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183/287

  • 동북아 경제협력: 동북아개발은행 논의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동북아 경제협력: 동북아개발은행 논의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와 재원조달 방안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동북아시아 개발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대체로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 검토와 그 재원조달 분석이 별개로 이루어져왔다. 즉 동북아시..

    이형근 발간일 2004.12.30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 현황
    1. 거시적 차원에서의 개발수요
    2. 미시적 차원에서의 개발수요
    3. 평가

    제3장 동북아시아 개발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 동북아시아개발은행을 중심으로
    1. 동북아개발은행의 설립 필요성과 논의 경과
    2. 현존 다자간 지역개발은행간의 비교분석
    3. 동북아개발은행 설립에 대한 기존방안 비교분석
    4. 관련국의 입장
    5. 평가

    제4장 결론
    1. 요약
    2. 다양한 재원조달 방안 모색과 한국의 역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와 재원조달 방안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동북아시아 개발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대체로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 검토와 그 재원조달 분석이 별개로 이루어져왔다. 즉 동북아시아의 개발수요에 대한 논의는 인프라 및 에너지 개발 등의 각 부문별로 진행되고, 재원조달에 대한 논의는 동북아개발은행(NEADB)의 창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두 분야는 개발재원의 수요와 공급에 관련된 것으로, 양자를 함께 논의할 때 동북아시아 개발의 구체성이 보다 확보될 수 있다. (생략)
  • 2004년 한·중·일 FTA 협동연구 총괄보고서
    2004년 한·중·일 FTA 협동연구 총괄보고서

    세계적인 지역주의 확산 추세와 한ㆍ중ㆍ일 FTA 체결시 예상되는 편익에도 불구하고 동북아 핵심국인 한ㆍ중ㆍ일 3국간 FTA는 아직까지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한ㆍ중ㆍ일 3국이 세계경제의 20%를 점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강의 제조업 기..

    이창재 외 발간일 2004.12.30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발간사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한ㆍ중ㆍ일 분야별 경제협력의 현황과 발전방향
    1. 교역 및 투자
    가. 3국간 교역관계
    나. 3국간 투자관계
    다. 중국의 투자유인과 국가별 투자목적
    라. 3국간 기술경쟁력 비교
    마. 생산공정의 분화와 공급연쇄의 확장
    바. 역외 수요의존적 무역구조
    사.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관계 조망
    아. 동북아 교역 전망
    자. 정책적 시사점
    2. 관세협력
    가. 관세협력 현황 및 평가
    나. 한ㆍ중ㆍ일 FTA에 따른 영향과 대비
    3. IT 협력
    가. 한ㆍ중ㆍ일 IT 산업의 발전단계 및 경쟁력
    나. 한ㆍ중ㆍ일 IT 산업 교역ㆍ투자 관계와 FTA
    다. FTA와 동북아 IT 산업
    라. IT 부문 협력방안
    4. 과학기술협력
    가. 한ㆍ중ㆍ일 과학기술분야 기반 분석: 지식기반 경쟁력 분석
    나. FTA 협상을 위한 한ㆍ중ㆍ일 과학기술서비스 양허 현황
    다. 과학기술분야 한ㆍ중ㆍ일 FTA 추진방향
    5. 교통ㆍ물류 협력
    가. 한국, 중국, 일본의 교통인프라 및 교통수요 현황
    나. 한ㆍ중ㆍ일 교통, 물류 협력 현황
    다. 한ㆍ중ㆍ일 교통, 물류 네트워크의 장애요인
    라. 한ㆍ중ㆍ일 교통부문 협력을 위한 과제
    6. 에너지협력
    가. 한ㆍ중ㆍ일 3국의 에너지산업 시장자유화
    나. 한ㆍ중ㆍ일 에너지협력 현황
    다. 한ㆍ중ㆍ일 에너지협력의 발전방향
    7. 환경협력
    가. 환경협력과 경제
    나. 지역 환경협력 현황
    다. 양자 환경협력 현황
    라. 환경협력 강화방안
    참고문헌

