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181/287

  • Marginal Intra-industry Trade, Trade-induced Adjustment Costs and the Choice of ..
    Marginal Intra-industry Trade, Trade-induced Adjustment Costs and the Choice of ..

    최근에 와서 동아시아지역에 지역주의가 확산되고 있으며 한국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적으로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국내시장의 개방에 대한 반대목소리도 증가하고 있다. 즉 FTA가 국내산업에 높은 구조조정비용을 야기한다는 것이..

    손찬현 외 발간일 2004.12.30

    무역구조,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rends and Extents of IIT and MIIT
    1. The Indices of IIT and MIIT
    2. Extents of IIT and MIIT

    III. The Determinants of Intra-industry Trade
    1. Hypotheses of IIT Analysis
    2. Results of Analysis

    IV. The Determinants of Marginal Intra-industry Trade
    1. Hypotheses of MIIT Analysis
    2. Results of Analysis

    V. Summary and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Tables
    국문요약
    최근에 와서 동아시아지역에 지역주의가 확산되고 있으며 한국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적으로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국내시장의 개방에 대한 반대목소리도 증가하고 있다. 즉 FTA가 국내산업에 높은 구조조정비용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생략)
  • Monetary and Exchange Rate Arrangements in East Asia
    Monetary and Exchange Rate Arrangements in East Asia

    본 연구는 2004년 8월 26일 27일 양일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개최한 동아시아 금융협력 국제세미나 발표 자료이다. 1997-1998년 금융위기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금융 및 외환시장 협력의 진척도를 총체적으로 평가하..

    오용협 외 발간일 2004.12.30

    금융통합, 통화정책
    원문보기
    목차
    1. Monetary Arrangements in East Asia (Woosik Moon, Deok Ryong Yoon)
    2. Exchange Rate Arrangements in East Asia (Eiji Ogawa, Doo Yong Yang)
    3. Fear of Floating in East Asia (Soyoung Kim, Sunghyun H. Kim, Yunjong Wang)
    4. Reserve Management Policy in East Asia (Jung Sik Kim, Jie Li, Kishen Rajan
    and Thomas Willet)
    5. Exchange Rate Regime and Economic Linkages in East Asia (Jong-Wha Lee,
    Kwanho Shin)
    6. Exchange Rate Pass-through in East Asia (Sammo Kang, Yunjong Wang)
    7. A Critical Evaluation of OCA Analysis for East Asia (Kwanho Shin and Tom
    Willet)
    8. Coupling or Decoupling of Won/Yen Exchange Rate (Jaeyoung Kim, Yunjong Wang)
    9. Inflation Targeting in East Asia (Yeongseob Rhee, Barry Eichengreen)
    10. Untitled (Shang-Jin Wei, IMF)
    11. Towards an Integrated Monetary Zone (Yung Chul Park, Charles Wyplosz)
    국문요약
    본 연구는 2004년 8월 26일 27일 양일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개최한 동아시아 금융협력 국제세미나 발표 자료이다. 1997-1998년 금융위기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금융 및 외환시장 협력의 진척도를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향후 국가 거시정책 협조 방안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지원을 도모하기 위해 동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국내 및 외국의 연구진들의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외환위기 이후 6년이 지난 시점에서 최소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고 그동안 제시된 다양한 정책적 제안의 성과를 평가해 볼 수 있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적정한 연구이다.

    주요 내용으로서는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각국이 채택한 통화정책과 환율정책의 정합성 문제를 조명하고 역내 환율의 안정성 및 역내 통화협력의 가능성에 비추어 최근 정책적 관심사로 부각되는 외환보유고의 적정 수준 및 역내금융시장 통합 등의 이슈를 분석하고 있으며, 환율제도의 실물경기변동에 대한 영향 및 무역 등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등 환율제도와 관련된 이슈를 기존연구들에 비해 확장하여 심층 연구하고 있다. 아시아 금융 및 통화협력의 현실적인 방안에 대한 검토와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한국 및 동아시아 관련국의 정책담당자 및 연구자들에게 제공하여 정책결정의 자료로 활용하고 역내 공감대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 Geographic Concentration and Industry Characteristics: An Empirical Investigatio..
    Geographic Concentration and Industry Characteristics: An Empirical Investigatio..

