석연료 의존도 감소 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탄소중립 목표 달성 측면에서도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KIEP는 금번 세미나를 통해 한미 간 에너지 안보 정책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행사에는 김흥종 KIEP 원장을 비롯해 Florence Lowe-Lee 미국 글로벌전략경영원(GABI) 원장, 안철수 국회의원, 이상현 세종연구소 원장, David Gattie 조지아 대학교 교수,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 등 각계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촉발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불안정과 기후위기로 인해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전했다.이상현 세종연구소 소장의 사회로 진행된 세션1에서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촉발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불안정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제협력에 미칠 영향과 국제사회의 대응 방안을 주제로 논의했으며, Energy Innovation Reform Project의 Paul Saunders 회장, University of Georgia의 David Gattie 교수, 김연규 한양대 교수, 문진영 KIEP 연구위원이 참여했다. University of Georgia의 David Gattie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세션2에서는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안정화와 탄소중립을 함께 달성하기 위한 에너지 정책 방안으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원자력 에너지에 대해 논의했으며, Murphy Energy & Infrastructure Consulting의 Paul Murphy 창립자, Argonne National Laborator의 Paul Dickman 선임연구위원, 정범진 경희대 교수가 참여했다.Argonne National Laboratory의 Paul Dickman 선임연구위원의 사회로 진행된 세션3에서는 소형모듈원자로의 개발과 이용에 관한 한미 간 협력을 주제로 논의했으며,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의 임채영 소장,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 MZ Consulting Inc의 Milt Caplane 회장, Atlantic Council의 Stephen Greene 선임연구위원이 참여했다.마지막으로 한미 간 원자력 에너지 협력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된 토론에서는 GABI의 Bryan Cheong 실장과 Murphy Energy & Infrastructure Consulting의 Paul Murphy 창립자가 논의를 이었다.김흥종 KIEP 원장은 이번 세미나가 “탄소중립과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안정의 동시 추구라는 에너지 안보 정책의 목표를 정립하고, 한미 간 원자력 에너지 협력을 실현 방안으로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강조했다.- 행사명: 한미 에너지 안보 세미나 (Korea-US Energy Security Dialogue)- 일 시: 2022년 7월 27일(수) 09:00~17:00- 장 소: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오키드룸(2층)-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글로벌전략경영원(GABI, Global America Business Institute)- 문 의: 경제안보전략실 경제안보팀 박영석 부연구위원(yspark@kiep.go.kr)* 관련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 한국경제, 매일경제, 매일경제TV, MBN, 뉴스핌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7/27 조회수 2,997
-
2022 APEC 연구센터 컨소시엄 컨퍼런스(ASCCC: APEC Study Centers Consortium Conference)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APEC 연구컨소시엄 사무국이 주관하는 ‘정보통신기술(ICT) 발전과 소득 불평등(ICT Development and Income Inequalities)’, ‘APEC 회원국간 규제 유사성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Regulatory Similarity between APEC members and its impact on trade)’에 관한 연구과제가 7월 21(수)~22일(목) 양일간 태국 푸껫에서 개최된 ‘2022 APEC 연구센터 컨소시엄 컨퍼런스(ASCCC: APEC Study Centers Consortium Conference)’에서 주목을 받았다.매년 개최되는 ASCCC는 21개 APEC 회원국의 학계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역내 현안 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회의에는 문성만 전북대학교 교수와 최보영 경북대학교 조교수가 한국 대표 전문가로 참석하여 각자의 연구내용을 발표했다. 