    제3장 한ㆍ중ㆍ일 자유무역협정(FTA)의 경제성장효과
    1. 머리말
    2. 국가별 특징을 고려한 지역무역협정이 무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중력모형을 중심으로
    가. 연구 방법과 자료
    나. 기본모형의 추정결과
    다. 자연적 무역상대국간 지역무역협정의 효과
    3. 무역증가가 소득에 미치는 효과 분석
    가. 모형의 설정과 추정방법
    나. 자료
    다. 추정결과
    4. 한ㆍ중ㆍ일간 자유무역협정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가. 한ㆍ중ㆍ일 자유무역협정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
    나. 한ㆍ중ㆍ일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개방도 변화가
    소득에 미치는 영향
    다. 기존 추정결과와의 비교
    5. 한ㆍ중ㆍ일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무역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가. 무역구조와 경제성장: 실증적 분석
    나. 한ㆍ중ㆍ일 자유무역협정에의 시사점
    6. 맺음말
    참고문헌

    제4장 한ㆍ중 FTA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주요 쟁점
    1. 머리말 133
    2. 한ㆍ중 경제관계의 특성과 FTA 추진동기
    가. 한ㆍ중 경제관계의 현황 및 특성
    나. FTA 대상국으로서의 중국에 대한 평가
    3. 한ㆍ중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가. 분석모형, 데이터 및 시나리오
    나.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4. 농업에 대한 파급효과와 쟁점
    가. 한ㆍ중 양국 농업의 특성
    나. 농수산물 교역의 경쟁력 및 보완성 평가
    다. 한ㆍ중 FTA에 따른 1차산품의 민감 정도
    라. 농업부문의 주요 쟁점과 FTA 추진과제
    5. 제조업에서의 파급효과와 주요 쟁점
    가. 제조상품 교역의 경쟁력 및 보완성 평가
    나. 제조업에서의 주요 쟁점 및 FTA 추진과제
    6. 맺음말
    참고문헌

