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198/287
-
베트남 자본시장 현황 및 발전방향
본 연구는 베트남 자본시장의 현황 및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지속적인 금융 협력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생략)
양두용 외 발간일 2002.12.30
자본시장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베트남 경제 현황 및 경제 구조
제3장 베트남 자본시장 현황
제4장 베트남 자본시장 발전 전망 및 개혁 방향
제5장 한 · 베트남 경제 협력 차원에서의 금융 협력 방안
부록 I 베트남의 공기업 주식화 과정국문요약본 연구는 베트남 자본시장의 현황 및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지속적인 금융 협력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생략) -
일본 수입촉진정책의 주요 내용 및 평가
일본의 수입증가 추세는 대내외적 요인에 의해 지속됨에 따라 일본의 무역수지흑자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내적 요인은 엔고와 장기불황, 기업간의 경쟁 격화 등이며, 대외적 요인은 장기불황에 따른 소비자의 저가 수입품 선호 경향, 일본 기..
김은지 발간일 2002.12.30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및 구성
제2장 일본 수입시장 구조의 변화
1. 수출입 추이와 수입구조
2. 수입구조의 특징
제3장 수입촉진정책의 추진 배경과 활용 실태
1. 배경 및 전개 과정
2. 수입촉진정책의 체계
3. 일본기업의 수입촉진정책 활용 실태
제4장 일본 수입촉진정책의 주요 내용
1. 세제 및 정책금융 지원
2. 수입촉진지역(FAZ) 정비
3. JETRO의 수입촉진사업
4. 시장개방고충처리체계(OTO)
5. 제품수입촉진협회(MIPRO)
제5장 수입촉진정책의 평가 및 활용방안
1. 수입촉진정책의 요약 및 평가
2. 한국기업의 활용방안
참고문헌국문요약일본의 수입증가 추세는 대내외적 요인에 의해 지속됨에 따라 일본의 무역수지흑자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내적 요인은 엔고와 장기불황, 기업간의 경쟁 격화 등이며, 대외적 요인은 장기불황에 따른 소비자의 저가 수입품 선호 경향, 일본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증가에 따른 역수입의 증가, 제조업의 가격경쟁 격화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본에서 수입의 필요성이 확대되는 한편, 일본 기업은 동아시아와의 상호의존관계가 심화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일본의 장기불황은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 일본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생략) -
1990년대 일본 해외직접투자의 패턴 변화와 한국의 대응
1990년대의 일본 해외직접투자는 그 이전 시기와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전체적으로 보면 1990년대 초의 버블 붕괴 이후로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본의 직접투자는 버블 붕괴 직후인 1990년대 초반과 아..
정훈 발간일 2002.12.30
해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일본 해외직접투자의 연대별 추이
1. 1950∼60년대의 추이
2. 1970년대의 추이
3. 1980년대의 추이
4. 1990년대의 추이
5. 최근의 동향(2000년 이후)
제3장 1990년대 일본 해외직접투자의 패턴 변화
1. 지역·국가별 패턴의 변화
2. 업종별 패턴의 변화
제4장 1990년대 일본 해외직접투자의 특징
1. 對중국 투자의 증가
2. 非製造業 투자의 亂調
3. M&A형 투자의 증가
제5장 일본의 對韓 직접투자 활성화를 위한 한국의 과제
1. 세계 외국인직접투자의 최근 동향
2. 한국 외국인직접투자의 현황
3. 제도 면에서의 과제
4. 투자환경 면에서의 과제
제6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1990년대의 일본 해외직접투자는 그 이전 시기와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전체적으로 보면 1990년대 초의 버블 붕괴 이후로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본의 직접투자는 버블 붕괴 직후인 1990년대 초반과 아시아 금융위기 및 국내 금융불안이 겹친 1990년대 후반에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몇 년간 세계의 해외직접투자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가 이와 같이 큰 기복을 보인 것은 세계 경제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그들의 역량이 그만큼 취약해졌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980년대와는 달리 1990년대에 들어 일본기업들은 해외직접투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고 할 수 있는 바, 이러한 패턴은 일본경제가 조만간 본격적으로 회복되지 않는 한 쉽게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생략) -
쿠바의 경제개혁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쿠바사례는 미국의 경제제재 상황에서도 적극적인 내부 경제개혁을 통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전통적 리더쉽에 의해 개혁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북한에 상당한 시사를 주고 있다. 1993년부터 시작된 쿠바의 경제개혁에서 달러사용의 합법화, 국영..