    산업의 지리적 분포는 동일하지 않다. 어떤 산업은 어느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또 어떤 산업은 지리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다. (생략)

    박순찬 외 발간일 2004.12.30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on Industry Location: Traditional Trade Theory versus New Economic Geography

    III. Industry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IV.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 Concentration and Industry Characteristics

    V.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산업의 지리적 분포는 동일하지 않다. 어떤 산업은 어느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또 어떤 산업은 지리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다. (생략)
  • Location Choice of Multinational Companies in China: Korean and Japanese Compani..
    Location Choice of Multinational Companies in China: Korean and Japanese Compani..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기업의 기업별 자료를 이용하여 대중국 직접투자에 대한 입지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각 성(省)별 자료를 패널자료와 중국에 직접투자를 실행한 한국기업과 일본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이홍식 외 발간일 2004.12.30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General Characteristics of FDI in China

    III. Empirical model specification

    IV.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V. Estimation results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기업의 기업별 자료를 이용하여 대중국 직접투자에 대한 입지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각 성(省)별 자료를 패널자료와 중국에 직접투자를 실행한 한국기업과 일본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까지의 양국의 투자패턴과 입지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생략)
  • 거대경제권과의 FTA 평가 및 정책과제
    거대경제권과의 FTA 평가 및 정책과제

    1998년 11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대외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는 칠레와의 FTA를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일본, 미국 등 다른 국가와의 FTA 추진은 칠레와의 FTA가 타결된 이후 부처간 논의를 거쳐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로 방침을 정하였다. 이후..

    강문성 외 발간일 2004.12.30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정인교
    1. FTA의 경제적 효과
    2. 우리나라의 FTA 추진 현황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한ㆍ일 FTA 김양희
    1. 한ㆍ일 FTA 논의의 전개과정과 주요 현안
    가. 한ㆍ일 FTA 논의의 전개과정
    나. 한ㆍ일 FTA의 경제적 효과를 둘러싼 주요 현안
    2. 한ㆍ일 FTA의 관세철폐 효과를 둘러싼 현실 인식
    가. 한ㆍ일 양국의 관세구조 및 제도
    나. 한ㆍ일 FTA에 대한 기업의 의식구조
    3. 한ㆍ일 FTA의 필요성과 향후 과제
    가. 한ㆍ일 FTA의 필요성
    나. 한ㆍ일 FTA는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실현의 교두보
    다. 한ㆍ일 FTA 효과 제고를 위한 국내 대응방안 마련
    라. 대일 협상력 제고를 위한 대외전략
    참고문헌

    제3장 한ㆍ중ㆍ일 FTA 정인교
    1. 한ㆍ중ㆍ일 FTA 논의 배경
    2. 한ㆍ중ㆍ일 FTA에 대한 기존 연구
    3. 한ㆍ중ㆍ일 FTA의 의미
    가. 세계적 지역주의 추세에 대응
    나. 역내 경쟁적 지역주의 지양
    다. 지역안보환경 개선
    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의 지역협력
    마. FTA로 인한 경제적 효과 기대
    바. 한국에 대한 의미
    4. 한ㆍ중ㆍ일 FTA의 선결과제
    가. 3국간 신뢰 회복 및 경쟁의식 해소
    나. 국제정치ㆍ안보적 이슈
    다. 취약산업의 구조조정
    라. 중국의 내부개혁 가속화
    5. 한ㆍ중ㆍ일 FTA 추진방향
    가. 한ㆍ중 FTA 평가
    나. 한ㆍ중ㆍ일 FTA 추진 시나리오
    참고문헌

    제4장 한ㆍ미 FTA 강문성
    1. 개요
    가. 미국의 FTA 정책
    나. 한ㆍ미 FTA 논의현황과 주요 연구결과
    2. 미국경제의 특징과 한ㆍ미 양국간 교역 및 투자구조
    가. 미국경제의 특징
    나. 교역구조
    3. 미국의 주요 교역장벽
    가. 관세장벽
    나. 비관세장벽
    다. 한국기업의 애로사항
    4. 한ㆍ미 FTA 추진시 중점 검토사항
    가. 민감품목 예상
    나. 교역장벽의 완화 가능성
    다. 양국 업계의 입장
    라. 정치ㆍ사회적 측면
    5. 향후 전망
    참고문헌