    제5장 한ㆍ중ㆍ일 FTA 체결의 산업별 영향과 타당성 검토
    1. 한ㆍ중ㆍ일간 산업협력의 평가와 FTA의 영향
    가. 한ㆍ중ㆍ일간 산업협력 개관
    나. 한ㆍ중ㆍ일 FTA의 영향 및 파급효과
    2. 철강산업
    가.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개관
    나. 한ㆍ중ㆍ일 FTA의 영향 및 파급효과
    3. 일반기계산업
    가.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개관
    나. 한ㆍ중ㆍ일 FTA의 영향 및 파급효과
    4. 전자산업
    가.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개관
    나. 한ㆍ중ㆍ일 FTA의 영향 및 파급효과
    5. 자동차산업
    가.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개관
    나. 한ㆍ중ㆍ일 FTA의 영향 및 파급효과
    6. 섬유산업
    가.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개관
    나. 한ㆍ중ㆍ일 FTA의 영향 및 파급효과
    7. 석유화학산업
    가.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개관
    나. 한ㆍ중ㆍ일 FTA의 영향 및 파급효과
    8. 맺음말 201
    가. 한ㆍ중ㆍ일 FTA 추진에 관한 기본적 접근
    나. 산업별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제6장 한ㆍ중ㆍ일 FTA의 농업부문 파급효과 계측
    1. 한ㆍ중ㆍ일 농업구조와 농산물 교역구조 분석
    가. 한ㆍ중ㆍ일 3국의 농업 생산구조 변화
    나. 농업생산성 비교
    다. 역내 농산물 교역의 현황과 특징
    라. 한ㆍ중ㆍ일 3국의 농산물 상호 보완성과 경합성 분석
    2. 한ㆍ중ㆍ일 FTA 체결이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
    가. 농업부문 전망모형(KREI-ASMO)에 의한 파급효과 추정
    나. 양국간 잠재교역액(PBT)에 의한 무역전환효과 계측
    3. 국별 농산물 품목별 경쟁력 분석
    가. 중국의 주요 농산물 품목별 경쟁력 분석
    나. 한국의 주요 수출 농산물 품목별 경쟁력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제7장 한ㆍ중ㆍ일 FTA 대비 수산업부문 영향 분석
    1. 한ㆍ중ㆍ일 수산업 특징 비교
    가. 수산정책
    나. 수산물 수급
    다. 수산물 소비
    라. 수산물 수출입
    2. 한ㆍ중ㆍ일 수산물 무역장벽 비교
    3. 한ㆍ중ㆍ일 수산업 경쟁관계 분석
    4. 한ㆍ중ㆍ일 FTA 대비 수산업부문 영향 분석
    가. CGE 모형에 의한 분석
    나. 부분균형에 의한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제8장 한ㆍ중ㆍ일 FTA 인력이동 자유화 연구
    1. 머리말
    2. 인력이동의 국제동향과 규범
    가. 이주노동의 국제동향과 특징
    나. DDA 서비스협상에서 Mode 4 논의동향
    다. 인력이동에 관한 주요 국제협정
    라. 소결
    3. 한국의 인력이동 관련 실태와 제도
    가. 외국인력 활용 실태와 특징
    나. 외국인력제도의 실태와 특징
    다. 인력의 해외진출 실태와 과제
    라. 소결
    4. 중국의 인력이동 관련 실태와 제도
    가. 중국 노동력 현황 및 고용동향
    나. 중국 노동력 수출 현황과 특징
    다. 중국의 인력이동 자유화 관련 정책방향
    라. 소결
    5. 일본의 인력이동 관련 실태와 제도
    가. 일본의 외국인력 정책과 실태
    나. DDA 서비스협상 및 자유무역협정과 외국인력정책
    다. 일본의 외국인력정책의 전망
    라. 소결
    6. 한ㆍ중ㆍ일 FTA 추진시 인력이동 마련
    가. 한ㆍ중ㆍ일간 인력이동 자유화의 방향과 FTA 전략
    나. 전문기술 인력이동 관련 협상방향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세계적인 지역주의 확산 추세와 한ㆍ중ㆍ일 FTA 체결시 예상되는 편익에도 불구하고 동북아 핵심국인 한ㆍ중ㆍ일 3국간 FTA는 아직까지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한ㆍ중ㆍ일 3국이 세계경제의 20%를 점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강의 제조업 기지라는 점을 감안할 때, 한ㆍ중ㆍ일 FTA는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한ㆍ중ㆍ일 FTA 형성에는 3국간 경제발전단계의 격차, 중ㆍ일간 경쟁관계, 안보동맹과 경제파트너 사이의 비대칭성, 과거사 문제의 잔재 등 다수의 장애요인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생략)
  • 무역·투자의 자유화와 지속가능발전: OECD의 논의를 중심으로
    무역·투자의 자유화와 지속가능발전: OECD의 논의를 중심으로

    무역·투자 자유화가 지속가능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립되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무역·투자 자유화는 경제활동의 활성화 및 전 세계적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성장을 유발하고 빈곤을 감축시키며 환경을 개선할 재원을..

    윤창인 발간일 2004.12.30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가. 연구의 구성
    나. 연구방법
    제2장 지속가능발전 논의의 흐름
    1. 논의의 태동
    2. 지속가능발전 논의와 OECD 관련 논의의 연계
    가.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논의
    나. OECD의 지속가능발전 논의

    제3장 무역·투자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영향
    1. 개요
    2. 무역과 국제투자 관련 동향 및 정책개발
    가. 동향
    나. 정책개발
    다. 잔존 무역·투자 장벽
    3. 무역·투자가 지속가능발전에 미치는 영향: 기회와 위험
    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
    다. 사회에 미치는 영향

