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03건 페이지 13/121
-
제11차 한·브라질 비즈니스 포럼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1월 11일(금) 오후 2시 한국·브라질소사이어티(KOBRAS), 외교부와 공동으로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제11차 한·브라질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이번 포럼은 위드코로나, 글로벌 공급망 위기, 디지털 전환, 그린 에너지 전환 등 글로벌 대전환 시대에 급변하는 한국과 브라질 양국의 경제 및 비즈니스 환경을 점검하고 양국 간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자리였다.이날 포럼에는 김흥종 KIEP 원장, 조영식 한국브라질소사이어티 회장, 윤상욱 외교부 중남미국 심의관, 마르시아 도네르 아브레우 주한브라질대사 등을 포함해 양국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양국의 변화된 경제/비즈니스 환경과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팬데믹, 미·중 경쟁 심화, 지정학적 위기, 보호주의 및 공급망 재편 등으로 국제협력 분위기가 약화되고 있는 위기이자 기회의 변곡점에서 한국과 브라질은 보다 새롭고 광범위한 협력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브라질은 한국의 인도태평양전략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는 중남미의 핵심국가로서 향후 우리나라 인도태평양전략의 주요 파트너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번 포럼으로 주요 경제안보 분야인 농업, 에너지, 환경 부문에서 양국 간 새로운 협력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제1부에서는 “향후 브라질의 경제환경 변화 전망”을 주제로 홍성우 KIEP 부연구위원이 사회를 맡고, 박미숙 KIEP 전문연구원이 “브라질의 경제전망과 최근 이슈에 대한 논의”를 주제로 발표했다.이어 라파엘 코르테스(Rafael Cortez) Tendências Consultoria 컨설턴트는 “변혁기의 브라질 경제: 도전 과제와 장기적 전망”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중진국 함정에 놓인 브라질은 수입대체산업화 모델 이후 2세대 개혁이 절실하며, 경기둔화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정치 엘리트들의 급진화가 경제적 불확실성을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마르시아 도네르 아브레우(Márcia Donner Abreu) 주한브라질대사는 GVC 역학이 변화하는 현재 브라질이 대외정책의 핵심인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농업, 환경,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 분야에서의 무역 확대와 외국인투자 유치가 중요함을 강조했다.제2부는 “글로벌 대전환시대 한·브라질 경제협력의 기회와 활용”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주로 브라질 내 농업, 에너지, 기후변화, GVC와 교역 부문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이었다. 조희문 한국외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제2부에서는 “농업, 에너지 및 기후변화: 브라질-한국 협력의 기회”를 주제로 라리사 바흐홀츠(Larissa Wachholz) 브라질 국제관계센터 선임연구원이 발표했다. 윌러시 모레이라(Uallace Moreira) 바이아연방대학교 교수는 GVC 참여도가 낮은 브라질 경제는 1990년대 이후 탈공업화로 인해 기술 집약도와 경제 복잡성 순위가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일 시: 2022년 11월 11일(금) 14:00~18:00-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브라질소사이어티(KOBRAS), 외교부- 장 소: 서울 워커힐 호텔- 후 원: 주한브라질대사관- 문 의: 한국·브라질소사이어티 사무국(02-2090-9797)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2/11/11 조회수 1,431
-
2023년 세계경제 전망 발표 기자간담회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1월 10일(목)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3층 브리핑실에서 기획재정부 출입 기자들을 대상으로 ‘2023년 세계경제 전망' 발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정부포탈 e-브리핑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된 이번 간담회는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전망하고 관련 세계경제 현안에 대해 질의응답 하는 자리였다.김흥종 KIEP 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내년 세계경제는 2.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해당 전망치는 KIEP가 지난 5월 제시한 전망치 3.6%에 비해 1.2%p 하향 조정된 전망치이다. 김흥종 원장은 세계경제 성장의 키워드로 “긴축과 파편화 속에 억눌린 회복”을 꼽았으며, 인플레이션에 따른 통화 긴축과 이에 따른 재정 부담, 대 러시아 경제 제재 외에도 미중 전략 경쟁이 불러오는 글로벌 공급망의 파편화가 세계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망 개관을 브리핑한 안성배 국제거시금융실장은 긴축과 파편화 속에 경기회복이 억눌린 가운데, 금리 급상승과 민간 부채 부담의 실물 전이, 재정 역할의 딜레마,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미중 전략경쟁 등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세계경제 성장의 추가적인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선진국의 경우, 미국과 유로, 영국 등 주요국들이 모두 매우 낮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으며, 주요 신흥국인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은 대외환경 악화로 지난 2022년 5월 대비 하향 조정된 전망 수치를 발표했다. 이번 기자간담회에는 KIEP 김흥종 원장, 정성춘 부원장, 이권형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권율 국제개발협력센터 소장, 안성배 국제거시금융실장, 김종덕 무역통상실장, 곽성일 경제안보실장 및 관련 원내 연구진과 기획재정부 출입 기자들이 참석했다.- 행사명: 2023년 세계경제 전망 발표 기자간담회 개최- 주 제: 2023년 세계경제 전망- 일 시: 2022년 11월 10일(목), 10:00~11:30- 장 소: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3층 제1공용 브리핑실/ e-브리핑 동시 진행* 2023년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 다운로드작성자 기관담당자 작성일 2022/11/10 조회수 2,776
