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189/287
-
WTO 투자협정 논의의 평가 및 향후 과제
WTO에서 다자간투자협정의 논의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으며, 오히려 도하개발어젠다(DDA)협상 진행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의 WTO 투자협정 논의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
이성봉 외 발간일 2003.12.30
다자간협상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가. 연구의 구성
나. 연구방법
제2장 WTO 투자협정의 논의 경과
1. 다자간투자협정의 논의 역사
가. 다자간투자협정의 의미
나. OECD MAI 이전의 논의
다. OECD의 MAI
2. WTO 다자간투자협정 논의 경과
가. 논의 경위 및 도하 각료선언문의 내용
나. 도하 각료선언 이후 칸쿤 각료회의까지의 논의
다. 칸쿤 각료회의에서의 논의 상황
제3장 WTO 투자협정 논의의 문제점에 대한 평가
1. 대개도국 접근방향에의 문제
2. 미국의 무관심문제
3. 투자협정의 지향방향에 대한 미정립
4. 일괄타결방식의 문제
5. 기타 문제점
제4장 WTO 투자협정의 필요성: 해외투자장벽 완화
1. 설립 전 단계의 장벽 완화
가. 투자업종 및 경영지배권에 대한 제한
나. 지사 및 사무소 설립 관련 제한
다. 이행의무의 부과
라. 기타 설립 전 단계의 장벽
2. 설립 후 단계의 장벽 완화
가. 송금 제한
나. 기타 설립 후 단계의 장벽
제5장 향후 WTO 투자분야 논의의 전망 및 대응방향
1. 향후 WTO 투자분야 논의의 전망
2. 새로운 방안의 모색: 복수국가협정
가. 복수국가협정의 취지
나. 복수국가협정의 내용적 성격
다. 복수국가협정과 서비스협정
라. 복수국가협정의 가능성과 전망
마. 복수국가협정 추진시 기존 WTO 투자규범과의 관계 설정
바. 복수국가협정의 구체적 추진방안
3. 우리의 대응방향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WTO에서 다자간투자협정의 논의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으며, 오히려 도하개발어젠다(DDA)협상 진행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의 WTO 투자협정 논의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7년간의 무역투자작업반의 핵심적인 논의내용은 무엇이었으며, WTO 다자간투자협정의 추진이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찾아보고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다자간투자협정이 추진과정상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이 협정이 여전히 필요한 이유를 점검하고, 향후 WTO에서 투자협정을 추진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은 무엇이 있는지를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주제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본 연구에서는 WTO 투자협정 논의를 평가하고 향후 논의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생략) -
이라크의 전후복구 동향과 향후 전망
이라크전 종결 이후 현재까지의 이라크 전후 복구과정을 정리하고 그에 관해 전망하는 것이 본 보고서의 목적이다. 본 보고서는 복구사업의 핵심적 부분인 정치체제 재건, 경제체제 재건, 인프라 복구, 석유산업 정상화 등 네 분야를 모두 정리함으..
박복영 외 발간일 2003.12.30
경제발전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제2장 정치체제 재건
1. 미국의 최초 재건계획
2. 미국의 수정 재건계획
가. CPA 구성
나. 과도통치위원회 구성
다. 임시내각 구성
3. 미국의 재수정 재건계획
4. 향후 전망
제3장 경제체제 재건
1. 미국의 경제재건 계획
2. 주요 제도 정비
가. 화폐개혁
나. 외국인투자제도
3. 향후 전망
제4장 인프라 복구
1. 인프라 현황
가. 상하수도
나. 운송
다. 통신
라. 전기
마. 주택 및 토지 관리
바. 도시 관리
2. 복구사업의 계획과 규모
3. 재원조달 계획
가. 석유수출
나. 미국의 재정지원
다. 국제사회의 지원
제5장 석유산업 복구
1. 이라크 석유산업 개관
가. 석유생산
나. 석유수출
다. 정제
2. 석유시설 피해 및 복구 현황
가. 피해 현황
나. 복구 현황
3. 전후 석유생산 동향
4. 향후 과제와 전망
가. 안전의 확보
나. 복구재원의 마련
다. 의사결정체계의 조정
라. 석유개발과 외국인투자
제6장 맺음말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이라크전 종결 이후 현재까지의 이라크 전후 복구과정을 정리하고 그에 관해 전망하는 것이 본 보고서의 목적이다. 본 보고서는 복구사업의 핵심적 부분인 정치체제 재건, 경제체제 재건, 인프라 복구, 석유산업 정상화 등 네 분야를 모두 정리함으로써 현재의 이라크 상황을 종합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생략) -
North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Prospects for a Northeast Asian FTA
1990년대에 세계적 추세로 부상한 지역주의 현상은 21세기 초반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EU와 미국은 지역경제통합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 2004년 5월 1일부터 EU 회원국 수는 15개국에서 25개국으로 증가하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성공에 고무..