    제4장 세계경제 통합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 촉진정책
    1. 국내정책의 강화
    가. 경제적 수단의 활용
    나. 환경평가
    다. 환경친화적 제품정책 추진
    라. 일반특혜관세(GSP)제도
    2. 국제적 정책대응
    가. 다자, 양자, 지역 무역투자협정
    나. 다자환경협약(MEAs)
    다. 국제금융기구
    라. 국제적 기업 관행의 정화
    3. 기업차원의 대응
    가. 기업행동수칙
    나. 환경경영관행과 표준환경경영시스템
    다. 환경성과 보고
    4. 향후 과제

    제5장 OECD의 권장정책과 한국의 추진 현황
    1. OECD의 권장정책 요약
    2. 분야별 추진 현황
    가. 국내정책 강화
    나. 국제적인 정책대응
    다. 기업차원의 대응

    제6장 결 론
    1. 요 약
    2. 시사점
    가. 환경유해성보조금 및 보조금에 대한 전면적 검토
    나. 해외진출기업의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준수 점검
    다. 지속가능경영의 확산
    라. 지속가능발전 활동의 공동추진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록
    1. 핵심노동기준
    2.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무역·투자 자유화가 지속가능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립되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무역·투자 자유화는 경제활동의 활성화 및 전 세계적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성장을 유발하고 빈곤을 감축시키며 환경을 개선할 재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속가능발전에 도움을 준다는 긍정적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하여 무역투자 자유화는 국가간은 물론 동일 국가내에서도 계층간의 소득분배를 악화시키고 환경을 훼손하는 등 지속가능발전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는 반론이 존재하고 있다. 양 주장 중 절대적 확신을 갖고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 없다면 한국은 무역·투자가 가져오는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시키면서 부정적 영향은 최소화하는 노력과 활동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는 무역의존도가 약 62%에 이르는 한국경제에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생략)
  • 무역원활화 규범화를 위한 개도국 지원방안의 모색
    무역원활화 규범화를 위한 개도국 지원방안의 모색

    2001년 도하 각료회의에서 무역원활화를 포함한 싱가포르 의제가 논의되었고, 2003년 칸쿤 각료회의에서 협상방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한 후 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결정하였으나, 합의안 도출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2004년 8월 1일 협상 기..

    이창수 외 발간일 2004.12.30

    다자간협상
    원문보기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무역원활화의 개념 및 논의현황
    1. 무역원활화의 개념
    2. WCO와 APEC에서의 무역원활화
    가. WCO에서의 무역원활화 논의
    나. APEC에서의 무역원활화 논의
    3. WTO/DDA에서의 논의와 기본골격 내용
    가. WTO/DDA 무역원활화 논의
    나. 무역원활화에 대한 선진국과 개도국의 입장차이
    다. DDA 무역원활화 협상의 기본골격: Annex D의 내용

    제3장 무역원활화의 쟁점 및 개도국의 입장
    1. GATT 10조
    가. 정보 접근 및 법령과 규제의 투명성
    나. 사전판정
    다. 의견수집과 협의절차의 도입
    라. 검토 및 상소절차의 도입
    마. 정리
    2. GATT 8조
    가. 국경통과 관련 서류의 간소화와 서류 요구사항의 표준화
    나. 일반적 통관절차와 국경통과절차의 간소화
    다. 수수료와 요금
    라. 통관담당 부처간의 협력 제고
    마. 통관절차의 자동화
    3. GATT 5조
    가. 통관절차 및 관련서류의 간소화와 표준화
    나. 운송수단, 탁송종류, 운송업체 등에 대한 무차별성 보장
    다. 화물통과에 대한 국제협력의 강화
    4. 무역원활화 규범제정에 대한 개도국의 반대 이유 및 문제점
    가. 분쟁해결절차 사용여부
    나. 지원문제
    다. 유예기간 문제
    5. 요약