-
「2022 DMZ 국제포럼」 인천 개최 - “글로벌 대전환과 경제안보 시대, 한반도 평화와 국제협력” 주제로 양일간 진행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김흥종 원장)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 정해구 이사장), 인천광역시(유정복 시장)는 11월 3일(목)~4일(금) 양일간 “글로벌 대전환과 경제안보 시대, 한반도 평화와 국제협력(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ra of Great Transformation and Economic Security)”을 주제로 「2022 DMZ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인천연구원, 국립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이 주관한 이번 행사는 1일차 산업시찰과 2일차 국제포럼이 진행되었다. 1일차에는 LG사이언스파크 이노베이션 갤러리 등 우리나라 경제안보 중심지를 방문하여 디지털 전환, 그린 전환, 코로나 엔데믹, 탈세계화, 지역화 및 블록화 등 국제정세의 변화와 글로벌 대전환의 시기에 경제안보의 중요성에 대해 직접 느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또한 인천경제자유구역청 홍보관 및 스마트운영센터, 인천도시역사관 등 인천의 근대화와 경제발전과정에서 인천의 역할에 대해 논의해볼 수 있었으며, 남북 분단에 따른 접경지역이 위치한 전통안보의 최전선이면서 동시에 경제안보와 관련한 주요 산업시설이 위치해있는 신흥안보의 최전선인 인천의 의미를 느껴볼 수 있었다. 2일차에 진행된 국제포럼에는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의 개회사와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의 축사(장제학 인천광역시 국제관계대사 대독)로 시작되었으며, 기조세션에는 캐슬린 스티븐스 미국 한미경제연구소 소장(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장, 前 주한 미국대사), 모한 쿠마르 인도 개발도상국연구원 원장, 고든 플레이크 호주 퍼스 미국·아시아센터 센터장 겸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 교수, 미하엘 라이터러 벨기에 브뤼셀 거버넌스 스쿨 안보외교전략센터 명예교수(前 주한 EU 대사) 등이 온라인 및 현장 참석하여 글로벌 대전환과 경제안보 시대의 한반도 평화와 국제협력에 대해 논의하였다.오후에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천연구원, 국립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이 모여 △ 미중전략경쟁 시대, 경제안보와 한반도 평화 △ 접경지역에서 초국가적 도시주권과 평화지대의 모색을 주제로 2개 세션을 진행했다. 이번 국제포럼에서는 한국, 미국, 중국, 일본,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의 전문가들이 모여 심도있는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새롭게 부상하는 경제안보 이슈와 남북 분단에서 기인하는 전통안보 이슈를 우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과 연계하여 논의할 수 중요한 모멘텀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 행사명: 2022 DMZ 국제포럼 (2022 DMZ International Forum) - 주 제: 글로벌 대전환과 경제안보 시대, 한반도 평화와 국제협력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ra of Great Transformation and Economic Security) - 일 시: 2022년 11월 3일(목) ~ 4일(금) - 장 소: 인천광역시 그랜드 하얏트 인천 외 - 주 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천광역시 - 주 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천연구원, 국립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 문 의: 세계지역연구센터 유인지 연구원 (E-mail: ijyoo@kiep.go.kr)작성자 기관담당자 작성일 2022/11/04 조회수 1,748
-
아시아 경제패널(AEP: Asian Economic Panel)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26일(수)~27일(목)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브람스홀에서 “아시아 경제패널(AEP: Asian Economic Panel)” 세미나를 개최했다. 아시아 경제패널은 본원과 미국 콜롬비아 대학의 지속 가능한 발전 센터(CSD: Cent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동아시아·아세안 경제연구센터(ERI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ASEAN and East Asia), 그리고 UN의 지속 가능한 발전 해법 네트워크(SDSN: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 경제연구 패널이다. 아시아의 주요 경제적 이슈를 논의하고 현안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네트워크 형성을 도우며, 이들의 연구성과를 Asian Economic Papers라는 저널로 발표하는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아시아 경제패널은 미국과 유럽, 아시아 각지의 학자들이 모여 매년 세 차례 국제세미나를 개최해왔는데,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 3년간 중단되었다가 지난 7월 핀란드 헬싱키에서의 세미나를 시작으로 재개되었으며, 금번 서울에서 2022년 2차 세미나가 개최되었다.