    제5장 한ㆍEU FTA 김흥종ㆍ이종화
    1. EU 경제의 특징
    가. 산업구조
    나. 시장의 특징
    다. 경쟁성 및 보완성
    2. 교역 및 투자 관계
    가. 교역규모의 상대적 크기
    나. 품목별 교역관계
    다. 한ㆍEU 투자관계
    라. 한국의 썡EU 투자
    3. 주요 교역장벽
    가. 관세
    나. 비관세장벽
    다. 무역장벽규제
    4. 한ㆍEU FTA 체결시 고려 사항
    가. 민감 품목
    나. 교역장벽 수준과 완화 가능성
    다. EU의 지역협력 정책
    라. 양국 업계의 입장
    마. EU의 심화와 확대
    바. 한ㆍEFTA FTA
    5. 전반적인 평가
    참고문헌

    제6장 한ㆍASEAN FTA 정인교ㆍ권경덕
    1. 한ㆍASEAN FTA에 대한 기존 연구
    2. 양국간 교역동향과 무역수지
    3. 관세 및 비관세 장벽
    가. 관세장벽
    나. 비관세장벽
    4. ASEAN 국가의 FTA 정책과 한국과의 FTA에 대한 입장
    가. ASEAN 각국의 최근 FTA 정책
    나. 한국과의 FTA에 대한 입장
    5. ASEAN과의 FTA 추진시 검토사항
    6. 종합평가 및 향후 전망
    참고문헌


    제7장 FTA 추진에 대한 시사점 정인교
    1. FTA 기본원칙의 확립
    2. FTA 기본모델 확정
    3. FTA 우선추진 대상국 종합검토
    4. 구조조정 지원방향 수립
    5. FTA 추진능력 강화
    6. 대국민 홍보 체계화
    참고문헌

    부록: CGE 모형의 기본구조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1998년 11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대외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는 칠레와의 FTA를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일본, 미국 등 다른 국가와의 FTA 추진은 칠레와의 FTA가 타결된 이후 부처간 논의를 거쳐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로 방침을 정하였다. 이후 우리나라 대외경제정책의 주요한 하나의 축으로 FTA가 등장하였고, 정부는 거대경제권과의 FTA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단계별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생략)
  • 한·미 FTA의 무역 및 투자창출효과와 교역구조에 대한 연구
    한·미 FTA의 무역 및 투자창출효과와 교역구조에 대한 연구

    최근 중국이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으나, 미국은 우리나라 수출의 약 18%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으로 수출된 우리 제품의 상당 부분이 재가공되어 미국으로 다시 수출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으로 볼 수..

    박순찬 외 발간일 2004.12.30

    경제개방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지역주의의 세계적 확산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가. 분석방법
    나. 연구범위
    4. 연구의 구성

    제2장 한국과 미국의 지역주의정책
    1. 한국의 지역주의정책
    가. 한국의 FTA 추진동향
    나. 한국의 FTA 정책기조
    2. 미국의 지역주의정책
    가. 미국의 FTA 추진동향
    나. 미국의 FTA 정책기조
    제3장 한미 양국간 교역 및 투자구조와 산업별 관계
    1. 미국경제의 특징과 한ㆍ미 양국간 교역 및 투자구조
    가. 미국경제의 특징
    나. 교역구조
    다. 투자 현황
    2. 미국의 주요 교역장벽
    가. 관세장벽
    나. 비관세장벽
    다. 한국기업의 애로사항
    3. 한국과 미국의 경쟁력
    가. 시장점유율 분석
    나. 현시비교우위(RCA)지수 분석
    다. 산업내무역