김양선 외 발간일 2003.12.27
경제통합,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List of Figures
List of Tables
Contributors
Preface
Introduction and Overview
Yangseon Kim and Chang Jae Lee
PART I: WORLDWIDE RISE OF REGIONALISM
1. The Proliferation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and Its Rationale
Wilfred J. Ethier
Comments Soogil Young
2. European Economic Integration: Assessments and Prospects Thierry Mayer
Comments Shujiro Urata
3. From NAFTA to FTAA Gary Clyde Hufbauer
Comments Chung H. Lee
PART II: FTA POLICIES IN NORTHEAST ASIA
4. Japan's Strategy toward Free Trade Agreements Shujiro Urata
Comments Wilfred J. Ethier
5. Korea's FTA Policy: Progress and Prospects Inkyo Cheong
Comments Fukunari Kimura
6. China's FTA Policy and Practice Wen Hai and Hongxia Li
Comments Chang Jae Lee
Part III: CHARACTERISTICS OF INTRA-REGIONAL TRADE AMONG CHINA, JAPAN AND KOREA
7. Intra-Regional Trade in Northeast Asia: Trends and Characteristics
Yangseon Kim and Chung H. Lee
Comments Inkyo Cheong
8. Intra-Regional Trade among China, Japan, and Korea : Intra-Industry Trade of
Major Industries
Fukunari Kimura and Mitsuyo Ando
Comments Kazutomo Abe
Part IV: PROSPECTS FOR AN FTA AMONG CHINA, JAPAN AND KOREA
9. Economic Effects of a Possible FTA among China, Japan, and Korea
Kazutomo Abe
Comments Theresa M. Greaney
10. Towards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A Korean Perspective
Chang Jae
Comments Wen Hai
Part V: MAJOR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Panel Discussion
Gary Clyde Hufbauer
Thierry Mayer
Il SaKong
Soogil Young국문요약1990년대에 세계적 추세로 부상한 지역주의 현상은 21세기 초반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EU와 미국은 지역경제통합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 2004년 5월 1일부터 EU 회원국 수는 15개국에서 25개국으로 증가하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성공에 고무된 미국은 전미주자유무역협정(FTAA) 형성을 목표로 중남미를 포함한 전미주 지역차원에서의 경제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대륙차원의 경제통합 움직임 이외에도 다수의 양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 추진되고 있다. (생략) -
Financial Integration and Consumption Risk Sharing in East Asia
독립적인 통화정책의 상실이 통화통합에 따른 가장 중요한 비용으로 흔히 지적되곤 한다. 따라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통화통합에 참여하는 국가들의 경기변동이 상당한 정도 동조화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경기변동이 비동조화될 경우 ..
왕윤종 외 발간일 2003.12.27
금융통합, 통화정책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Risk Sharing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1. Decomposing Cross-Sectional Variance of Income
2. Risk Sharing and Consumption Smoothing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3. Results for Sub-Groups of East Asian Countries
III. Potential Welfare Gains from Risk Sharing
IV.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
References국문요약독립적인 통화정책의 상실이 통화통합에 따른 가장 중요한 비용으로 흔히 지적되곤 한다. 따라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통화통합에 참여하는 국가들의 경기변동이 상당한 정도 동조화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경기변동이 비동조화될 경우 그만큼 통화통합에 참여하는 국가 모두에게 적합한 통화정책을 수행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생략) -
Trade Structure and Economic Growth: A New Loo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ra..
무역과 경제성장은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양자간의 관계는 매우 중요시 되어온 정책이슈로, 일반적으로 무역이 성장을 돕고 특히 수출이 경제성장을 이끄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기존문헌들을 연구한 Rodriguez and Rodrik(2..