문성만 교수는 2021년 ASCCC에서 코로나19 기간에 근로자의 ICT 사용강도 및 숙련도가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연구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참석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 올해 ASCCC에도 초청을 받은 문성만 교수는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소득 불평등’이라는 주제로 업데이트 된 연구 내용을 발표하여 다시 한 번 참석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최보영 조교수는 ‘APEC 회원국간 규제 유사성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해당 연구과제는 APEC 회원국간의 규제 거리(Regulatory Distance)를 측정함으로써 APEC 회원국 내 규제 격차를 보이는 국가와 산업을 식별한 후, 이러한 격차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 FTAAP 실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2022년 ASCCC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향후 전망, 국가간 연결성, 미래 기술력, 역내 무역 및 투자 이슈, 지역경제통합, 디지털 안보 및 가짜뉴스(Fake News), 글로벌 위기 공동 대응, 역내 안보이슈 등 여덟 가지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전염병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APEC 차원의 협력 방향을 모색하고자 개최되었다. 동 컨퍼런스의 취지에 부합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한국 전문가들의 발표 내용은 시의적절하고 깊이 있는 내용으로 참석자들의 많은 관심과 공감을 이끌어냈다.KIEP는 매년 APEC 스터디 연구시리즈를 통해 선정된 연구진들과 함께 동 컨퍼런스에 참석해 APEC 관련 주요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 행사명: 2022 APEC 연구센터 컨소시엄 컨퍼런스(2022 APEC Study Centers Consortium Conference)- 주제: Post Covid-19 and Future Directions of APEC- 일시: 2022년 7월 21(목)~22일(금), 10:30~17:00(한국시간 기준)- 장소: 태국 푸껫(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7/25 조회수 2,059
-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과 대외협력 방향’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022년 7월 21일(목) 14시에 서울 트레이드타워 중회의실에서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과 대외협력 방향’을 주제로 경제안보 세미나를 개최했다.한국은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참여국으로, 번영·자유·개방을 전제로 한 인·태 지역 유지와 관련국과의 상호협력을 위하여 ‘한국판 인·태 전략’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한반도와 동북아에 머물던 대외협력 범위를 핵심 전략 지역인 인·태 지역으로 확장하기 위해 ‘한국판 인·태 전략’을 수립 중이다.KIEP는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분쟁,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국제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주요국의 인·태 지역에 대한 관심 증가에 대응하고, 우리 정부가 새롭게 추진 중인 ‘한국판 인·태 전략’에 기여하고자 금번 세미나를 개최했다.1세션에서는 김흥종 KIEP 원장이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과 대외협력 방향’을 주제로 발표하였고, 유장희 前 KIEP 원장의 좌장 하에 김상배 서울대 교수와 전재성 서울대 교수가 토론을 맡았다.김흥종 원장은 “글로벌 중추국가인 한국은 가치를 공유하는 미국·EU·일본·호주를 조력자로 삼아 새로운 성장 축인 아세안·인도·중남미와 협력을 균형 있게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한국판 인·태 전략의 공간적 범위로 “W-커브”를 제시했다. 김흥종 원장은 “한국판 인·태 전략은 개방되고 열려있는 전략으로서 인태지역 모든 국가를 포용하므로 중국 배제 전략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는 점도 강조했다. 또한 김흥종 원장은 “한국판 인·태전략은 앞으로의 한·중·일 FTA와 기존 RCEP, 한·중 FTA 업그레이드, 한·아세안 FTA 및 한·인도 CEPA, 한·중남미 간 여러 FTA를 아우르는 개방되고 열려있는 중층적 전략(Open and Multi-Layered Strategy)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또한 김흥종 원장은 “인·태 전략 추진의 4대 원칙으로 △실용적 전략적 협력 강화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다층적 협력 확대 △지역별 호혜적 실질적 협력 강화 △규칙에 기반을 둔 투명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했다. 이러한 협력 원칙을 토대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 공급망, 디지털, 광물자원 분야에서 상생 및 번영하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기후변화 및 해양안보 등 비전통적 안보협력 분야에서 평화와 안전 공동체를 구축하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문화협력으로 관계의 지속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2세션 토론에서는 김흥종 KIEP 원장의 좌장 하에 인도·태평양 지역의 △공급망 △디지털 △에너지 △기후변화 △해양 △문화 등 다양한 부문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발표 및 토론이 이어졌다. 서정민 숭실대 교수, 남상열 KISDI 선임연구위원, 유학식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박환일 STEPI 본부장, 김기주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이성민 방송통신대 교수가 발표자로 참석하였다.이번 세미나는 KIEP가 2022년에 개최한 경제안보 관련 4차 세미나에 해당한다.- 주 제: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과 대외협력 방향- 일 시: 2022년 7월 21일(목), 14:00~17:00- 장 소: 서울 트레이드타워 중회의실(51층)-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경제안보팀 홍진희 전문연구원(jhhong@kiep.go.kr)* 관련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 한국경제, 매일경제, 뉴스핌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7/21 조회수 3,507
