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133/287
-
징진지(京津冀) 지역 LED 산업 현황과 시사점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가 중요한 의제로 부각되고,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녹색산업이 새로운 성장모델로 떠오르면서 세계 각국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에너지 절약적이고 환경친화..
김부용 발간일 2011.09.27
경제협력, 산업정책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의 방법 및 내용
가. 연구의 방법
나. 연구의 내용제2장 중국 LED 산업 현황
1. 중국 녹색산업 육성 배경과 LED 산업
가. 중국 녹색산업 육성 배경
나. LED 산업
2. 중국 LED 산업 육성정책
3. 중국 LED 시장 현황
가. 산업규모와 시장규모
나. 가치사슬별 시장 현황
4. 중국 LED 산업 수입 동향
5. 세계에서의 위상 및 글로벌 경쟁 동향제3장 징진지(京津冀) 지역 LED 산업 현황 및 타 지역과의 비교
1. 중국 LED 산업의 지역 분포 및 특징
가. 북부지역과 징진지
나. 주장삼각주
다. 창장삼각주
라. 장시/푸젠
2. 징진지 지역 LED 산업 육성정책 및 타 지역과의 비교
가. 징진지
나. 기타 지역
3. 지역 경쟁 동향
4. 징진지 지역 LED 산업 응용 현황
5. 징진지 지역 LED 산업 수입 동향
가. 수입 동향
나. 한국의 징진지 수입시장 활용도제4장 한국기업의 징진지(京津冀) 지역 LED 시장 진출사례
1. 톈진○○전자유한회사(天津○○電子有限公司): LED 가로등
2. ○○반도체(톈진)유한회사(○○半導體(天津)有限公司): LED 디스플레이 및 조명
3. 톈진○○LED유한회사(天津○○LED有限公司): LED 패키징 및 모듈
4. 베이징○○자동차등유한회사(北京○○車燈有限公司): LED 자동차등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및 전망
2. 시사점
가. 한국정부에 주는 시사점
나. 한국기업에 주는 시사점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가 중요한 의제로 부각되고,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녹색산업이 새로운 성장모델로 떠오르면서 세계 각국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에너지 절약적이고 환경친화적이며 고효율, 장수명, 다양한 색채 구현 등의 장점을 가진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가 저탄소 녹색성장에 부합하는 미래의 빛으로 세계 각국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중국은 2003년 ‘국가반도체조명공정(國家半導體照明工程)’의 가동을 시작으로 LED 산업을 적극 육성하여 왔으며, 2009년 초 21개 반도체조명 응용시범도시에 LED 조명 제품을 보급하는 ‘십성만잔(十城萬盞)’ 프로젝트를 시행하면서 본격적으로 LED 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정부의 육성책에 힘입어 중국 LED 산업 생산액은 연평균 15%대 성장을 지속해 왔으며, 시장규모도 연평균 12%대로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이 LED 산업을 미래의 전략적 신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으므로 중국과 경쟁 및 협력 관계에 있는 한국은 중국의 LED 산업 동향 및 육성정책 등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중국의 LED 산업은 지역별로 발전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지역과의 협력 혹은 진출 시 지역별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중국 LED 산업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국가적인 차원의 발전 전략과 현황을 소개하는 수준에 그쳤고 지역별로 접근한 문헌은 국내외적으로 거의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중국 LED 산업에 대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징진지(京津冀)라는 특정 지역의 LED 산업을 문헌조사, 통계분석, 사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기타 지역과의 비교분석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본토 LED 산업의 시초가 되는 징진지는 웨이퍼와 칩 등의 R&D에서는 앞서 있지만 연구성과의 산업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패키징이나 응용에 종사하는 업체도 적다. 전반적으로 보아 남부지역에 비해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해 LED 산업 생산액이 중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으나, 응용제품 사용량에서는 여타 지역보다 많다. 또한 외국업체들이 진출하면서 LED 산업이 발전한 남부지역에 비해 외국업체의 진출이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징진지는 이미 거의 포화상태에 이른 주장(珠江) 삼각주나 창장(長江) 삼각주에 비해 이점이 있으며, 이는 한국 LED 업체들에 시장선점의 기회를 가져다 준다.