손찬현 외 발간일 2003.12.27
경제발전, 무역구조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rade Structure and Growth
1. Use of Trade Structure
2. Three Models linking Trade to Growth
3. Trade Structure Variables
III. Empirical Analysis
1 Estimation Method
2. Data
3. Results
IV.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국문요약무역과 경제성장은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양자간의 관계는 매우 중요시 되어온 정책이슈로, 일반적으로 무역이 성장을 돕고 특히 수출이 경제성장을 이끄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기존문헌들을 연구한 Rodriguez and Rodrik(2001)과 Baldwin(2003)에 따르면 무역과 성장간의 관계는 매우 애매모호하며 양자간의 관계규명을 위한 보다 많은실증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생략) -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Asia-Pacific Region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적 부상과 함께 이 지역과 세계 여러 지역과의 정치 및 경제적 협력 관계와 관련하여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동구 및 남유럽으로의 5차 확대와 EU헌법의 제정 등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유럽연합과 아시..
김흥종 발간일 2003.12.27
경제협력,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Preface
Introduction and Overview Heungchong Kim
I. The European Convention and the Future of European Integration
Frank Delmartino
II. Enlargement and the EU's External Relations
Michael Dauderstädt
III. A “Work-in-Progress”: Negotiating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s
- The EU and the ACP Pacific States
Martin Holland
IV. The EU 'New Strategy' towards the Asia-Pacific Region
Bernadette Andreosso-O'Callaghan
V.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EU and the Asia-Pacific Region
Bak-Soo Kim
VI. The EU as a Model of Regional Integration: Challenges and Agendas
Philomena Murray
VII. Financial Integration in East Asia: A Comparison with Europe
Hee-Yul Chai and Yeongseop Rhee
VIII. European Integration and Korea: Toward a New Direction For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EU
Yong-Dai Shin
IX. South Asia and European Integration
Rajendra K Jain국문요약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적 부상과 함께 이 지역과 세계 여러 지역과의 정치 및 경제적 협력 관계와 관련하여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동구 및 남유럽으로의 5차 확대와 EU헌법의 제정 등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유럽연합과 아시아태평양 지역간의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생략) -
Financial Market Opening in China and Korea
본 연구보고서는 한국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중국의 사회과학원 소속 계량경제연구소가 공동으로 집필한 9개의 논문을 모은 논문집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양국의 자본 유출입, 은행 및 자본시장의 시장 개방의 단계, 그리고 이와 관련된 외..
정영록 외 발간일 2003.12.27
경제개방원문보기목차Contributors
Introduction
Young-Rok Cheong
Part I. International Capital Flow in Korea and China
I. Evolving Patterns of Capital Flows in Korea
Sammo Kang
II. Utilization of Foreign Capital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ZHANG Tao
Part II. Foreign Exchange Market Liberalization in Korea and China
III. Foreign Exchange Market Liberalization since the Korean Crisis
Doo Yong Yang
IV. Reform of China's Foreign Exchange Regime and Tendencies of the RMB
Exchange Rate
GUO Jinlong, HAN Shengjun
Part III.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in Korea and China
V. Banking Sector Liberalization in Korea: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Sang In Hwang, In-Seok Shin
VI.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in China
LI Wenjun
VII. Financial Services Liberalization in China
LI Wenjun
VIII.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and Macroeconomic Performance: The Case of
Korea
Soyoung Kim, Sunghyun H. Kim, and Yunjong Wang
Part IV. Development of Financial Supervision System in China
IX. Financial Supervision in China
LI Zhaoxia국문요약본 연구보고서는 한국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중국의 사회과학원 소속 계량경제연구소가 공동으로 집필한 9개의 논문을 모은 논문집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양국의 자본 유출입, 은행 및 자본시장의 시장 개방의 단계, 그리고 이와 관련된 외환체제의 변화 및 금융 감독 체제 등을 다루고 있다. (생략) -
WTO경쟁규범 협상: 문제점의 분석과 제정방향의 모색
세계경제는 무역자유화 및 자본자유화 그리고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빠르게 단일시장으로 통합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일부 대규모 다국적기업에 한정되었던 기업의 국제적 활동 또한 널리 확산되고 있다. 기업간 경쟁과 ..