김연철 발간일 2002.12.30
환경정책원문보기목차Ⅰ. 서론: 북한 경제개혁 모델의 필요성
Ⅱ. 중국 모델의 적용 가능성과 쿠바사례의 의미
1. 사회주의 경제개혁의 유형
2. 중국식 모델이 적합하지 않은 이유
3. 북한의 경제개혁 논의에서 쿠바사례의 의미
Ⅲ. 1990년대 쿠바의 경제개혁
1. 쿠바: 종속적 발전국가의 경제위기
2. 전통적 대응방식의 실패: 교정정책의 결과
3. 경제개혁으로의 전환
4. 경제개혁의 결과에 대한 평가
5. 쿠바체제의 변화 전망
Ⅳ. 북한에 주는 시사점
1. 미국의 경제제재와 대체시장 모색
2. 지속적인 경제 개혁개방의 확대
V. 북한의 개혁개방에서 남한의 역할
<별첨> 쿠바의 경제 개혁 모델
참고문헌국문요약쿠바사례는 미국의 경제제재 상황에서도 적극적인 내부 경제개혁을 통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전통적 리더쉽에 의해 개혁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북한에 상당한 시사를 주고 있다. 1993년부터 시작된 쿠바의 경제개혁에서 달러사용의 합법화, 국영농장 개편, 소득세 개념의 도입, 그리고 자영업 활성화 조치가 주목된다. 북한이 쿠바사례에서 얻어야할 교훈은 미국의 경제제재 상황에서 적극적인 대체시장을 모색해야 하며, 개방시도가 내부적인 경제정책의 변화와 병행 추진되어야 하며, 경제개혁만이 진정한 경제회복의 지름길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북한 경제정책 변화를 계기로 남북한의 공존 공영과 한반도 경제권에 대한 전략적 준비를 시작해야 된다. -
중국 장강삼각주 권역의 투자환경
한국의 대중투자가 생산비 절감형에서 내수시장 진출형으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행해졌던 중국의 투자환경 분석도 이러한 변화에 부응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국토의 광대함과 지역적 경제격차가 뚜렷한 중국을 하나의 경제주체..
오동윤 외 발간일 2002.12.30
해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투자환경의 구성요소
1. 이론적 고찰
2. 투자환경의 구성요소
제3장 상해(上海)
1. 개황
2. 기본환경
3. 개방환경
4. 생산환경
5. 시장환경
제4장 강소성(江蘇省)
1. 개황
2. 기본환경
3. 개방환경
4. 생산환경
5. 시장환경
제5장 절강성(浙江省)
1. 개황
2. 기본환경
3. 개방환경
4. 생산환경
5. 시장환경
제6장 결론국문요약한국의 대중투자가 생산비 절감형에서 내수시장 진출형으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행해졌던 중국의 투자환경 분석도 이러한 변화에 부응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국토의 광대함과 지역적 경제격차가 뚜렷한 중국을 하나의 경제주체로 놓고 분석한다는 것은 시장진출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향후 내수시장 진출형 투자의 핵심 지역으로 떠오를 전망인 장강삼각주 지역에 대한 투자환경을 조사하였다. (생략) -
Debt Resolution, Cross-Border M&As, Governance and Control in Korea’s Post-Cris..
1997년의 한국의 금융위기는 한국경제가 안고 있는 구조적 취약점을 노출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금융위기의 원인에 대해 다양한 의견과 주장이 교차하며 많은 논쟁이 있었으나, 정확히 무엇이 그러한 위기를 촉발시켰는지는 의견의 분분하다. 그..
