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196/287

  • 중국경제연보 2003
    중국경제연보 2003

    중국의 개혁개방은 떵샤오핑(鄧小平)의 등장이래 중국 공산당의 주도 아래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정치 및 정부의 정책 기조가 경제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국유기업의 사유화 문제 등 가일층의 개혁의 심도와 속도는 국내 정치 ..

    지만수 외 발간일 2003.04.20

    원문보기
    목차
    개 관 (지만수)

    제1부 최근 정치 동향
    1장 국내 정치 (황병무)
    2장 대외 관계 (박두복)

    제2부 국내 경제
    3장 거시경제동향 (김은경)
    4장 경제정책의 기조 변화 (왕윤종)
    5장 금융체제 및 금융개혁 (양두용)
    6장 예산 조세제도 운용 및 개혁 (한상국)
    7장 기업 개혁 (이 근)
    8장 노동시장과 실업 문제 (김시중)

    제3부 대외 경제와 개방
    9장 대외무역와 외국인직접투자 (남상렬/이성봉)
    10장 무역수지와 환율 (강삼모)
    11장 통상정책 및 대외경제협력 (정인교)
    12장 WTO 가입과 법제도 변화 (박노형)

    제4부 산업 동향
    13장 산업정책 및 산업구조 현황 (박승록)
    14장 IT산업 (지만수)
    15장 섬유 및 가전산업 (박월라, 최의현)
    16장 조선 및 철강산업 (오동윤)
    17장 승용차산업(조현준)
    18장 유통산업 (조현준)
    19장 에너지 수급 동향 및 전망 (이장규)

    제5부 권역 경제
    20장 권역별 경제현황 및 전망 (정영록)
    21장 장감삼각주 지역의 경제성장 동향 (오동윤, 임홍수)
    22장 주강삼각주 지역의 경제성장 동향 (중국학자)
    23장 중관촌 지역의 경제성장 동향 (지만수)

    제6부 한중 교류
    24장 한중 경제교류 추세와 특징 (오동윤)
    25장 한중 산업협력 현황과 전망 (신태용)
    26장 한류와 대중 문화산업 진출 (임홍수)

    <부록> 중국경제통계 ( 정다송씨 )
    국문요약
    중국의 개혁개방은 떵샤오핑(鄧小平)의 등장이래 중국 공산당의 주도 아래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정치 및 정부의 정책 기조가 경제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국유기업의 사유화 문제 등 가일층의 개혁의 심도와 속도는 국내 정치 역관계와 정치적 변수들에 의해 결정된다. 최근 구성된 이른바 4세대 지도부는 구성인원의 연령이나 경력을 고려할 때 "안정 기조위의 점진적 개혁, 발전"을 추구할 것이다. 즉 덩샤오핑과 장쩌민(江澤民)의 개혁개방 노선을 충실히 답습하면서 이른바 "3개 대표" 사상으로 요약되는 새로운 변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략)
  • International Capital Flows and Business Cycles in the Asia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and Business Cycles in the Asia Pacific Region

    1990년대 초반부터 동아시아 국가들은 지속적으로 금융시장의 개방과 자본계정의 자유화를 추진해 왔다. 무역자유화를 통한 시장통합과 함께 자유로운 국제금융거래의 증가는 금융시장의 통합을 가져왔다. 그 결과 각국의 경제는 개방경제로 이행하..

    왕윤종 외 발간일 2003.03.25

    금융자유화, 금융통합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Overview
    1. Financial Integration and Business Cycles
    2. Trade Integration and Business Cycles

    III. Trends and Stylized Facts of Business Cycles
    1. Volatility of Business Cycles
    2. Co-movements of Business Cycles

    IV. Trends and Stylized Facts of Capital Flows
    1. Current Account, Capital Account and Overall Balance
    2. Components of the Capital Account

    V. Capital Flows and Business Cycles: Empirical Studies
    1. Vector Auto-Regression Model
    2. Basic Model and Effects on Output
    3. Effects on Other Marco Variables
    4. Synchronization of Capital Flows and Business Cycles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1990년대 초반부터 동아시아 국가들은 지속적으로 금융시장의 개방과 자본계정의 자유화를 추진해 왔다. 무역자유화를 통한 시장통합과 함께 자유로운 국제금융거래의 증가는 금융시장의 통합을 가져왔다. 그 결과 각국의 경제는 개방경제로 이행하게 되었고, 자본의 자유로운 유출입이 가져다주는 여러 가지 편익에도 불구하고 거시경제의 교란요인이 증폭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적되어 왔다. 특히 자본의 유출입과 경기변동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생략)
  • 병행수입에 대한 경쟁정책의 적용: 한국과 일본의 사례 비교분석
    병행수입에 대한 경쟁정책의 적용: 한국과 일본의 사례 비교분석

    이 보고서는 경쟁정책의 관점에서 병행수입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병행수입 문제의 핵심은 지적재산권에 대한 경쟁정책의 적용 문제와 자유로운 상품의 유통을 통한 경쟁의 촉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제까지의 논의는 병행수입을 주로 법리적인..