윤미경 발간일 2003.12.27
다자간협상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경쟁정책: 국제적 집행의 확산
2. WTO에서의 논의
가. WTO 논의의 주요 이슈와 쟁점
나. WTO 다자규범 제정 실패의 원인
3. 보고서의 목적 및 구성
제2장 무역과 경쟁의 상호관계: 이론적 배경
1. 무역자유화의 경쟁정책 대체론
2. 경쟁정책의 전략적 활용: 시장접근 제한론
3. 경쟁정책의 국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4. 소결
제3장 국제경쟁규범의 효율적 형태: 다자형태와 양자형태의 비교
1. 양자협정과 다자협정의 비교: WTO에서의 논의
2. 양자협정과 다자협정의 비교: 이론적 접근
3. 구속성 부여 여부의 문제
4. 소결
제4장 국제협력의 주요 요소
1. 절차적 협력에서의 주요 이슈
2. 역외적용
3. 집행관할권
4. 집행관할권의 확보: 미국의 관련 제도
가. 재판관할권 및 문서송달
나. 역외에서의 증거조사
다. 연방거래위원회의 권한 확대
라. 정보교환과 비밀정보의 보호
마. 판결의 집행
5. 집행관할권 관련 국제분쟁사례: 흑연 전극봉
가. 사건의 개요
나. 관할권 및 문서송달에 대한 분쟁
다. 국제협력
6. 협력방식
가. 협력원칙
나. 협력형태
7. 소결
제5장 결론
1. WTO 다자경쟁규범의 제정: 실패의 원인과 극복
2. WTO 다자경쟁규범 제정을 위한 제언
3. 한국의 대외경쟁정책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세계경제는 무역자유화 및 자본자유화 그리고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빠르게 단일시장으로 통합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일부 대규모 다국적기업에 한정되었던 기업의 국제적 활동 또한 널리 확산되고 있다. 기업간 경쟁과 협력이 세계화됨에 따라 국제카르텔의 형성과 국경간 합병이 더욱 수월해졌으며 반경쟁적 행위에 따르는 폐해의 국제적 영향도 점차 커지고 있다. 라이신, 비타민 등 최근에 적발된 대규모 국제카르텔에서 국제적 차원의 조사가 필요하였던 점이나 최근에 발생한 GE-Honeywell 합병에 대한 EU와 미국의 분쟁은 이러한 추세를 대변해준다고 할 수 있다. (생략) -
한중일 FTA의 추진당위성과 선행과제
한ㆍ중ㆍ일 FTA는 다른 형태의 동아시아내 FTA 논의와 마찬가지로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1999년 11월 마닐라 한ㆍ중ㆍ일 3국 정상회동에서 동북아 3국간의 경제협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을 표시하면서부터 한ㆍ중ㆍ일 ..
정인교 외 발간일 2003.12.27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발간사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보고서의 주요 내용
3. 보고서의 한계 및 향후 작업방향
제2장 세계통상환경의 변화
1. 세계경제 통합의 가속화
가. 세계화의 진전과 반세계화
나. 도하개발어젠다(DDA) 협상
2. 지역주의 확산과 다자체제와의 보완적 관계
가. 최근의 지역주의 추세
나. 다자주의와의 관계
3. 동아시아 경제협력 논의 확대
가. 동아시아 경제협력 현황
나. 동아시아내 지역무역협정의 특징과 도전
4. 한ㆍ중ㆍ일 정상회의 정례화와 3국간 협력 논의
가. 경제분야 협력사항
나. 안보 및 사회ㆍ문화 분야 협력
5. 중국경제의 부상과 WTO 가입
가. 중국경제의 급속한 부상
나. 중국의 WTO 가입
제3장 한ㆍ중ㆍ일 FTA 추진 당위성
1. 한ㆍ중ㆍ일 3국간 경제관계
가. 한ㆍ중ㆍ일 3국의 무역 추이
나. 한ㆍ중ㆍ일 3국의 투자현황
다. 한ㆍ중ㆍ일 3국간 분업구조
라. 한ㆍ중ㆍ일 FTA에 대한 시사점
2. 한ㆍ중ㆍ일 FTA의 의미와 필요성
가. 동북아지역 차원의 의미
나. 한국의 입장에서 본 한ㆍ중ㆍ일 FTA 의미
3. 한ㆍ중ㆍ일 FTA의 무역자유화 예상효과
가. 한ㆍ중ㆍ일 FTA의 경제적 효과
나. 한ㆍ중ㆍ일 FTA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존연구
다. 2003년 한ㆍ중ㆍ일 FTA 공동연구 결과
4. 한ㆍ중ㆍ일 FTA의 장애요인
가. 일관생산체제와 수출시장경쟁
나. 경제수준과 체제의 차이
다. 중ㆍ일간 패권경쟁
라. 남북한 대결구도
마. 상호교류 및 이해부족
제4장 한ㆍ중ㆍ일 FTA에 대한 3국의 입장과 한ㆍ일 FTA와의 관계 설정
1. 한국, 중국 및 일본의 FTA 추진현황
가. 한국
나. 중국
다. 일본
2. 한ㆍ중ㆍ일 FTA에 대한 3국의 입장
가. 3국 정부의 입장
나. 3국 기업의 입장: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3. 한ㆍ일 FTA와의 관계 설정
