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최신연구자료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국제 논의와 한국기업 참여 가능성 연구
정책연구브리핑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국제 논의와 한국기업 참여 가능성 연구

▶ 본 연구는 전후 재건의 역사적 사례와 최근 국제사회 논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정부와 기업의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가능성을 탐색하고 지원 방안을 제시함. - 과거 사례로 미루어 전후 재건은 단순한 시설 복구를 넘어 경제 및 사회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편 기회로 삼아야 하며, 수원국과 공여국, 국제사회의 상호 이익에 기반한 긴밀한 협력이 있을 때 효과적임.

장영욱, 이철원, 강부균, 김초롱
기후-통상 정책의 새로운 연계: 그린경제협정의 확산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기후-통상 정책의 새로운 연계: 그린경제협정의 확산과 시사점

▶ 무역과 기후 정책의 연계가 다양한 형태로 강화되는 가운데, 통상협정에서 기후변화 대응 이슈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그린경제협정이 확산되고 있음. - ‘탄소중립 달성’이 기후와 통상 정책의 우선순위에 놓이면서 기후정책과 통상정책의 연계는 ‘자국 산업의 보호·육성’과 ‘국제협력’이라는 두 방향으로 구체화됨. - 그린경제협정은 기후-통상 정책의 협력적 연계가 강조되는 분야별 협정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선순환을 추구하는 통상협정으로 정의할 수 있음.

이주관, 박지현, 김민성
중국의 제20기 3중전회 주요 내용 및 향후 경제정책 방향
오늘의 세계경제 중국의 제20기 3중전회 주요 내용 및 향후 경제정책 방향

▶ 2024년 7월 15~18일 중국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이하 3중전회)가 개최됨. - 시진핑 3기의 중장기 국정 운영 방향이 담긴 「중공중앙의 진일보한 전면적 개혁 심화 및 중국식 현대화 추진에 관한 결정」(이하 「결정」)이 심의·통과됨. - 「결정」은 개혁목표 및 경제·정치·사회 등 분야별 개혁과제를 포함하여 총 15개 부문 60개 조항으로 구성됨.

정지현, 문지영, 박민숙, 박진희, 이효진
캐나다 이민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KIEP 기초자료 캐나다 이민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 캐나다는 국가 형성 초기부터 이민을 받아들여 국가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저출산 및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 완화를 위해 계속해서 적극적인 이민정책을 추진함. - 캐나다는 1967년 경제 이민자 선발을 위한 점수제를 세계 최초로 도입하고, 1971년 다문화주의를 공식 국가 이념으로 선언하며 이민 친화적인 정책을 추진해 옴. - 캐나다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노동력 부족 심화에 대응하고자 이민자와 임시거주자를 기존보다 더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했고, 그 결과 2021년 이후 인구가 급증하여 2023년에는 1957년 이래 역대 최고 인구 성장률(3.2%)을 기록함.

박은빈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성과와 향후 협력 과제
오늘의 세계경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성과와 향후 협력 과제

▶ 2024년 6월 4일과 5일 윤석열 대통령과 아프리카 48개국은 ‘함께 하는 미래: 동반성장, 지속가능성, 연대’를 주제로 한국과 아프리카 간 최초의 다자 정상회의인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함. - 한국과 아프리카 48개국은 ① 동반성장: 교역·투자 확대, 인프라 관련 협력 증진, 아프리카 역내 경제 통합 지원, ODA 및 금융 지원 규모 확대, ② 지속가능성: 기후변화 대응 협력, 식량안보 역량 강화,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디지털 전환 협력, ③ 연대: 아프리카의 평화 기반 구축, UN, G20 등 국제무대에서 연대 강화, 한반도 비핵화 달성에 합의하고, 해당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발표함.

한선이, 황인정

KIEP NEWS