    윤미경 외 발간일 2003.03.25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차 례

    제1장 서론

    제2장 병행수입에 대한 이해
    1. 병행수입의 개념
    2. 병행수입과 권리소진론
    3. 계약에 의한 병행수입의 금지
    4. 병행수입의 경쟁정책적 문제

    제3장 일본의 사례
    1. 지적재산권 형태별 관련제도
    2. 병행수입에 대한 경쟁정책적 접근
    3. 공정취인위원회의 심결 사례

    제4장 한국의 사례
    1. 지적재산권 상품의 국경조치
    2. 병행수입에 대한 경쟁정책적 접근
    3.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 사례

    제5장 한국과 일본사례의 비교/분석

    참고문헌
    국문요약
    이 보고서는 경쟁정책의 관점에서 병행수입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병행수입 문제의 핵심은 지적재산권에 대한 경쟁정책의 적용 문제와 자유로운 상품의 유통을 통한 경쟁의 촉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제까지의 논의는 병행수입을 주로 법리적인 차원에서, 그것도 대부분 지적재산권법의 측면에서 다루어 져 왔으나 병행수입은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유발하므로 경제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경제적인 분석에 기초한 경쟁정책적 접근 방법이 이 문제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보고서는 일본과 한국의 경쟁당국이 병행수입 관련 사건에 대해 내린 판결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경쟁정책적 관점에서 병행수입 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살펴본다.
  • How to Mobilize the Asian Savings within the Region: Securitization and Credit E..
    How to Mobilize the Asian Savings within the Region: Securitization and Credit E..

    아시아위기는 동아시아 자본 흐름과 이와 관련된 자본 시장구조에 중요한 변화를 촉진시키고 있다. 즉 아시아 위기이후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들은 경상수지 적자국에서 흑자국으로 전환화였으며, 이러한 경상수지 흑자 전환은 동아시아 국가들이 ..

    양두용 외 발간일 2003.03.25

    자본시장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Capital Flows in East Asia

    III. The Reasons Why We Need a Securitization Scheme in East Asia

    IV. Securitization and Credit Enhancement in East Asia

    V.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아시아위기는 동아시아 자본 흐름과 이와 관련된 자본 시장구조에 중요한 변화를 촉진시키고 있다. 즉 아시아 위기이후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들은 경상수지 적자국에서 흑자국으로 전환화였으며, 이러한 경상수지 흑자 전환은 동아시아 국가들이 자본 수입국에서 자본 수출국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게 된다. (생략)
  • 2003년 세계경제전망
    2003년 세계경제전망

    2001년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를 경험하였던 세계경제는 2002년 초 강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이러한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2002년 2/4분기 이후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은 주로 미국경제에서 비롯되고 있다...

    김박수 발간일 2003.03.10

    경제전망
    원문보기
    목차

    Ⅰ. 개관


    Ⅱ. 세계경제환경의 주요 흐름


    1. 다자주의의 가속화 : DDA추진 현황과 전망


    2.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활성화 3. 중국경제의 부상과 세계경제의 판도변화


    Ⅲ. 2003년 세계경제전망


    1. 성장 및 교역


    2. 국제금융시장


    3. 국제상품시장


    Ⅳ. 주요권역별 경제전망


    1. 미국 2. 일본 3. 서유럽 4. 중국 5. 동남아 6. 중남미 7. 러시아 8. 중-동구 9. 남아시아 10. 阿-중동


    Ⅴ. 요약 및 결론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2001년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를 경험하였던 세계경제는 2002년 초 강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이러한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2002년 2/4분기 이후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은 주로 미국경제에서 비롯되고 있다. 미국경제는 기업회계부정에 따른 기업의 신뢰도 저하와 수익성 악화, 달러화 약세와 자본의 이탈, 주식가격의 폭락, 경상수지 적자의 확대, 대이라크 전쟁 가능성 등의 불안요인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른 미국경제의 회복지연은 서유럽 및 일본경제에도 영향을 미쳐 이들 국가의 경제도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생략)
  • 북한경제백서
    북한경제백서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북한의 거시경제정책 및 부문별 경제현황의 변화에 대한 체계적ㆍ경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향후 남북경협 활성화 및 북한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의 거시경제정책 및 현황, 경..