이번 행사에서는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이수형 교수의 ‘통근시간이 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시작으로 총 12개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KIEP 안성배 실장을 비롯하여 UN SDSN의 아시아 지역 부원장인 Wing Thye Woo UC 데이비스 교수, ERIA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Fukunari Kimura 일본 게이오 대학 교수, 태국 탐마삿 대학의 Bhanupong Nidhiprabha 교수, 이근 서울대 교수, 신관호 고려대 교수, 박정수 서강대 교수 등 30여명의 국내외 저명한 경제학자들이 참석하여 기후변화 대응, 반도체 산업, 디지털 경제 등 아시아 경제 관련 다양한 이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했다.- 행사명: 아시아 경제패널(AEP: Asian Economic Panel)- 일 시: 2022년 10월 26일(수)~27일(목), 09:00~19:00- 장 소: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브람스홀- 주 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국제거시금융실 양다영 전문연구원(dyyang@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11/01 조회수 1,782
-
제15차 한-중앙아 협력 포럼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25일(화)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외교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제15차 한-중앙아 협력 포럼"을 개최했다.한-중앙아 협력포럼은 한-중앙아 관계 격상 및 경제, 문화, 교육 분야 등 포괄적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2007년 출범한 정례 다자협의체로서, 6개국 외교장관급 대표단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여 한-중앙아 간 협력 방향 논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 민관 공동 협력사업 발굴, 기존 사업 평가 등 실질적 다자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이다.금번 포럼에서는 중앙아 대표단, 외교부·산업부 등 부처 및 부산시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한-중앙아 협력 30년을 평가하고, 보건·디지털·관광·환경·경제안보 측면에서 중앙아 유망 비즈니스를 조망하는 등 한국과의 협력방안을 발굴하는 시간을 가졌다.곽성일 KIEP 경제안보실장이 사회를 맡아 진행된 ‘제5세션’은 경제안보를 주제로 한형민 KIEP 부연구위원, 정민현 KIEP 부연구위원, 샴시예프 나시르딘 키르기스탄 경제상업부 거시경제분석과장, 딜쇼드 샤리피 타지키스탄 경제개발통상부 대외경제협력과장, 아타잔 아타예프 투르크매니스탄 재정경제부 전략·지속가능개발국장이 참석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행사명: 제15차 한-중앙아 협력 포럼- 일 시: 2022.10.25(화) 10:00~18:00- 장 소: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주 최: 외교부- 주 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러시아유라시아팀 정민현 부연구위원(mjeong@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10/25 조회수 955
-
2022 KIEP 신흥지역연구 통합학술대회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21일(금) 오전 9시 여수 소노캄 호텔에서 “글로벌 대전환기 신흥국의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2022 KIEP 신흥지역연구 통합학술대회』(KAAS 2022: KIEP and Associations of Area Studies Conference 2022)를 개최했다.KIEP는 지역연구 성과를 확산시키고 국내·외 전문가 간 네트워크 확대를 도모하고자 2014년부터 매년 ‘신흥지역연구 통합학술대회’를 개최해오고 있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본 행사는 KIEP가 주관하고 국내 17개 지역연구학회가 참여하는 국내 유일의 지역연구 통합학술대회이다. 국내 최고의 세계지역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본 행사에서는 개막 세션과 지역학회 세션을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새롭게 재편될 세계질서와 글로벌 경제전망을 다루고, 신흥국의 경제위기 가능성과 이에 대한 한국 및 신흥국의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올해 행사는 신흥지역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연구자 간 네트워킹 확대에 기여하고자 작년 개최지인 부산에 이어 여수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지역학회 세션 이외에도 별도의 ‘개막 세션’과 ‘학문 후속세대 세션’이 진행되어 각 지역 주요 현안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정성춘 KIEP 부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코로나 팬데믹과 글로벌 경기 불안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정치·경제·사회 주요 분야에서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오늘 학술대회가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에 선 한국과 많은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토론의 장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전했다.이어 진행된 개막 세션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질서 재편 및 신흥국의 경제위기 가능성’을 주제로 강문성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장, 김영민 LG 경영연구원장, 박정호 KIEP 선임연구위원, 신정승 동서대 동아시아연구원장(前 주중대사)이 참여하여 논의를 진행했다. 