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통합검색
"관세"에 대해 929건 검색 되었습니다.
발간물 (504)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등록일 : 2024-04-12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인도네시아 비관세장벽 현황과 철강제품 비관세조치의 관세상당치 추정 연구등록일 : 2011-03-30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인도네시아 비관세장벽 현황과 철강제품 비관세조치의 관세상당치 추정 연구등록일 : 2011-01-31
-
발간물 > 현안자료 > 오늘의 세계경제
한국 FTA 특혜관세 활용 현황 및 시사점등록일 : 2009-02-25
-
발간물 > 현안자료 > KIEP 세계경제 포커스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과 일본의 대응등록일 : 2025-04-24
연구원동정 (27)
-
정형곤 부원장, 2015년 제1차 관세행정발전심의위원회 참석
우리 연구원 정형곤 부원장은 1월 28일(수) 서울세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2015년 제1차 관세행정발전심의위원회에 참석하였다. 이번 위원회는 한중 FTA에 대비한 선제적 관세행정 대응방향에 대한 민간위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심도있는 토론을 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정형곤 부원장은 함께 참석한 중소기업중앙회, 무역협회, 조세재정연구원, 행정연구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의 대표들과 함께 자문 및 토론을 진행..
-
‘KIEP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파키스탄 COMSATS University Islamabad 소속 Muhammad Aamir Khan 박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5월 8일(수) 원내 201호 회의실에서 파키스탄 COMSATS University Islamabad 소속의 Muhammad Aamir Khan 박사를 모시고 방문학자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약 1개월 간 『KIEP Visiting Scholars Program』에 참여한 Muhammad Aamir Khan 박사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원내 전문가들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Muhammad Aamir Khan 박사는 한국과 파키스탄 간 양자무역 현황을 살펴보고..
-
KIEP, ‘한-미 FTA와 최근 통상 이슈 세미나' 공동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3월 14일(화)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대한상공회의소, 법무법인(유) 율촌, 스텝토 앤 존슨(Steptoe & Johnson LLP)과 공동으로 ‘한-미 FTA와 최근 통상 이슈’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한-미 FTA 발효 5주년을 맞아 그 동안의 성과를 점검하고, 강화되고 있는 미국의 보호무역조치(반덤핑·상계관세 등)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최근 새롭..
-
정철 무역통상본부장, “한미 FTA 개정협상 타결 과제는?” 주제로 KTV 국민방송 인터뷰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정철 무역통상본부장이 KTV 국민방송 에 출연하여 “한미 FTA 개정협상 타결 과제는?”을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3월 30일(금) 방송되었다. 인터뷰는 최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 결과 발표를 두고 양국 정부가 모두 ‘윈윈(win-win)’이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협상안의 주요 내용과 향후 전망에 대해 분석했다. 정철 무역통상본부장은 당초 민감한 이슈들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
-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 ‘중국 소비재 시장 수출 전략 세미나' 발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이 9월 30일(금) 서울 무역센터 트레이드타워에서 개최된 ‘중국 소비재 시장 수출 전략 세미나’에 참석해 발표를 진행하였다. 본 세미나는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소비재 시장 수출 확대를 목적으로 중국의 지역·권역별 시장 특성 및 관세·비관세장벽·인증 등 소비재 관련 제도를 안내하고자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했다.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은 이번 행사의 발표자로 나서 “..
게시판 (383)
-
연구원소식 > 언론속 KIEP > 언론기고
쌀 관세화 협상 어떻게 마무리됐나관련기사 바로가기 ☞ 쌀 관세화 협상 어떻게 마무리됐나
-
연구원소식 > 언론속 KIEP > 언론기고
[시론] 쌀 관세화 필요성 제대로 알려야정부가 쌀의 조기 관세화 논의를 개시하겠다고 한다. 늦은 감이 있지만 올바른 결정이다. 쌀의 조기 관세화는 농업통상 분야에서 정부가 가장 시급히 결정해야 할 문제였다. 도하개발어젠다(DDA) 협상이 지연되는 바람에 우리나라만이 관세화유예로 매년 막대한 양의 쌀을 수입하기 때문이다. 올해만 해도 30만 t 이상을 수입해야 한다. 2014년이 되면 41만 t까지 늘어난다. 41만 t이면 5t 트럭으로 8만 대 분량이다. 트럭 1대의 길..