    제4장 무역원활화의 경제적 효과
    1. 무역원활화 경제적 효과에 대한 쟁점
    2. 무역원활화의 경제적 효과
    가. 무역원활화 데이터
    나. 추정방정식 및 실증분석 결과
    3. DDA 협상과 그 구성요소로서의 무역원활화
    4. 정책적 시사점

    제5장 개도국 협정참여를 위한 전략적 접근 및 한국의 직접지원 내용 및 방향
    1. 개도국 지원의 필요성
    2. 개도국 협정참여를 위한 전략적 접근
    가. 제도적 지원과 한국의 전략
    나. 다자간 협정내 복수간 협정: 분쟁해결절차의 사용 분리
    다. 조항별 협정체결
    라. 유예기간의 차별적 적용
    3. 한국의 직접지원 내용 및 방향
    가. 직접적 지원의 형태
    나. ODA 및 무역원활화 지원
    다. 프로젝트 지원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무역원활화 규범화의 방향
    2. 개도국 반대사유
    3. 개도국 지원
    가. 제도적 지원
    나. 직접지원과 한국의 역할
    4. 연구의 한계성


    <부록 1>

    <부록 2> 한국의 ODA 지원현황
    국문요약
    2001년 도하 각료회의에서 무역원활화를 포함한 싱가포르 의제가 논의되었고, 2003년 칸쿤 각료회의에서 협상방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한 후 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결정하였으나, 합의안 도출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2004년 8월 1일 협상 기본골격 최종합의안이 채택됨으로써 싱가포르 의제 중 무역원활화 협상만이 공식 출범하게 되었다. (생략)
  •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금융국제화 진전과 향후 과제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금융국제화 진전과 향후 과제

    금융국제화란 국내외 구분 없이 국경간 금융거래가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국제화의 목적은 자본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해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된 금융국제화는 1990년대 일련의 신흥시장 위기로..

    양두용 외 발간일 2004.12.30

    금융자유화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I장 서론

    <제1부> 우리나라 금융국제화의 평가

    제II장 세계적인 금융국제화의 진전과 우리나라 금융국제화의 과제
    1. 세계적인 금융국제화의 추이와 영향
    가. 금융국제화의 진전과 요인
    나. 금융국제화의 긍정적 파급영향
    다. 금융국제화의 부정적 측면과 과제
    2.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금융국제화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가. 변동환율제 도입과 환율운용
    나. 외국자본의 국내금융업 진출
    다. 외국인 주식보유 비중 증대
    라. 외국인의 국내채권 투자 부진

    제III장 금융국제화와 금융발전 및 경제성장
    1. 서론
    2. 금융국제화와 금융발전의 세계적 추이
    가. 금융국제화지수의 정의
    나. 금융발전지수의 정의
    다. 추정결과
    3. 한국의 금융국제화와 금융발전
    가. 금융국제화지수의 추이
    나. 금융발전지수의 추이
    다. 금융국제화와 금융발전의 관계
    4. 한국의 금융국제화와 경제성장
    가. 배경
    나. 자료
    다. 실증분석결과
    5.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2부> 금융국제화를 위한 정책제안: 외환제도 선진화와 역외금융시장 육성

    제IV장 국내 외환제도 및 체제 개선방안의 고찰
    1. 서론
    2. 국내 외환자유화 변천 추이
    가. 외환위기 이전의 외환자유화 조치
    나. 외환위기 이후 외환자유화 조치
    3. 국내 외환거래 체제 현황 및 문제점
    가. 국내 외환체제 및 제도 특징
    나. 국내 외환체제 및 제도 현황
    다. 현행 외환체제 및 제도의 문제점 및 주요 이슈
    4. 외환위기 이후의 외환자유화 조치의 평가
    가. 외환시장 거래 및 규모의 변화
    나. 외환거래 자유화 이후의 외환시장의 미시적 변화
    다. 국경간 자본거래의 변화: 거시적 측면
    5. 외환제도 및 체제개선 방안
    가. 외환법으로의 전환
    나. 외환시장과 자본시장간의 조화로운 발전
    다. 원화 국제화 문제