둘째, 생산재 내수시장 진출과 관련하여, 톈진(天津) 시를 제외한 베이징(北京) 시와 허베이(河北) 성의 수입시장 활용도는 매우 낮으므로 이 두 지역에 대한 생산재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생산 현지화를 선행하는 방법 또는 마케팅 방안을 강구한 수출 확대를 고려할 수 있다.
셋째, 응용분야에서 향후 최대 응용시장은 백라이트 시장이 될 전망인바, 이는 한국의 전자 및 반도체 업체들에 장차 큰 기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특히 IT와 전자가 주업종인 톈진 시를 중심으로 LED TV에서 한국의 우위를 충분히 활용하여야 한다. 자동차용 LED 조명 분야에서는 베이징현대자동차, 베이징자동차 등 유수의 자동차회사가 베이징에 위치해 있는 것이 큰 우위가 될 것이다. LED 조명과 관련하여서는 톈진, 바오딩(保定), 스자좡(石家庄) 등 LED 조명 응용시범도시에 우선적으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현지 기업과의 협력과 관련하여서는 징진지가 강점을 갖고 있는 디스플레이 분야가 유력하고, 웨이퍼나 백라이트 분야도 고려해볼 만하다.
다섯째, 징진지 LED 내수시장 진출 초기단계에서는 LED 가로등 설치 등 정부 주도의 사업에 제품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제품 및 회사의 지명도를 높이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
지역단위 무역피해 지원제도의 주요국 운영사례 분석 및 시사점
개방의 피해는 기업과 근로자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 무역개방으로 인한 피해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은바, 해당 산업 및 근로자뿐만 아니라 그 산업과 근로자에 의존한 지역경제의 구조조정을 야기하며, 고용 감소 등으로 인해 세수입이..
김정곤 외 발간일 2011.09.09
경제개방,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의의
2. 연구 목적과 구성
3. 선행연구와 본 보고서의 차별성제2장 EU
1. 개관
2. 유럽구조기금
가. 운영 구조
나. 지원 대상
다. 지원 내용
라. 운영 사례와 성과
3. 평가제3장 캐나다
1. 개관
2. 침엽수산업 및 공동체 경제조정계획(SICEAI)
가. 운영 구조
나. 지원 대상
다. 지원 내용
라. 운영 성과와 사례
3. 평가
가. 지원의 적절성
나.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
다. 종합제4장 미국
1. 개관
2. 공동체 구조조정 및 투자 프로그램(CAIP)
가. 운영 구조
나. 지원 대상
다. 지원 내용
라. 운영 성과와 사례
마. 평가
3. 공동체 TAA
가. 운영 구조
나. 지원 대상
다. 지원 내용
라. 운영 성과와 사례
마. 평가제5장 정책적 시사점
1. 제도의 유용성
2. 제도 운영의 목표
3. 지역공동체의 역할
4. 중앙과 지역의 협력
5. 기타
가. 책임 부처의 단순화
나. 사후 관리 및 투명성
다. 지원 기간과 시점의 적절성
라. 적절한 지원 대상 선정기준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개방의 피해는 기업과 근로자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 무역개방으로 인한 피해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은바, 해당 산업 및 근로자뿐만 아니라 그 산업과 근로자에 의존한 지역경제의 구조조정을 야기하며, 고용 감소 등으로 인해 세수입이 감소되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을 악화시킬 수 있다.