    제4장 한미 FTA가 무역 및 외국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1. 선행연구
    2. 무역에 미치는 영향
    가. 무역창출효과와 자연적 무역상대국
    나. 실증분석모형
    다. 분석결과
    3. 외국인직접투자(FDI)에 미치는 영향
    가. 이론적 배경
    나. 실증분석모형과 데이터
    다. 분석결과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한미 FTA의 긍정적 효과
    가. 경제적 측면
    나. 외교ㆍ안보 측면
    2. 한미 FTA의 걸림돌
    3. 한미 FTA의 중요성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최근 중국이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으나, 미국은 우리나라 수출의 약 18%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으로 수출된 우리 제품의 상당 부분이 재가공되어 미국으로 다시 수출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한ㆍ미 FTA의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FTA가 해당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는 경제성장, 무역구조, 산업구조 등 매우 다양한데, 본 연구는 한ㆍ미 FTA의 무역창출효과와 투자창출효과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생략)
  • 한·일 FTA 체결이 국내 부품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시사점 - 전기전자 ·기계 부품..
    한·일 FTA 체결이 국내 부품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시사점 - 전기전자 ·기계 부품..

    2003년 12월 제1차 협상을 시작으로 한ㆍ일 FTA 협상은 2004년 12월 현재 제6차 협상을 종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ㆍ일 양국은 아직 상품시장 개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연구는 양국의 협..

    이홍배 외 발간일 2004.12.30

    경제협력,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의 범위와 방법론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제2장 한ㆍ일 전기전자ㆍ기계 산업의 구조적 특징
    1. 부품산업의 정의
    2. 한ㆍ일 전기전자 및 기계 부품산업의 특징
    가. 한국 부품산업의 현황
    나. 일본 기계부품산업의 현황
    3. 한ㆍ일간 부품무역의 현황과 경쟁력 비교
    가. 한ㆍ일 부품무역의 현황
    나. 한ㆍ일 부품무역의 특징
    다. 국내 부품산업의 대일 경쟁력 비교

    제3장 한ㆍ일 전기전자ㆍ기계 부품산업의 상호 의존관계 및 파급효과 분석
    1. 2000년 한ㆍ일 국제산업연관표 작성
    가. 통계자료의 개요
    나. 통합분류 및 부품산업의 추계
    2. 한ㆍ일 전기전자 및 기계 부품산업의 수입의존관계 분석
    가. 실증분석 모델
    나. 실증분석 결과
    3. 시뮬레이션분석을 통한 부품산업의 예상 파급효과 측정
    가. 시뮬레이션분석 모델
    나.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다. 실증분석 결과
    라. 소론: 분석결과 요약 및 모델의 개선방향

    제4장 한ㆍ일 전기전자ㆍ기계 부품산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설문조사의 목적과 분석 기준
    가. 개요
    나. 설문조사의 목적
    다. 설문조사의 분석 기준
    2. 설문조사 분석 결과
    가. 한국기업에 대한 분석 결과
    나. 일본기업에 대한 분석 결과
    3. 소론: 평가 및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정책시사점
    1. 분석결과 요약
    2. 정책시사점
    가. 상호 의존관계 심화와 관세철폐 효과
    나. 일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방안
    다. 한ㆍ일 기술협력 확대 가능성 제고
    라. 한ㆍ일 FTA의 중요성과 동아시아 경제통합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2003년 12월 제1차 협상을 시작으로 한ㆍ일 FTA 협상은 2004년 12월 현재 제6차 협상을 종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ㆍ일 양국은 아직 상품시장 개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연구는 양국의 협상과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생략)
  •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와 시사점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와 시사점

    한국기업의 중국투자의 현황과 특징을 2004년 상반기까지의 자료를 이용해 점검한 결과 2001년 이후 대중 투자의 규모가 급증하는 가운데, 제조업 위주의 투자, 높은 중소기업 비중, 낮은 건당 투자규모 등 기존의 특징이 유지되고 있었다. (생략)

    지만수 외 발간일 2004.12.30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주요 이슈 및 연구방법
    가. 기존 연구
    나. 주요 이슈 및 연구방법

    제2장 대중 투자의 현황과 특징
    1. 대중 투자의 성장과 부침
    2. 대중 투자의 특징과 변화
    가. 업종별 특징
    나. 주체 및 규모의 특징
    다. 지역별 분포와 변화