    제V장 주요국 역외금융시장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역외채권시장 육성의 관점에서
    1. 서론
    2. 아시아 각국의 역외금융시장
    가. 일본
    나. 싱가포르
    다. 말레이시아(라부안)
    라. 태국
    3. 아시아 채권시장 육성논의와 역외채권시장 설립의 필요성
    4. 한국의 역외금융시장 육성의 타당성 평가
    가. 한국의 역외금융시장의 현황
    나. SWOT 분석을 통한 역외채권시장의 타당성 평가
    5. 역외채권시장 육성을 위한 제도적 고려사항
    가. 원화 국제화 필요성 여부
    나. 예탁결제 시스템
    다. 매매체결 시스템: 거래소 역외시장부 개설
    라. 과세
    마. 기타 고려사항
    6. 결론

    제VI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금융국제화란 국내외 구분 없이 국경간 금융거래가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국제화의 목적은 자본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해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된 금융국제화는 1990년대 일련의 신흥시장 위기로 부정적인 측면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의 신흥시장국 입장에서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생략)
  • EMU협상의 정치경제학과 동아시아 통화통합에 대한 시사점
    EMU협상의 정치경제학과 동아시아 통화통합에 대한 시사점

    1997~98년 동아시아 외환위기는 동아시아 국가들로 하여금 지역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다. 위기의 전개과정에서 확인된 역내 국가들의 내부결속력 결여와 외부세력들의 방관자적 자세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발전이 지역협력 없이는 사상누..

    김흥종 발간일 2004.12.30

    경제통합, 금융통합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유럽 통화통합의 전개과정 1. EMS 이전 단계 2. EMS 3. EMU 가. 1994년 이전 나. 1994년 1월~1998년 12월 다. 1999년 1월 이후 제3장 EMU 협상과정의 주요 이슈와 EC 회원국의 입장 1. 통합방식에 관한 협상 가. 기본적 접근방식 나. 통화통합과 정치통합의 연관성 2. 통합의 구체적 내용 및 절차에 관한 협상 가. 유럽중앙은행의 지위 나. 통화통합의 일정 다. 경제적 수렴조건 라. 재정정책의 통제 및 국가간 재정이전 3. 주요국들의 입장 가. 독일 나. 프랑스 다. 영국 라. 각국의 전략과 협상결과의 대비 제4장 EMU 협상과정에서 활용된 주요 협상전략 분석 1. '분할지배' 방식 2. '직접적 위협' 방식 3. '지속적인 압력' 방식 4. '점진적 양보' 방식 5. '반대자의 적극 활용' 방식 6. '효과적인 중재 역할' 방식 7. '자국 입장의 적극적 설득' 방식 제5장 EMU 협상과정을 통해 본 통화통합의 정치경제학 1. EMU 협상의 성공요인 2. EMU 협상과 정치통합과의 관계 3. EMU 협상과정의 정치경제학적 특징 가. EMS 경험과 제도적 기반의 활용 나. 핵심적 양국관계 형성 및 유지 노력 다. 국가간 공조체제의 형성 및 안정화 라. 국가간 공조체제의 변화 및 이에 대한 대응 마. 협상 단계별로 적합한 전략의 활용 제6장 EMU 협상의 동아시아 통화통합에 대한 시사점 1. 논의의 배경과 최근 현황 가. 논의의 배경 나. 최근의 현황 2. 동아시아 통화통합의 정치경제학적 특성 3. EMU 협상의 시사점 가. 최적통화지역의 전제조건 확보 나. ERM 위기와 통화통합의 순서에 대한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 다. 구체적 청사진의 제시 라. 협상기회의 확대를 통한 문제해결 경험의 축적 마. 다양한 정책수단(회유책)의 구사 바. 핵심적 추진세력의 확보와 한국의 역활 4. 국가별 거시경제 여건과 통화협력에 대한 입장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1997~98년 동아시아 외환위기는 동아시아 국가들로 하여금 지역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다. 위기의 전개과정에서 확인된 역내 국가들의 내부결속력 결여와 외부세력들의 방관자적 자세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발전이 지역협력 없이는 사상누각에 불과함을 깨닫게 해주었던 것이다. 그 이후 동아시아 국가들간에는 위기시 신용공여를 위한 치앙마이이니셔티브의 창설, 역내 교역의 활성화를 위한 FTA의 체결, 동아시아 채권시장 육성 방안 등 동아시아 국가간 경제협력의 광범위한 틀이 논의되어왔다. (생략)
  • 수입선다변화제도 철폐 5년의 평가: 가전산업의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수입선다변화제도 철폐 5년의 평가: 가전산업의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수입선다변화제도는 지나친 대 일본 무역적조를 막고 국내 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1977년부터 시행되어 1999년 6월에 완전 철폐되었다. 동 제도는 국산제품의 경쟁력 강화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편 대일 수입적자를 해소하는데 일정역할을..