    노재봉 외 발간일 2003.02.27

    경제협력,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서 론

    Ⅰ. 북한의 경제동향
    1. 거시경제 현황
    2. 북한경제의 부문별 동향

    Ⅱ. 국가경제관리시스템의 운영현황
    1. 북한경제체제의 특성
    2. 경제체제의 운영과 관리
    3. 북한경제체제의 문제

    Ⅲ. 산업부문별 현황
    1. 북한의 공업구조 및 생산현황
    2. 북한의 농업현황
    3. 북한의 에너지 현황과 전망

    Ⅳ. 사회간접자본의 실태와 정보통신산업의 현황
    1. 북한 사회간접자본의 실태
    2. 북한 정보통신 분야의 현황

    V. 국가재정수입 및 지출의 구조 및 현황
    1. 북한재정의 역할
    2. 재정수입 및 지출의 현황
    3. 지방재정과 중앙재정
    4. 재정정책의 새로운 도전
    5. 재정정책의 문제점과 전망

    Ⅵ. 북한의 화폐금융제도 및 가격관리체계
    1. 북한 금융체계의 특징
    2. 북한금융의 문제점과 개혁방향
    3. 북한의 가격관리체계
    4. 맺음말

    Ⅶ. 상업 및 유통관리 체제
    1. 북한상업의 본질과 개념
    2. 북한 상업·유통 제도의 변천과정
    3. 북한의 상업·유통 기구와 체계
    4. 북한의 상업형태
    5. 북한의 상품가격 체계
    6. 북한의 상업·유통 규모

    Ⅷ. 기업관리체계의 운영실태
    1. 북한기업관리체계의 특징
    2. 북한의 기업관리체계의 변화과정
    3. 연합기업소체제의 개편(1985∼2000년)
    4. 총회사 중심의 기업관리 개편(2001년∼현재)
    5. 기업관리체계의 운영실태

    Ⅸ. 과학기술정책
    1. 북한 과학기술정책의 특징
    2. 연구개발 및 과학기술인력 양성 현황
    3. 북한 과학기술체제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Ⅹ. 사회복지 시스템 및 운영실태
    1. 북한 사회복지 시스템의 특징
    2. 사회복지시스템 운영현황
    3. 북한 사회복지시스템의 문제점

    XI. 북한의 군수산업 현황과 운영실태
    1. 북한 군수산업의 특징
    2. 북한 군수산업의 발전과정과 현황
    3. 북한 군수산업의 문제점

    XII. 북한의 대외경제관계 및 경제특구
    1. 북한의 대외경제관계
    2. 북한의 경제특구

    XⅢ. 남북한 경제협력 현황과 향후방향
    1. 남북한간 교역현황과 향후 과제
    2. 남북한간 투자현황과 향후 과제
    3. 남북한간 비거래성 경제관계 현황과 향후 과제

    XⅣ. 북한경제의 회복을 위한 전략과 과제
    1. 북한경제의 문제점
    2. 북한경제시스템의 효율화를 위한 과제와 전략
    3. 북한경제의 회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역할과 과제

    참고문헌
    국문요약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북한의 거시경제정책 및 부문별 경제현황의 변화에 대한 체계적ㆍ경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향후 남북경협 활성화 및 북한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의 거시경제정책 및 현황, 경제관리시스템, 산업부문별 동향, 사회간접자본 실태 및 정보통신산업 현황, 재정정책, 화폐금융제도 및 가격관리체계, 상업/유통체계, 기업관리체계, 과학기술정책, 사회복지 시스템 및 운영실태, 군수산업 현황, 대외경제관계, 남북경협, 그리고 향후 북한경제 회복을 위한 전략과 과제 등에 대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의뢰하여 종합보고서를 작성하였다.
  • Trade Integration and Business Cycle Synchronization in East Asia
    Trade Integration and Business Cycle Synchronization in East Asia

    경제통합에 관한 연구는 크게 무역분야의 통합과 금융분야의 통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역과 금융분야의 통합은 각각 독립적인 과정이라기보다는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특히 단일통화지역의 형성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양 분야의..

    왕윤종 외 발간일 2003.02.25

    경제통합, 무역구조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rade Integr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Business Cycle Synchronization III. Data and Statistical Findings IV. Methodology and Results V. Implications for a Currency Union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경제통합에 관한 연구는 크게 무역분야의 통합과 금융분야의 통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역과 금융분야의 통합은 각각 독립적인 과정이라기보다는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특히 단일통화지역의 형성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양 분야의 통합은 유럽의 경험이 시사하듯이 상호 상승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생략)
  •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Korea: Recent Performance and Future Agend..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Korea: Recent Performance and Future Agend..