    제3장 대중 투자의 동기 분석
    1. 직접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이론
    2. 설문조사에 나타난 대중 투자동기
    3. 대중 투자동기에 대한 실증적 분석
    가. 모형과 변수
    나. 분석결과
    4. 투자동기별 유의사항
    가. 임금상승과 추가부담
    나. 내수시장 진출의 한계

    제4장 투자기업의 경영성과와 결정요인
    1. 경영성과
    가. 기존의 경영성과 추정과 한계
    나. 새로운 경영성과 추정
    2. 매출이익률의 결정요인 분석
    가. 매출이익률의 추정
    나. 결정요인 분석

    제5장 현지경영의 주요 이슈
    1. 진출정보 입수 및 입지 선정
    가. 진출정보의 입수
    나. 입지 결정
    2. 경영의 애로사항
    가. 진출단계의 애로사항
    나. 운영단계의 애로사항
    3. 중국기업의 경쟁력
    4. 고용 및 노무관리
    5. 경영의 현지화

    제6장 대중 투자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1. 무역에 미치는 영향
    가. 투자기업의 매출입구조와 무역수지
    나. 매출입구조와 무역수지의 관계에 대한 전망
    2. 산업공동화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가. 산업공동화 우려에 대한 평가
    나. 기업의 생산기지 이전에 따른 공동화 및 전망

    제7장 정책적 시사점
    1. 기업에 대한 시사점
    가. 경영전략과 경영성과
    나. 현지경영의 참고사항
    2. 지원전략의 변화 및 체계화
    가. 지원전략의 변화 필요성
    나. 지원시스템의 체계화
    다. 경영정보 제공 기능의 개편
    3. 산업공동화 대응방안
    가. 기본인식
    나. 투자 현황파악시스템 구축
    다. 기술유출대책 마련
    라. 중국의 對韓 투자 유치

    참고문헌

    부록: 설문 및 인터뷰 조사 개요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한국기업의 중국투자의 현황과 특징을 2004년 상반기까지의 자료를 이용해 점검한 결과 2001년 이후 대중 투자의 규모가 급증하는 가운데, 제조업 위주의 투자, 높은 중소기업 비중, 낮은 건당 투자규모 등 기존의 특징이 유지되고 있었다. (생략)
  • 최근 북한의 가격·유통체제 변화 및 향후 개혁과제
    최근 북한의 가격·유통체제 변화 및 향후 개혁과제

    북한은 2003년 3월 말부터 기존의 농민시장을 시장으로 명칭을 바꾸고 유통물자의 범위도 기존의 농토산물에서 공업제품으로까지 확대하였다. 또한 북한 내부적으로 시장의 기능에 대한 인식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시장기능을 확대하는 정책이 지속될..