-
연구원소식 > 언론속 KIEP > 언론기고
[경제기사야 놀~자] 관세의 두 얼굴, '국내산업 보호'냐 '무역장벽'이냐?관세, 수입품에 매기는 세금최근 글로벌 경기침체가 심화되면서 세계 각국이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를 포함한 몇몇 나라는 관세를 올리고 있다고 합니다. 세금의 일종인 관세로 어떻게 국내 산업을 보호한다는 걸까요?관세(關稅)는 보통 수입관세(import duties)를 말하는데, 외국상품이 국내로 수입될 때 부과되는 세금이죠.관세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먼저 무엇을 기준으로 관..
-
연구원소식 > 언론속 KIEP > 언론기고
[경제기사야 놀~자] 한·EU FTA 막판 걸림돌 된 '관세환급'이란?외국에 여행을 갔다가 물건을 산 뒤, 그 나라 공항 등에서 여권과 영수증을 보여 주고 세금을 돌려받은 경험이 있지 않으세요? 물건값에 포함돼 지불했던 소비세(消費稅)를 되돌려 받는 것이죠. 이것을 소비세 환급(還給)이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외국 관광객들은 한국에서 산 물건을 자기 나라로 가져가 사용하기 때문에 출국할 때 공항에서 세금을 되돌려 받습니다.왜 처음 물건을 살 때부터 세금을 물리지 않고 출국할 때 세금을..
-
연구원소식 > 언론속 KIEP > 언론기고
[윤여준 칼럼] 역사의 교훈: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관련기사 바로가기 ☞[윤여준 칼럼] 역사의 교훈: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
콘텐츠 (4)
-
고객마당 > 관련사이트 > 정부기관
정부기관 (국내) 정부기관 국내 관련사이트 제20대 대통렬실(Office of the 20th President) 사이트 바로가기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Prime Minister's Secretariat) 사이트 바로가기 기획재정부(Ministry of Economy a..
-
연구원소개 > 원장소개 > 약력
학력 2005년 Michigan 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경제학 박사) 1991년 파리 9대학교 응용경제학과 졸업 (경제학 석사) 1990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경제학 학사) 1986년 서울고등학교 졸업 경력 2023년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2014년 ~ 현재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고용휴직 중) 2018년 ~ 2019년..
-
APEC 연구컨소시엄 > APEC > APEC 주요과제 > 무역투자자유화 및 원활화
개요 APEC은 1989년 창설되면서 개방성을 유지하고 역내 경제간 다양성을 존중하고 합의에 의한 협력을 추진하는 원칙을 채택하였습니다. 구체적인 무역투자 자유화 원칙에 대한 언급은 이루어지 않았으나, 아태지역 국가들이 범세계적 무역자유화 촉진을 위한 협력을 도모하고 공동보조를 취하자는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APEC은 무역투자 자유화 및 원활화 원칙을 수립하고 1994년 보고르선언을 통해 보고르목표..
-
연구원소개 > KIEP 역대 원장
1대 김적교 1989년 08월 ~ 1992년 03월 KIEP 역대원장 제1대 원장 김적교(金迪敎) 초대원장 재임기간..
첨부파일 (10)
-
발간물 > 멀티미디어자료 > 만화로 보는세계경제
인도디지털관세_원고.jpg 다운로드등록일 : 2018-02-15
-
연구원소식 > 대외경제전문가풀 > 전문가 회의 결과 (19.07 이전) > 분류없음
한중일 3국의 관세율 구조비교.pdf 다운로드등록일 : 2007-01-04
-
발간물 > 멀티미디어자료 > 만화로 보는세계경제
인도, 비 필수 수입 품목 관세 인상002.jpg 다운로드등록일 : 2018-12-20
-
연구원소식 > 대외경제전문가풀 > 전문가 회의 결과 (19.07 이전) > 분류없음
기술-전자상거래06-02(관세-홍범교).pdf 다운로드등록일 : 2006-12-28
-
발간물 > 멀티미디어자료 > 만화로 보는세계경제
인도, 비 필수 수입 품목 관세 인상_수정001.jpg 다운로드등록일 : 2018-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