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통합검색
"경제안보"에 대해 1,213건 검색 되었습니다.
발간물 (420)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통일편익비용 분석과남북한 경제통합 방안등록일 : 2014-12-18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동북아 안보구조의 변화와 중국-한반도 관계: 시나리오 분석 및 한국의 대응방안등록일 : 2019-06-25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안보: 주요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한국의 경제안보전략등록일 : 2023-11-15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등록일 : 2024-08-01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KIEP 전략지역 심층연구 논문집2: 중앙아시아 경제에너지환경등록일 : 2010-01-29
세미나 (40)
연구원동정 (156)
-
한-캐나다 경제안보 포럼 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주한캐나다대사관은 2024년 12월 11일(수)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국과 캐나다의 경제안보 강화 전략과 양국간 협력 방향 모색”을 주제로 ‘한-캐나다 경제안보 포럼(ROK-Canada Economic Security Forum)’을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경제안보 분야 전문가, 정책결정자, 연구자,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한국과 캐나다의 경제안보 강화 전략과 양국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시욱..
-
'한일 경제안보 대화' 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3년 2월 6일(월) 낮 12시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일 양국 간 경제안보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한일 경제안보 대화”를 개최했다. 동 회의는 2023년 KIEP 경제안보 세미나 시리즈의 제3차 세미나에 해당한다.김흥종 KIEP 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일부 역사적 도전과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번영이라는 공동의 목표에 힘입어 그간 강력하고 생산적인 파트너십으로..
-
유럽경제안보 국제세미나 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2년 11월 18일(금) 오전 9시 30분 서울 코리아나호텔 다이아몬드홀에서 “유럽경제안보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동 회의는 2022년 KIEP 경제안보 세미나 시리즈의 제9차 세미나에 해당한다.이번 행사에는 김흥종 KIEP 원장을 비롯해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 유럽연합 대표부 대사, 페터 빙클러 주한 독일대사관 대리대사, 김지희 외교부 경제안보외교센터 센터장(양자경제외교국 심의관)..
-
KOSTI-KIEP 경제안보 공동 세미나 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무연안보관리원(KOSTI)은 2024년 11월 26일(수)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2024년 KOSTI-KIEP 경제안보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였다.최근 우리 정부와 기업은 미국 대선 이후 격변하는 국제정세와 미-중 기술경쟁 심화 국면 속 지경학적 위험에 대한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무역안보와 산업정책의 확대 및 강화 동향과 전망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정부와 기업에 도움이 되는 시사..
-
경제안보 유관 연구기관 공동세미나 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산업연구원, 전략물자관리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함께 6월 2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에서 「경제안보 유관 연구기관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최근 중요성이 높아진 ‘경제안보’ 주제를 연구하는 4개 국책연구기관이 모여 경제안보 이슈 관련 각 기관의 연구성과를 논의하는 자리였다.‘산업경쟁력과 공급망 강화를 위한 경제안보 이슈와 대응’을 주제로 진행된 본 행사에서는 경제..
게시판 (593)
-
연구원소식 > 언론속 KIEP > 언론기고
[뉴스의 맥] "日 수출규제는 안보 핑계 댄 경제보복" 국제여론 환기해야관련기사 바로가기 ☞ [뉴스의 맥] "日 수출규제는 안보 핑계 댄 경제보복" 국제여론 환기해야
-
연구원소식 > 대외경제전문가풀 > 전문가 회의 결과(19.07 이전)
한국과 몽골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몽골은 세계적인 광물자원의 보고로, 향후 광물 및 에너지 자원 협력 잠재성이 높은 국가임. 몽골은 동아시아 역내 안보를 위한 협력 대상국으로서의 중요성이 매우 높은 국가임. 몽골 경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위기를 맞았으나, 2010년 들어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과 몽골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개발 정책 노력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였음.
-
연구원소식 > 대외경제전문가풀 > 전문가 회의 결과(19.07 이전)
[동북아 07-02] 남북정상회담의 성과와 동북아경제협력의 과제남북정상회담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시동 및 주도, 평화와 경제의 적극적인 연계,남북경제 공동체의 지향, 양자관계의 적극 활용, 군사적 신뢰구축의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성과를 거두었음. 문제점으로는 사실상 핵보유의 인정의 위험성, 국제역학상의 현실적 한계, 북한의 개혁개방의지의 여부, 대북경제제재의 존재, 기타 NLL문제, 정례화 여부, 국군포로, 납북자문제 등에서 미흡한 면을 보였음. (발표자료 파일 없음)
-
연구원소식 > 언론속 KIEP > 언론기고
[산업화ㆍ 민주화를 넘어 이제 선진화다]中ㆍ러 등과 北설득…EU같은 ‘동북아 경제협력체’ 만들자지난 20~30년간 고속 성장을 지속한 동북아 경제권은 최근 중국과 한국의 꾸준한 성장 추세 및 일본 경제 회복 등의 요인에 따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EU 경제권과 함께 세계 3대 경제권으로 부상했다. 2006년 말 현재 동북아 경제권은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7.5%, 세계 인구의 23.6%, 세계 외환보유고의 51.7%의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동북아 지역 내 한.중.일 3국은 2006년 현재 세계교역의 15.8%에 이른다. 글로벌 인..
-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한-캐나다 경제안보 포럼』 개최 안내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이시욱)은 주한캐나다대사관과 함께 2024년 12월 11일(수) 오전 9시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캐나다 경제안보 포럼(ROK-Canada Economic Security Forum)’을 개최합니다. 본 포럼은 경제안보 분야 전문가, 고위 정책결정자, 저명한 연구자, 업계 관계자가 모여 급변하는 세계 경제 환경 속에서 한국과 캐나다의 경제안보 강화 전략과 양국간 협력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
콘텐츠 (4)
-
APEC 연구컨소시엄 > APEC > APEC 주요과제 > 경제기술협력
경제 · 기술 협력(Ecotech: Econimic and Technical Cooperation) 개요 APEC은 1989년 출범 초기에 경제협력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으나, 1994년 보고르선언을 기점으로 무역투자 자유화 및 원활화(TILF)와 더불어 경제기술협력(ECOTECH: Economic and Technical Cooperation)을 두 개의 큰 축으로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1998년 SOM(고위관리회의) Sub-Committee on Economic and..
-
APEC 연구컨소시엄 > APEC > APEC 주요과제 > 주제 및 핵심의제
2021 APEC 주제 함께하는 참여, 일, 성장(Join, Work, Grow, Together) 3대 핵심의제 회복을 강화하는 경제 및 무역정책(Economic and Trade Policies that Strengthen Recovery) 회복을 위한 포용성 및 지속가능성 증진(Increasing Inclusion and Sustainability for Recovery) 혁신과 디지털을 통한 회복 추구(Pursuing Innovation and a Digitally-Enabled Recovery) 2021 APEC 주요 회의 일정 ..
-
APEC 연구컨소시엄 > APEC > APEC 주요과제 > 민간과의 협력
개요 경제에서의 민간부문은 경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요 경제 사안에 대한 역내 기업인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지난 1995년 오사카 정상회의 합의에 따라 APEC의 공식민간자문기구로서 APEC 기업자문위원회(ABAC)가 1996년 4월에 출범되었습니다. ABAC은 APEC 고위관리회의처럼 1년에 주로 네 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정상회의와 각료회의에 의견을 제출 및 건의합니다. ABAC은..
-
연구원소개 > KIEP 역대 원장
1대 김적교 1989년 08월 ~ 1992년 03월 KIEP 역대원장 제1대 원장 김적교(金迪敎) 초대원장 재임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