    김정곤 외 발간일 2004.12.30

    경제개방,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수입선다변화제도의 운영

    제3장 수입선다변화제도 철폐의 영향과 대응
    1. 캠코더
    2. 휴대폰
    3. 중대형 TV(25인치 이상)
    4. 전기밥솥

    제4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수입선다변화제도는 지나친 대 일본 무역적조를 막고 국내 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1977년부터 시행되어 1999년 6월에 완전 철폐되었다. 동 제도는 국산제품의 경쟁력 강화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편 대일 수입적자를 해소하는데 일정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대외적인 비판을 받았을 뿐 아니라 WTO의 규범과도 배치되어 대외적으로 제도 철폐의 압력이 지속되었다. 또한 1997년 외환위기에 따른 안팎의 제도개혁의 요청과 맞물려 수입선다변화제도의 철폐는 불가피하였다. (생략)
  • 영화시장 개방에 대한 경쟁정책적 고찰
    영화시장 개방에 대한 경쟁정책적 고찰

    본 연구는 세계무역기구(WTO)/도하개발어젠다(DDA) 시청각서비스협상에서 진행되는 영화산업의 개방 논의에 대응하여 영화산업의 추가개방이 국내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 중 경쟁정책 관련 문제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은 우루과이라운드(..

    윤미경 외 발간일 2004.12.30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가. 연구의 구성
    나. 연구의 방법

    제2장 DDA 시청각서비스협상 논의 현황
    1. UR에서의 개방수준
    2. 주요 현안 및 논의 전망

    제3장 세계 영화산업의 현황과 한국 영화산업의 성장
    1. 세계 영화산업의 현황
    2. 한국 영화산업의 성장과 교역
    가. 영화산업의 비약적 성장
    나. 국제경쟁력 향상과 수출입 추이
    제4장 영화유통시장의 경쟁구조
    1. 영화산업의 특성
    2. 영화산업의 구조
    가. 제작
    나. 배급 및 상영
    다. 후속시장
    3. 국내 및 수입영화의 유통구조
    가. 배급 및 상영체계
    나. 후속시장의 유통구조
    4. 영화유통시장에서의 경쟁과 시장지배력
    가. 배급사간 경쟁
    나. 극장간 경쟁
    다. 배급과 상영부문간의 관계
    라. 수직통합 추세
    5. 소결

    제5장 경쟁법을 통한 영화유통시장의 사후적 규제
    1. 영화시장 규율에 관한 경쟁법적 고찰
    2. 영화산업에 대한 미국의 경쟁정책
    가. 끼워팔기에 대한 파라마운트 판결
    나. 파라마운트 판결 이후의 경쟁정책적 이슈
    3. EU의 UIP에 대한 제재
    4. 한국 공정거래법의 영화산업 적용에 대한 평가
    가. 끼워팔기의 공정거래법상 규제
    나. 공정거래법에 의한 거래거절의 규제
    다. 수직결합의 공정거래법상 규제