농어업 분야에 대한 FTA 피해 지원제도를 제외하면, 우리나라에서는 무역피해에 특정된 지역단위 지원제도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한․EU FTA가 발효되고, 한․미 FTA 역시 비준을 앞둔 현시점에서 농업 분야 이외에 제조업, 서비스업 등 전산업을 아우르는 보편적인 무역피해 지역단위 지원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 연구는 EU의 유럽구조기금(European Structural Fund) 및 캐나다의 침엽수산업과 공동체의 경제조정계획(SICEAI: Softwood Industry and Community Economic Adjustment Initiative), 그리고 미국의 공동체 구조조정 및 투자 프로그램(CAIP: Community Adjustment and Investment Program)과 2009년 도입된 공동체 TAA(Community Trade Adjustment Assistance)와 같은 해외의 지역단위 무역피해 지원제도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유사 제도의 필요성과 이를 도입할 경우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무역피해에 대한 지역단위 지원제도의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즉, 지역단위 무역피해 지원제도는 1) 적절히 운영될 경우 지역경제의 새로운 발전 동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며, 단기적인 피해보상 중심의 무역피해 지원제도 및 여타 지역발전정책을 보완할 수 있고, 2) 장기적인 지역경제 구조개선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지역공동체의 자발성에 기초할 때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4) 중앙정부와 지역 간의 적절한 역할 분담 및 협력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또한 5) 운영 시 책임 부처의 단순화 또는 중앙 부처 간의 효과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6) 투명한 제도 운영과 적절한 사후 관리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7) 정해진 기간 동안 시의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하고, 8)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지원대상 선정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
The List of Publications in English 1990-2011
이 목록집은 연구원 개원 이후 현재까지 발간된 영문발간물 목록집입니다(초록 수록).
KIEP 발간일 2011.09.01
경제발전, 경제전망 -
Empirical Tests of Comparative Advantage: Factor Proportions, Technology, and Ge..
본 논문은 헥셔 ‒ 오린모형, 리카도모형, 중력모형 등 국제비교우위를 설명하는 기존의 무역모형을 통합하는 회귀방정식을 도출하고, 어느 무역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GTAP 데이터와 세계은행, UN의 거시..
최낙균 발간일 2011.08.29
무역구조,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I. Introduction
II. Basic Model and Database
1. Basic Model
2. Estimation Equation and DatabaseIII. Estimation Results
1. Estimation for the Pooled Data
2. Estimation by Regional Groups
3. Estimation by Sectoral Groups
4. Relative Strength of Competing ModelsIV.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본 논문은 헥셔 ‒ 오린모형, 리카도모형, 중력모형 등 국제비교우위를 설명하는 기존의 무역모형을 통합하는 회귀방정식을 도출하고, 어느 무역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GTAP 데이터와 세계은행, UN의 거시 ∙ 무역 데이터를 통합한 분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세 가지 무역모형 중에서 헥셔 ‒ 오린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중력모형과 리카도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유의한 결과에서 부존자원 및 기술격차의 부호가 모형의 예측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거리, 국경, 언어, 식민지, FTA 등 중력모형의 변수들이 무역의 흐름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모형의 설명력은 산업 및 지역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본 요소의 파라메터 추정 부호는 자원집약적 부문의 경우 예상과 다르게 마이너스 부호를 가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기술격차도 산업별 분석에서는 예상과 다르게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선진국, 유럽 국가, 중미 국가 에서 식민지 더미변수의 부호도 예상과 다르게 나타났다. -
-
-
2010 Annual Report
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
KIEP 발간일 2011.06.30
경제발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여한 바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원의 한 해 활동을 대외에 알릴 뿐만 아니라, 나아가 2010년 우리나라와 세계경제의 동향과 이슈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보고서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
2010 연차보고서
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1.06.30
경제발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여한 바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원의 한 해 활동을 대외에 알릴 뿐만 아니라, 나아가 2010년 우리나라와 세계경제의 동향과 이슈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보고서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
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KIEP 발간일 2011.06.23
경제발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Policy Analysis/Conference Proceedings/Studies in Comprehensive Regional Strategies/Regional Study Series/Trade and Investment Study Series/Policy References/Working Papers/CNAEC Research Series/SNU-KIEP EU Centre Research Series국문요약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
원문보기목차
연구보고서/세미나자료모음/전략지역심층연구/지역연구시리즈/무역투자연구시리즈/연구자료/Working Paper/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동북아연구시리즈/SNU-KIEP EU Centre Research Series
국문요약2010 연구보고서 요약집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