손찬현 발간일 2002.12.30
기업경영원문보기목차I. Introduction
II. Financial Crisis and Corporate Sector Reform
1. Underlining Weakness of the Corporate Sector
2. General Framework of Corporate Sector Reforms
III. Corporate Debt Resolution
1. Korea Asset Management Corporation
2. Other Debt Restructuring Intermediaries
IV. Roles of Foreign Capital
1. Cross-Border M&As
2. Privatization
V. Governance Reform and Changes in Control
1. Towards a New Governance
2. Changes in Control
VI. Assessment and Conclusion
References국문요약1997년의 한국의 금융위기는 한국경제가 안고 있는 구조적 취약점을 노출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금융위기의 원인에 대해 다양한 의견과 주장이 교차하며 많은 논쟁이 있었으나, 정확히 무엇이 그러한 위기를 촉발시켰는지는 의견의 분분하다. 그렇지만 금융위기에 따라 한국경제가 처한 상황에서 기업구조조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생략) -
How FTAs Affect Income Levels of Member Countries: Converge or Diverge?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게 되면 FTA 회원국간의 경제수준격차가 수렴하는지 확대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비록 유사한 연구들과 수렴의 개념에 대한 연구들이 산재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해답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
손찬현 발간일 2002.12.30
다자간협상,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1. Economic Convergence
2. b-Convergence
3. New Measure of Convergence
III. Analysis on Economic Convergence
1. Model for Regression Analysis
2. The Data
3. Results
IV. Conclusion국문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게 되면 FTA 회원국간의 경제수준격차가 수렴하는지 확대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비록 유사한 연구들과 수렴의 개념에 대한 연구들이 산재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해답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직관적으로 수렴의 가능성에 보다 편향되고 있는 상황이다.본 연구는 기존 문헌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렴현상과 구분하여 FTA 체결에 따른 효과만을 구분하여 "가속적 수렴"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면서 정확한 예측을 도모하고 있다. (생략) -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화 전략의 기본방향
동북아지역에서도 무역 및 투자 증진과 같은 실질적인 경제통합이 진전되고 있으며, 중국의 WTO 가입으로 동북아 비즈니스권의 형성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또한 풍부한 인적자원과 거대한 잠재시장을 바탕으로 세계의 공장 및 경제대국으로 빠..
이창재 발간일 2002.12.30
경제개방,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Ⅰ. 서 론
Ⅱ. 비즈니스 거점의 유형분석
1. 배경 및 동기
2. 추진상황 및 성과
3. 종합적 평가
Ⅲ. 동북아 주요 비즈니스 거점간 여건분석
1. 업무환경
2. 생활환경
3. 지역본부의 활용
Ⅳ. 한국형 비즈니스 거점의 유형선택 및 추진과제
1. 유형선택
2. 우선과제
3. 추진전략국문요약동북아지역에서도 무역 및 투자 증진과 같은 실질적인 경제통합이 진전되고 있으며, 중국의 WTO 가입으로 동북아 비즈니스권의 형성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또한 풍부한 인적자원과 거대한 잠재시장을 바탕으로 세계의 공장 및 경제대국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중국은 우리 경제에 커다란 위협요인이자 기회요인으로 다가오고 있다. 한편 한국경제가 선진경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국민 상당수가 인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한국경제가 지향해야 할 구체적인 방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는 형성되지 못한 상태이다. (생략) -
DDA 무역과 개발 분야의 논의동향과 대응방안
(약 400자) 본 보고서는 도하라운드에서 관심대상분야로 새로이 부각된 무역과 개발분야의 다자간 논의동향을 분석하여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하라운드에서 논의가 개도국 특별우대조치에 집중되고 있기..