    우리나라의 외국인직접투자는 외환위기 이후 적극적인 촉진정책에 힘입어 1999년과 2000년에 사상 최고수준을 달성하였으나 최근에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는 2001년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에 기인한 바가 크지만, 헐값매각을 우려하여 정부와 채..

    김준동 발간일 2003.02.25

    외국인투자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Recent Trends and Patterns of Inward FDI into Korea

    III. Why has Inward FDI into Korea Decreased Recently?
    1. Global economic slowdown
    2. Decrease in the number of firms on sale and their valuation merit
    3. Internal barriers remaining

    IV. Experiences in the Distribution and Banking Sectors
    1. Distribution
    2. Banking

    V. Future Agenda: Removing Remaining Impediments

    V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국문요약
    우리나라의 외국인직접투자는 외환위기 이후 적극적인 촉진정책에 힘입어 1999년과 2000년에 사상 최고수준을 달성하였으나 최근에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는 2001년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에 기인한 바가 크지만, 헐값매각을 우려하여 정부와 채권단이 부실기업의 신속한 매각을 꺼리는 동시에 노조를 설득하거나 일반국민을 홍보하는데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등의 국내적 요인 때문이기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략)
  • 서유럽 주요국들의 연금제도 분석 및 시사점: 덴마크, 영국, 스웨덴, 이탈리아
    서유럽 주요국들의 연금제도 분석 및 시사점: 덴마크, 영국, 스웨덴, 이탈리아

    한국은 2000년에 이미 UN이 규정하고 있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22년에는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고령화 추세로 인해 향후 연금지출에 대한 요구는 급속히 늘어날 것이고 이는 현재의 연금재정 수급불균형을..

    박영곤 외 발간일 2002.12.30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연구방법 및 범위
    3. 연구의 내용

    제2장 한국의 연금제도개혁 필요성
    1. 한국의 노후소득보장체계
    2. 현행 연금제도상의 문제점
    3. 국제기구들의 연금제도 권고안

    제3장 서유럽 주요국들의 연금제도
    1. 덴마크의 연금제도
    2. 영국의 연금제도
    3. 스웨덴의 연금제도
    4. 이탈리아의 연금제도

    제4장 한국에 대한 시사점

    1. 덴마크의 연금제도
    2. 영국의 연금제도
    3. 스웨덴의 연금제도
    4. 이탈리아의 연금제도
    5. OECD의 연금제도 권고안

    제5장 결론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한국은 2000년에 이미 UN이 규정하고 있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22년에는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고령화 추세로 인해 향후 연금지출에 대한 요구는 급속히 늘어날 것이고 이는 현재의 연금재정 수급불균형을 더욱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국민연금뿐 아니라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그리고 사립학교교원연금 등 직역연금들에서도 재정위기는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공적연금들이 적자로 돌아설 경우, 중앙정부지원의 적자보전에 의하여 수지균형을 유지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재정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생략)
  • Municipal Finance in Selected European Transition Economies
    Municipal Finance in Selected European Transition Economies

    정치·경제적 체제전환의 과정에서 동유럽 각국 지방정부의 재정 자립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세목이 지방세로 전환되는가 하면, 지방정부들은 공공정책 수립에서도 이에 상응하는 독자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재정분권현상(fisca..

    남창운 발간일 2002.12.30

    금융제도, 정치경제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and General Overview

    II. Comparison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unicipal Finance
    1. Expenditure Assignments
    2. Revenue Assignments
    3. Intergovernmental Transfer Systems
    4. Municipal Borrowings and Debt Management

    III. Summary and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국문요약
    정치·경제적 체제전환의 과정에서 동유럽 각국 지방정부의 재정 자립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세목이 지방세로 전환되는가 하면, 지방정부들은 공공정책 수립에서도 이에 상응하는 독자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재정분권현상(fiscal decentralization)은 공공서비스의 질을 보장하거나 정부간 재정자원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로부터 충분한 재정지원을 받을 수 없는 지방 소규모 도시들이 체제전환국에 다수 존재하고 있다는 점이 좋은 예이다. 반면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재정이전(fiscal devolution)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정부 재정정책과 규범체제가 지방정부의 예산집행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금융시장 발전정도 및 지방정부-중앙정부의 제도적·행정적 관계를 근거로 폴란드, 슬로바키아, 체크, 헝가리 4개국 지방정부의 재정조달 능력을 평가하여 보았다.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