    제6장 영화시장의 개방에 대한 경쟁정책적 시사점
    1. 영화산업 개방에 대비한 국내 경쟁법의 정비
    2. 영화산업에서의 분쟁해소를 위한 추가적 장치
    3. DDA 시청각서비스협상에 대한 시사점

    부록
    1. 끼워팔기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판례
    2. 거래거절의 반경쟁성이론과 미국의 판례법
    3. 수직결합에 대한 법경제적 분석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본 연구는 세계무역기구(WTO)/도하개발어젠다(DDA) 시청각서비스협상에서 진행되는 영화산업의 개방 논의에 대응하여 영화산업의 추가개방이 국내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 중 경쟁정책 관련 문제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은 우루과이라운드(UR)협상에서 영화 및 비디오 제작ㆍ배급업과 음반녹음업을 개방하였으며, 이에 따라 한국 영화시장의 추가개방은 1966년 이후 시행된 스크린쿼터의 개선 혹은 철폐를 의미한다. 영화계 일부에서는 스크린쿼터와 같은 시장보호장치가 없다면 외국 영화사가 자사의 시장지배력을 남용하여 반경쟁적 행위를 조장할 소지가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전예방차원에서 미국에 기반을 두는 다국적 외국 영화사의 영향력 및 시장점유율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스크린쿼터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생략)
  • Income Distribution, Intra-industry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East ..
    Income Distribution, Intra-industry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East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에 있어서 산업내 무역이 국가간 소득격차와 외국인 직접투자와 어떻게 관계가 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1990-2000년간 일본과 다른 동아시아국가간의 SITC 5단위별 양국..

    손찬현 외 발간일 2004.12.28

    산업구조, 산업정책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 Theoretical Framework

    III. The Data

    IV. The Results
    1. The Distribution of IIT
    2. The Estimation Results

    V.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에 있어서 산업내 무역이 국가간 소득격차와 외국인 직접투자와 어떻게 관계가 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1990-2000년간 일본과 다른 동아시아국가간의 SITC 5단위별 양국간 수출입통계를 이용하여 산업내 무역을 수평적산업내 무역과 수직적산업내 무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생략)
  • A New Approach to the Asian Finance Cooperation: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A New Approach to the Asian Finance Cooperation: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채권시장의 부진은 아시아국가의 금융시스템 취약성에 원인이 되는 요소들 중에 하나이다. 기업의 지나친 은행 대출의 의존으로 인하여 아시아 지역 저축이 기업의 직접투자가 불가능하였다. 그 대신 저축된 자본은 미국과 유럽에 있는 국제금융센터..

    CHEN Hong 발간일 2004.12.25

    금융통합, 자본시장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1.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Asian bond markets
    2. The background of “Asian Bond Market Initiatives”

    III. Challenges and Options Faced by China
    1.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s of bond markets
    2. China's Bond Market: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V.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채권시장의 부진은 아시아국가의 금융시스템 취약성에 원인이 되는 요소들 중에 하나이다. 기업의 지나친 은행 대출의 의존으로 인하여 아시아 지역 저축이 기업의 직접투자가 불가능하였다. 그 대신 저축된 자본은 미국과 유럽에 있는 국제금융센터로 흘러 들어가 다시 아시아 지역으로 역유입 되었다. 이 같은 경우 기업과 금융기관들은 자금의 만기불일치 와 통화불일치라는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문제들은 아시아의 금융시장의 불안정에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아시아 주요국 사이에서 아시아 채권시장을 개발하려는 합의가 있어 왔다. 중국의 경우, 자국의 채권시장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아시아 채권시장의 육성에 핵심이 되어왔다. (생략)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