남상열 외 발간일 2002.12.30
다자간협상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1. 개요
제2장 다자간 협상에서 무역과 개발문제의 논의 경과
1. 개도국들의 세계무역에의 참여
2. 개도국과 다자무역규범- DDA 이전의 논의
3. 개도국과 다자무역규범- DDA에서의 논의
제3장 개도국우대 관련 다자간 무역규범
1. 개요
2. SDT 조항 개관
3. WTO 협정 및 결정별 SDT 조항과 제안
제4장 개발원조문제의 논의동향
1. 개발협력정책의 주요방향
2. 주요쟁점 및 협력이슈
3. 최빈개도국 지원문제
제5장 향후 전망 및 한국의 대응
1. 향후 전망
2. 한국에 미칠 영향
3. 대응방안국문요약(약 400자) 본 보고서는 도하라운드에서 관심대상분야로 새로이 부각된 무역과 개발분야의 다자간 논의동향을 분석하여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하라운드에서 논의가 개도국 특별우대조치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다자간 무역규범에서의 무역과 개발문제를 중심으로 회원국들의 제안내용 및 한국의 입장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다자무역체제의 안정과 세계경제의 동반성장을 위해 실천적인 조치로서 요구되는 개발원조문제에 대해 논의동향 및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WTO 사무국이 작성한 WTO 협정 및 결정별 개도국 특별우대조항들의 분석 및 활용에 관한 문건과 2002년중 무역과 개발위원회의 특별회의에 제출되어 논의된 20개 제안서의 주요내용을 참고자료로 정리하였다. 이들을 바탕으로 향후 논의의 전망과 함께 주요 쟁점별로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생략) -
한국 기업의 對중국 권역별 진출과 전략
중국은 그 경제적 발전 수준에 따라 동북, 북부연해, 동부연해, 남부연해, 장강중류, 황하중류, 서남, 서북 등 8개의 권역(圈域)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2001년을 기준으로 각 권역의 투자환경을 검토한 결과 우선 그 동안 발전이 집중된 연해 3..
지만수 발간일 2002.12.30
기업경영, 해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중국의 주요 권역과 투자환경
1. 중국의 주요 권역
2. 8대 권역의 투자 환경
3. 권역별 투자환경 종합
제3장 한국 기업 대중투자의 특징과 변화
1. 대중투자의 성장과 부침
2. 대중투자의 특징과 변화
3. 대중투자의 권역별 분포와 변화
제4장 지역별 투자 결정요인 분석
1. 가설: 시장 vs. 비용
2. 자료와 방법
3. 결정요인 변화와 그 의미
4. 소결
제5장 결론 : 요약과 대응전략
1. 요약
2. 대응 전략국문요약중국은 그 경제적 발전 수준에 따라 동북, 북부연해, 동부연해, 남부연해, 장강중류, 황하중류, 서남, 서북 등 8개의 권역(圈域)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2001년을 기준으로 각 권역의 투자환경을 검토한 결과 우선 그 동안 발전이 집중된 연해 3개 권역 중에서 상해, 절강, 강소 등을 포함하는 동부연해지역이 종합적 투자환경 면에서 가장 앞서 있었다. 그 동안 가장 많은 외국인 투자가 이루어진 남부연해지역은 개방환경 면에서 앞서 있었고 한국 기업의 투자가 가장 활발한 산동과 천진을 포함하고 있는 북부연해지역은 시장의 규모가 크고 도소매업 등 소비 인프라 면에서 우수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 밖의 지역 중에서는 호남, 호북, 안휘, 강서 등을 포함하는 장강중류지역이 시장잠재력, 생산환경, 인프라 등 면에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앞으로 내륙 지역의 노동집약적 산업 육성이 본격화되면 유력한 투자 후보 지역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연해 3개 권역과 장강중류지역을 제외한 여타 지역은 투자 대상지로서의 매력은 뒤떨어진다. 1992년 이후 중국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의 특징과 변화를 살펴보면, 한국기업의 대중투자는 업종 면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높고, 투자주체 면에서 중소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투자규모가 작고, 지역적으로 천진, 산동, 요녕 등 일부 지역으로 과도하게 집중되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생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