-
2022년 한러대화 정치·경제분과위 국내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8일(금) 국립외교원 1층 KNDA홀에서 한러대화, 국립외교원,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러관계”를 주제로 ‘2022년 한러대화 정치·경제분과위 국내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국제질서 변화와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전쟁 이후 한러 경제협력 방향과 구체적 실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본 행사에는 한러대화 이규형 조정위원장(前 주러대사), 국립외교원 홍현익 원장, 서울대 신범식 교수, 한양대 엄구호 교수, 국민대 장덕준 교수, 한러대화 채욱 경제통상분과위원장, 국민대 이상준 교수, 고상대 연세대 교수, 홍완석 한국외대 교수, 국립외교원 전봉근 교수, 국립외교원 이태림 교수, 국가전략연구원 장세호 연구위원, 고재남 유라시아정책연구원 원장 등 국내 싱크탱크 및 학계,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해 발제 및 토론을 진행했으며 KIEP 정민현 러시아유라시아팀 부연구위원, 정동연 전문연구원이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에 참석한 연사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배경과 원인, 전쟁의 성격을 분석하고 미중 갈등 상황에서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집중 분석했다.- 행사명: 2022년 한러대화 정치·경제분과위 국내 세미나- 주 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러관계- 일 시: 2022.7.8.(금) 10:00~18:00- 장 소: 국립외교원 1층 KNDA홀-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러대화, 국립외교원,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문 의: 러시아유라시아팀 정동연 전문연구원(dyjeong@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7/19 조회수 2,212
-
2022년도 KIEP 연구자문위원회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4일(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3년 사업계획 검토 및 발전방안 논의를 위한 ‘KIEP 연구자문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본 회의는 정부부처, 연구기관, 학계, 산업계 등 대외경제 전문가들이 모여 KIEP의 차년도 연구과제 선정 및 추진 등과 관련된 자문을 구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전문가들은 KIEP가 분석한 2023년 세계경제질서의 핵심요소와 외부 고객들의 수요를 반영한 2023년 사업목표와 연구과제 및 사업 등에 대해 의견을 개진했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연구자문위원들의 고견을 연구과제와 사업에 적극 반영토록 하겠으며, 추가적으로 필요한 연구주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사업 등을 통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이번 행사에는 KIEP 전임 원장들을 비롯하여 강주홍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기획국장, 안세령 외교부 국제경제국장, 박태호 前 통상교섭본부장, 김영민 LG경영연구원장, 오동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장, 이은호 전략물자관리원장, 김태호 KOTRA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이 연구자문위원 자격으로 참석했다.- 행사명: 2022년도 KIEP 연구자문위원회- 일 시: 2022년 7월 4일(월), 14:00~17:00- 장 소: 대한상공회의소 -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7/06 조회수 2,462
-
제43차 세종국가리더십포럼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6월 29일(수) 세종국책연구단지 A동 대강당에서 ‘글로벌 경제안보와 세계질서 전망’을 주제로 ‘제43차 세종국가리더십포럼’을 개최했다. 김흥종 KIEP 원장을 비롯해 한미경제연구소(KEI)의 캐슬린 스티븐스(Kathleen Stephens) 소장, 마크 토콜라(Mark Tokola) 부소장, 마크 피츠패트릭(Mark Fitzpatrick) 이사가 참석한 이번 행사에는 토론자로 고유환 통일연구원 원장 등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산하 국책연구기관장들도 함께 자리했다.이번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코로나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등으로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글로벌 경제안보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이번 세미나가 “새롭게 재편될 세계질서를 전망하고 경제안보의 관점에서 한국과 미국·유럽과의 미래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이었다”라고 강조했다.- 일 시: 2022.6.29.(수) 14:30~18:00- 장 소: 세종국책연구단지 1층 대강당- 주 제: 글로벌 경제안보와 세계질서 전망-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미경제연구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행정연구원* 관련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 인천경제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6/29 조회수 2,656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