이후 각 학회는 분과 세션을 통해 글로벌 대전환기 신흥국의 상황을 보건, 교육, 인권, 무역, 금융, 산업, 정치, 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하고 대응방안과 전망을 논의했다.분과 세션에서는 ‘미·중 경쟁 시대 신흥국의 대응’, ‘글로벌 전환기 국가별 경제·외교정책’, ‘반도체·에너지·환경 분야에서의 정책’에 대한 발표가 이뤄졌다. 한편, 이번 신흥지역연구 통합학술대회에서는 총 5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세션별 발표 영상은 행사 종료 후 KIEP Youtube 채널과 EMERiCs(신흥지역정보종합지식포털), AIF(아세안·인도·남아시아포럼), CSF(중국전문가포럼) 사이트에 게재될 예정이다.- 주 제: 글로벌 대전환기 신흥국의 도전과 과제- 일 시: 2022년 10월 21일(금) 09:00 ~ 18:00 - 장 소: 여수 소노캄 호텔-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세계지역연구센터 강반디 연구원(044-414-1076, bdkang@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10/21 조회수 2,840
-
2022 IEFS-EAER 공동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14일(금) 연세대학교 대우관에서 ‘2022 IEFS-EAER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6번째를 맞은 본 세미나는 KIEP EAER(East Asian Economic Review) 편집위원회, 한국 IEFS(Korea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s and Fiance Society)학회,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가 공동 주최기관으로 참여하여 “변화하는 세계 경제 상황 속의 불확실성”이란 주제로 국제금융 및 국제 무역에 관한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총 네 개의 세션으로 구성된 본 행사는 안성배 KIEP 박사와 김소영 서울대 교수의 개회사로 시작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Charles Engel 미 위스콘신대학교 교수는 “Collateral Advantage: Exchange Rates, Capital Flows, and Global Cycles”를 주제로, Daniel Trefler 캐나다 토론토대학 교수는 “AI, Trade and Creative Destruction: A First Look”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행사명: 2022 IEFS KIEP-EAER 공동세미나- 주 제: Uncertainty under A Changing Global Economic Landscape (변화하는 세계 경제 상황 속의 불확실성)- 일 시: 2022년 10월 14일(금), 09:40~17:00- 장 소: 연세대학교 대우관 송하경홀(323호)/415호-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 IEFS 학회,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담당자: EAER 편집위원회 이정은 전문원(eaer@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10/17 조회수 1,875
-
KIEP-PCNS 공동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한-모로코 수교 60주년을 맞아 2022년 9월 23일(금) 오전 10시 30분(현지 시간) 모로코 라바트에서 Policy Center for the New South(이하 PCNS)와 “아프리카-아시아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한-모로코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행사에는 김흥종 KIEP 원장이 참석했으며 Larabi Jaidi 선임연구위원, Mohamed Loulichki 선임연구위원, Mounia Boucetta 선임연구위원 등 PCNS 측 인사와 이영선 전 한림대 총장, 박현도 서강대 교수 등 국내 중동 및 경제 전문가들이 참석해 한국과 모로코를 둘러싼 외교 환경에 대해 조명하고 한-모로코 협력 확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코로나19, 공급망 붕괴와 같은 글로벌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북아프리카 식량안보 문제가 더욱 심화되었다”고 전했다. 김흥종 원장은 “에너지와 식료품을 중심으로 인플레이션이 대두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그린 성장과 디지털 전환이 더욱 부각되고 있어 한-모로코 간 새로운 협력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행사 취지를 설명했다.Abdelaziz Ait Ali PCNS 실장이 좌장을 맡은 세션 1은 “한-모로코 경제협력 현황과 협력 확대를 위한 제안”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이영선 전 한림대 총장, Larabi Jaidi PCNS 선임연구위원, El Mostafa Rezrazi PCNS 선임연구위원, 정재욱 서강대 교수, 강문수 KIEP 아프리카중동팀장이 발표 및 토론으로 참여했다. 세션 1에서는 한-모로코 경협에 대한 고찰과 북아프리카 식량안보 위기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통해 한-모로코 간 협력 확대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Mehdi Benomar PCNS 실장이 좌장을 맡은 세션 2는 “국제관계의 변화와 아시아·아프리카 통합의 역동성”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Mohamed Loulichki PCNS 선임연구위원, Mounia Boucetta PCNS 선임연구위원, 박현도 서강대 교수, 한새롬 숙명여대 교수, 이권형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이 발표 및 토론으로 참여했다. 특히 세션 2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중동 및 북아프리카 내 외교 지형 변화와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통해 글로벌 대전환 시기 한-모로코 간 협력 방향성에 대해 조명했다.- 일 시: 2022.9.23.(금) 10:30(모로코 현지 시간)- 장 소: 모로코 라바트 소재 PCNS 대회의실- 주 최: KIEP, Policy Center for the New South(PCNS)- 문 의: 아프리카중동팀 강문수 팀장(kangms@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9/23 조회수 1,948