가. 일ㆍ중간 정치적 경쟁관계
나. 한ㆍ일 FTA 추진 동향
다. 한ㆍ일 FTA에 대한 중국의 입장
라. 한ㆍ일 FTA와 한ㆍ중ㆍ일 FTA 관계 설정
제5장 한ㆍ중ㆍ일 FTA 선행과제 및 주요 쟁점
1. 한ㆍ중ㆍ일 FTA를 위한 3국간 선행과제
가. 한ㆍ중ㆍ일 FTA의 목표 설정
나. 한ㆍ중ㆍ일 경제통합의 효과적 접근방법
다. 경제분야의 협력
라. 비경제분야의 협력
2. 한ㆍ중ㆍ일 FTA의 주요 쟁점
가. 한ㆍ중ㆍ일 FTA와 다자주의 경제체제의 발전
나. 한ㆍ중ㆍ일 FTA에 대한 미국의 입장
다. 한ㆍ중ㆍ일 FTA와 동아시아 FTA 관계
제6장 한ㆍ중ㆍ일 FTA에 대한 국내 정책시사점
1. 한ㆍ중ㆍ일 FTA 추진을 위한 국내 정책여건 평가
가. 어려운 국내 정책여건
나. 유리한 국내 정책여건
다. 윈세트(win-set)와 한ㆍ중ㆍ일 FTA 협상
2. 국내 정책시사점
가. 대미국 관계 강화 방안의 모색
나.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그랜드플랜 작성
다. 한ㆍ중ㆍ일 FTA를 위한 단계적 협력사업 추진
라. FTA 홍보 강화
마. FTA 전담인력의 보강
바. FTA 비판그룹에 대한 대응
사. 취약산업의 산업구조 조정 지원과 피해산업의 지원
참고문헌
부 록
1. 취약산업의 구조조정 지원과 보상체계에 대한 외국의 사례
2. NAFTA 추진시 미국의 국내 정책과제와 추진전략
3. 한ㆍ중ㆍ일 FTA 설문조사 개요 및 주요 결과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한ㆍ중ㆍ일 FTA는 다른 형태의 동아시아내 FTA 논의와 마찬가지로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1999년 11월 마닐라 한ㆍ중ㆍ일 3국 정상회동에서 동북아 3국간의 경제협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을 표시하면서부터 한ㆍ중ㆍ일 FTA가 공식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생략) -
일본의 통상정책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FTA 정책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일본 통상정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FTA 정책이 지역별로 어떠한 기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구성요소는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일본의 對韓 통상정책의 핵심인 FTA 정책의 본질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 및 우리의 대응방안을 제시..
이홍배 외 발간일 2003.12.27
무역정책,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세계 통상환경 및 일본 통상정책의 변화
1. 세계 통상환경의 변화
2. 일본 통상정책의 변화
가. 戰後 연대별 추이
나. 重層的 통상정책의 전개
제3장 對구미지역 통상정책
1. 對미국 통상정책
가. 개관
나. 통상정책의 주요내용
다. 향후 전망
2. 對EU 통상정책
가. 개관
나. 통상정책의 주요내용
다. 향후 전망
제4장 對아시아지역 통상정책
1. 개관
2. 對중국 통상정책
가. 통상정책의 주요내용
나. 향후 전망
3. 對ASEAN 통상정책
가. 통상정책의 주요내용
나. 향후 전망
4. 對한국 통상정책
가. 통상정책의 주요내용
나. 향후 전망
제5장 對중남미지역 통상정책
1. 개관
2. 통상정책의 주요내용
가. 무역/투자관계의 특징
나. FTA 논의현황과 주요현안
다. 향후 전망
제6장 정책적 시사점 및 한국의 대응방안
1. 일본 통상정책의 특징과 전망
가. 통상정책의 특징
나. 통상정책의 향후 전망
2. 일본 통상정책의 시사점 및 한국의 대응방안
가. 한국의 통상정책에 주는 시사점
나. 對日 대응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본 연구는 일본 통상정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FTA 정책이 지역별로 어떠한 기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구성요소는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일본의 對韓 통상정책의 핵심인 FTA 정책의 본질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 및 우리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생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