    홍익표 발간일 2004.12.30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중국 가격·유통체계 개혁의 주요 내용 및 성과 1.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가격·유통체계 개혁 2. 중국 가격 개혁의 주요 내용 및 성과 가. 시장화와 가격 개혁 나. 농산품의 가격자유화 과정 및 의의 다. 공산품의 시장가격 도입과정 및 의의 3. 중국 유통체계 개혁의 주요 내용 및 성과 가. 유통체계의 변화 나. 생산재 유통시장 다. 소비재 유통 제3장 북한 사회주의 계획경제와 가격·유통체계 1. 북한의 가격·유통에 관한 기존 이론 및 기본입장 가. 북한의 전통적 가격이론과 정책 나. 북한의 전통적 유통이론과 정책 2. 1990년대 가격·유통체계의 변화 가. 가치법칙의 적극 활용 나. 유통체계의 이완과 장마당의 활성화 3. 평가 및 시사점- 자력갱생과 방임의 1990년대 제4장 7.1조치 이후 가격체계 변화의 주요 내용 및 평가 1. 사회주의 개혁논쟁과 북한의 7.1조치 가. 부족(shortage)과 불균형(disequilibrium)의 논쟁 나. 7.1조치와 북한의 선택 2. 7.1조치의 新가격원리 가. 생산자 위주의 가격제정방식 수립 나. 쌀가격을 기준으로 한 상대가격 재조정 다. 국제 쌀가격을 기준으로 한 변동환율 및 이중환율제의 도입 라. 국가에 의한 변동가격체계로 접근 마. 가격구성의 변화와 예산수입구조의 집중화: 거래수입금 폐지 3. 가격변화 현황: 국정가격 및 시장가격 가. 국정가격변화 나. 시장가격변화 4. 북한가격개혁 평가 및 중국과의 비교 가. 북한가격개혁 평가 나. 중국과의 비교 제5장 7.1조치 이후 유통체계 변화의 주요 내용 및 평가 1. 유통관리체계 및 운영메커니즘의 변화 2. 생산재 유통체계의 변화와 사회주의 물자교류시장의 등장 가. 국가계획에 의한 유통(공급)체계의 유지와 기업자율권 확대 나. 사회주의 물자교류시장 3. 소비재 유통체계의 변화와 종합시장의 등장 가. 소비재시장과 종합시장 나. 도매반과 도매시장 4. 북한 유통체계의 개혁 평가 및 중국과의 비교 가. 북한 유통체계의 개혁 평가 나. 중국과의 비교 제6장 북한 가격·유통체계의 개혁과제 1. 가격개혁의 과제 가. 상대가격의 합리적 조정 나. 가격결정권의 분권화 다. 가격체계의 다양화 라. 단계적 가격자유화 마. 달러 연동 2. 유통체계의 개혁과제 가. 물자유통 전문기업 설립 나. 도매시장 도입 다. 생산재 유통시장 제도화 라. 국유상점의 개혁과 비국유부문의 확대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북한은 2003년 3월 말부터 기존의 농민시장을 시장으로 명칭을 바꾸고 유통물자의 범위도 기존의 농토산물에서 공업제품으로까지 확대하였다. 또한 북한 내부적으로 시장의 기능에 대한 인식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시장기능을 확대하는 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북한체제가 시장사회주의로의 이행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북한 당국은 2003년 6월 10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농민시장을 종합시장으로 확대 개편한 사실을 처음으로 공식 발표하면서 이례적으로 경제개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북한 당국은 자신들의 개혁조치가 시장경제화로 평가되는 것에 대해 심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고, 시장사회주의 이상의 개념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는 북한 당국이 국가능력(state capacity)의 틀내에서 전개되는 변화 외에는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생략)
  • 쇠고기 수입개방 이후 쇠고기시장의 변화 분석 및 시사점
    쇠고기 수입개방 이후 쇠고기시장의 변화 분석 및 시사점

    UR협상결과에 따라 1994년부터 쿼터물량을 통해 수입이 이루어졌던 쇠고기는 2001년부터 관세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수입개방이 이루어졌다. 2001년 쇠고기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당시 축산농가와 농민단체를 중심으로, 개방 이후 축산농가의 피해가 ..

    박지현 발간일 2004.12.30

    경제개방,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한국 쇠고기 시장개방의 전개과정

    제3장 쇠고기 수입개방에 따른 쇠고기시장의 변화 분석
    1. 쇠고기가격이 하락하고 농가소득이 감소한다?
    2. 생산감소로 사육기반이 붕괴된다?
    3. 수입이 증가하고 자급률이 하락한다?

    제4장 개방화시대에 축산농가가 나아갈 길
    1. 한국의 쇠고기 브랜드化 현황 및 사례
    2. 일본의 쇠고기 브랜드化 현황 및 사례
    3. 한우브랜드 육성방안

    제5장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UR협상결과에 따라 1994년부터 쿼터물량을 통해 수입이 이루어졌던 쇠고기는 2001년부터 관세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수입개방이 이루어졌다. 2001년 쇠고기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당시 축산농가와 농민단체를 중심으로, 개방 이후 축산농가의 피해가 커지고 사육기반이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즉 쇠고기 수입개방으로 인해 1) 쇠고기가격이 하락하여 농가소득이 감소하고, 2) 생산(사육두수) 감소로 사육기반이 붕괴하며, 3) 수입이 증가하고 자급률이 하락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생략)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