-
KIEP-ITES 공동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9월 21일(수) 튀니지 전략연구소(Institut Tunisien des Etudes Strategiques, 이하 ITES)에서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MENA Region and the Economic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North African Countries”를 주제로 ‘한-튀니지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행사에는 김흥종 KIEP 원장과 선남국 주튀니지 대사가 참석했으며 ITES의 Sami Ben Janet 소장, Hatem Atallah 전 대사, Mohamed Hsairi 전 대사, Adel Smaoui 전 대사, Mohamed Lessir 전 대사, Mhamed Chleifa 전 대사 등 튀니지 측 인사와 이영선 전 한림대 총장, 박현도 서강대 교수 등 국내 중동 경제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본 행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역내 정세변화 논의와 한-튀니지 협력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개최되었다.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국과 튀니지가 교역, 투자뿐만 아니라 과학기술, 전자정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튀니지 내 불거지는 식량 및 에너지 인플레이션 문제에 대한 한-튀니지 간 공동 대응을 통해 글로벌 복합적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발표자로 나선 정재욱 서강대 교수, 한새롬 더럼대학교 연구원, 그리고 강문수 KIEP 아프리카중동팀장은 각각 한-튀니지 경협 확대를 위한 제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북아프리카 내 정세변화와 협력 방향, 그리고 튀니지 식량안보 위기와 협력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ITES 측에서는 Hatem Atallah 전 대사 등 전임 대사와 Maher Gassab 이코노미스트, Noureddine Agrebi 농업 전문가 등 ITES 관계자들이 토론을 통해 북아프리카의 거점국으로서 유럽과 아프리카를 잇는 튀니지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한-튀니지 협력 방향성에 대해 언급했다.- 일 시: 2021년 9월 21일(수), 10:00(튀니지 현지 시간)- 장 소: 튀니지 소재 ITES 회의실-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튀니지 전략연구소- 담당자: 아프리카중동팀 강문수 부연구위원(kangms@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9/21 조회수 1,067
-
KIEP-ACPSS 공동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9월 19일(월) 이집트 알 아흐람 정치전략연구소(Al-Ahram Center for Political and Strategic Studies, 이하 ACPSS)에서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MENA Region and the Economic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North African Countries”를 주제로 ‘한-이집트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행사에는 김흥종 KIEP 원장과 홍진욱 주이집트 대사가 참석했으며 Mohamed Fayez Farhat ACPSS 소장, Ayman Abdel Wahab 부소장, Ahmed Kandil 에너지연구 프로그램 부장 등 이집트 측 인사와 이영선 전 한림대 총장, 박현도 서강대 교수, 정재욱 서강대 교수 등 국내 중동 경제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본 행사는 한국과 이집트를 둘러싼 외교 환경의 변화와 한-이집트 간 경협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개최되었다.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이집트 협력이 지속해서 증가해 왔으며 이집트와의 경협 확대를 위해 우리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인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라 이집트에서도 식량 및 에너지 안보 문제가 불거지고 있어 글로벌 경제 안보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이집트의 공동 대응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발표자로 나선 정재욱 서강대 교수, 박현도 서강대 교수, 그리고 강문수 KIEP 아프리카중동팀장은 각각 한-이집트 FTA 효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역내 외교관계의 변화와 시사점, 그리고 이집트 식량안보 위기와 한-이집트 협력 방안에 대해 발표했으며 이어서 ACPSS의 Ahmed Kandil 부장, Dina Shehata 선임연구위원, Rabha Allam 선임연구위원이 이집트를 둘러싼 역내 정세 및 경제 환경의 변화와 시사점에 관한 토론을 진행했다. 특히 ACPSS 측 토론자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동 에너지 시장 및 분쟁 동향 공유를 통해 역내 안보 상황 변화에 대해 전망하였다.- 일 시: 2021년 9월 19일(월), 10:30(이집트 현지 시간)- 장 소: 이집트 소재 ACPSS 회의실-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알 아흐람 정치전략연구소- 담당자: 아프리카중동팀 강문수 부연구위원(kangms@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2/09/19 조회수 1,048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